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새로운 인간관계 참 어렵네요.

반백인데. 조회수 : 1,105
작성일 : 2016-05-07 21:57:53
손해 보고 살아도 괜찮다고 생각하며 살고자 노력합니다.
단 상대방도 어느정도 예의를 갖추고 안간 관계를 한다는 단서가 붙어야 화가 나지 않더라구요.
시댁 어른들이야 자식이니 대접해 드린다 치고 일년에 칠 팔번 우리에게 빌 붙어 대접을 받았으면 우리가 참석을 안하면 자신들이 돈내서 부모님 과 식사를 못하겠다고 하는 것이 정상인거요?
우린 저번달에 미리 400 들여 건강검진 해드렸고 외식도 거하게 해드렸고 어버이날 서운 하실까봐 용돈도 30만원 보냈어요.
친정 조카의 결혼식 이라는 불가피 때문에 부모님께도 미리 말씀 드렸는데 형님 이라는 사람이 자기들에게 부모님 식사 비용 안보냈으니
어버이날에 시댁에 안갈꺼라고 화를 내네요.
예전 형님 투병기간 10녕 돌아가신후3년 외며느리 처럼 혼자 감당 했고 새형님 들어오신고 3년동안 일년에 칠팔번 있는 모임 비용 저희가 다 냈어요.
명절이나 제사때 어머니가 장보기 힘들다 하셔서 가까이 사는 형님에게 30만원씩 제사 비용 보냈는데 정작 비싼 생선 육류는 어머니가 다 사셨다 해도 내색 안했어요.
저는 전 5종 해가고 부모님 용돈 따로 챙겨 드리고 장보는데 고생
하셨다고 매번 전화드렸어요.
작년 어버이 날에도 내려갈때 음식 이것저것 해가서 부모님과 같이 먹고 점심에는 시누이가족들 형님 전 가족 조카들 까지30명분 식사비가 60만원 나왔는데 저희가 냈거든요.
장남 에게만 교육이든 재산이든 주신 상태고 시누이들이나 남편은
돈 벌기전까지 자식 취급도 안하셨어요.
재산도 2억도 안되는 집 하나 뿐인데 장손에게 물려 주신다고 하고계신 상태에요.
호구 노릇 하던 우리가 안 간다니 몇번이나 사정 이야기를 했음에도 결국 화를 내시네요.
그러든지 말든지 저는 내일 시댁에 전화 한통화만 할 생각이지만요.
그래도 예전 형님은 늘 미안해 하고 식사 비용에 보태라고 5만원 이라도 보내 주시고 편찮으신 중에도 우리 애들 안부 꼬박꼬박 물어 주셔서 인간적으로 정이 갔고 치료비도 1500 보탰어요. 새로오신 형님은 너무 이해타산 적이고 필요할때만 꼭 전화해 돈 보내란식으로 하니 있던 정도 떨어지네요.
아주버님 연봉도 꽤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왜 이러는지 모르겠어요.
형님 대접 꼬박꼬박 해드렸고 3년동안 할 만큼 했다고 생각 하고 예전 형님 처럼 잘 지내고 싶은데 새로오신 형님은 참 내 멈 같지 않아 힘드네요.

IP : 119.69.xxx.60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8 10:47 AM (112.149.xxx.111) - 삭제된댓글

    앞의 몇 줄만 읽었는데요,
    상대가 예의를 지키면 약간의 손해는 감수할 마음이 있다는 말 자체가,
    손해보기 싫다는 뜻이에요.
    한국인들은 호구를 대인배라 칭하고(물론 뒤에선 욕하지만),
    손해 안보는 사람을 소인배라 부르니,
    스스로 소인배임을 인정하면 스트레스가 덜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8901 안정적인 삶 vs 하고싶은 건 하는 불안정한 삶 6 알쏭달쏭 2016/05/19 2,508
558900 중국남자가 좋아보이는데 22 ㅇㅇ 2016/05/19 8,029
558899 cbs 9시 김창기가 진행하는 음악프로 들으시는분.. 오늘요. 2 ,. 2016/05/19 797
558898 40살에 전문의 되도 좋은건가요? 20 mmmg 2016/05/19 7,513
558897 중3아들 ㅠㅠ 2 .. 2016/05/19 1,649
558896 김혜자씨 나문희씨 참 좋네요~ 4 지나가다 2016/05/19 2,203
558895 하이얼 냉장고 6 ,,,,, 2016/05/19 1,477
558894 결혼 적령기 여성들이 적으면 원래 전쟁 일어납니다 24 2016/05/19 6,447
558893 취나물을 데쳤는데 꺼끌꺼끌해요 3 퓨러티 2016/05/19 886
558892 청바지 허리 집에서 줄일 방법 2 바지허리 2016/05/19 1,096
558891 대학가 앞 다세대 건물 어떨까요? 10 dd 2016/05/19 2,957
558890 초1 아이 상담받아야겠어요 2 .. 2016/05/19 1,509
558889 학교에서 받은 벌점 이의제기 할수 있나요? 23 중딩 2016/05/19 2,660
558888 대출이자율이 궁금합니다. 3 7%? 2016/05/19 1,194
558887 이런 아이는 뭘 시켜야 제 앞가림하고 살까요.. 10 ... 2016/05/19 2,831
558886 손학규의 새판짜기-중도대연합 성공할 것인가? 3 손학규 2016/05/19 841
558885 고무나무새끼치기? 1 초보 엄마 2016/05/19 1,079
558884 나이 들어 바로 옆집에서 친구와 산다는것 38 살까 말까 2016/05/19 20,494
558883 혹시 엘비스볼사신분? 8 .... 2016/05/19 6,893
558882 이번에 바뀐 어린이집 지원정책 다문화가정이요.. 5 궁금 2016/05/19 1,187
558881 사람 지나갈때나 뒤에서 담배 가래침 뱉는거 짜증나지 않나요? 11 ㅇㅇ 2016/05/19 3,666
558880 뮤즐리로 강정만들면 바삭 할까요 2 사사 2016/05/19 797
558879 급해요)얼굴점 주위 피부가 하얗게 변했어요 3 급질문 2016/05/19 2,630
558878 오바마 대통령 유머.뒷부분이 안들려요 도와주세요 5 부러워 2016/05/19 820
558877 국회의원들의 특권이 왜 이렇게 많아요? 6 ... 2016/05/19 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