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대로 알고 정신차립시다.

**** 조회수 : 1,412
작성일 : 2016-05-02 16:01:21

아침에 집을 사야한다라는 글을 보고 나가서 이제야 글을 올립니다.


대통령이 한국적 양적완화라는 표현을 쓰고 나니 여기저기서 돈의 가치가 내린다고 집값 오른다는 글을 자주 봅니다.

집값이 정말 계속 계속 오를까요?

저도 제 집값이 올랐으면 좋겠어요.

그러나 찬찬히 생각해보면 더 오른다는 건 어려워 보여요.


주위를 둘러보면 노상 어디에 몇 세대 집 짓는다는 뉴스만 보이고 뭔가 기업에서 투자한다라는 뉴스는 안 보입니다.

삼성이 구미에서 베트남으로 가고

나라의 수출이 한 달 새 2자리 숫자(퍼센티지)만큼 줄고

자영업자가 죽을 쑤는 얘기만 나옵니다.

거기다가 거제도 조선소 해운회사가 망해 간다는뉴스만..


그리고 저 한국적 양적완화라는 표현 사기적인 표현이죠.

저건 구제금융이예요.

한국은행이 돈을 찍어서 조선, 해운 등의 돈이 없는 기업에 돈을 투입한다는 것으로 투입이 특정 기업에 한정되는 구제금융입니다. 즉 정부는 구제금융이라는 용어를 쓰면 국민들의 거부감이 더 심하니 살짝 말을 바꾸어 양적완화라는 용어를 선택한 것이지요.


저 구제금융이라는 말을 우리가 언제 들었나요?

맞습니다. IMF 시절에 들은거예요.


그만큼 우리나라가 어렵다는 겁니다.

집값이 오를수도 내릴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상황이 이 정도인데 내 수입이 언제까지 안정적일지도 모르고 내가 집을 판다고 하면 구매수요가 어떻게 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무리는 하지 맙시다.


예전처럼 안 먹고 안 쓰고 집값 갚을수도 없는 상황인데 일단 대출 내고 나면 그 압박감 상당합니다.

제 주위 젊은 분들 집 산다고 대출 내신 분 5월달이 되니 그 압박감이 더 크다고 하네요.

혼돈의 시대에는 이익을 크게 볼 수가 없습니다.

무리하지 말고 내 재산을 지켜나가는게 이 시대의 제일 현명한 재테크라고 봅니다.



IP : 125.131.xxx.30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2 4:05 PM (211.46.xxx.253)

    양적완화=구제금융은 아니죠... 비약이 있어 보입니다.

    그래도 무리하지 않는다는 게 좋겠다는 의견에는 공감합니다.

  • 2. ..
    '16.5.2 4:09 PM (125.180.xxx.190)

    ㅂㄱㅎ정권이 추구하는 양적완화는 구제금융의 숨은 뜻이죠

  • 3. 사과
    '16.5.2 5:44 PM (58.121.xxx.239) - 삭제된댓글

    반대의견

    내 집 마련은 꼭 하세요.

    집 값 눈에 띄게 움직이는거 보고나서 우와좌왕

    투자자들 수익보고 웃으며 던지는거 이성잃고 허겁지겁
    고점에 달려들지 말고
    지금 내가 사는 동네 급매 나온거 있나 알아보고(지금 언론이 떠드는걸 곧이 곧대로 받아들여
    쫄아서 던지는 물건들)
    실거주 내집 하나는 꼭 마련 하세요.

    아님 집값 언제 떨어질지 모르는데 내집마련은 포기하고...
    그냥 월세 사시던가요.ㅠ

  • 4. 집은 마련해야 하지만
    '16.5.2 7:35 PM (220.120.xxx.121)

    알고 있어요 집 한채는 마련해야 한가는거
    이사다니도 지치고 이사비용며 복비며 아이들 전학에 지긋지긋해요
    근데 정말 양사에서 지원 안받고 시작해서 전월세 겨우 살고 있는데 집사는건 남의 나라 일같네요
    빌라는 피하고 초등 어린아이가 있어서 학교 근처에 새벽에 출근해서 12시 다되서 퇴근하는 남편 때문에 지하철 출퇴근 할 수 있는 곳 술집이나 유해시설은 별로 없는 곳...
    이 정도의 조건만 되도 오래된 아파트 25평기준 몇억이네요 경기도 변두리구요
    비싸서 살 수가 없어요 ㅠㅠ 양가 부모님 소득도 없고 물려 받을 것도 없구요 ... 양가 아버님 아프시고...
    정말 집값 좀 상식수준으로만 내렸으면 좋겠어요
    대부분의 세입자들은 안사는게 아니라 여력이 없는거에요 대출 한도도 꽉 차고 이자 감당할 능력이 안되서요

  • 5. **
    '16.5.2 8:08 PM (115.139.xxx.162) - 삭제된댓글

    양적완화 정책을 쓸 수 있을까요. 못한다고 봅니다

  • 6. 사과
    '16.5.2 8:37 PM (58.121.xxx.239) - 삭제된댓글

    양적완화 급물살 방금 뉴스 나왔어요.

  • 7. 사과
    '16.5.2 9:04 PM (58.121.xxx.239) - 삭제된댓글

    사고 싶은 집 말고 살수 있는 집,형편에 맞는 집 사시라는 얘기

    앞으로 월세시대 옵니다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7152 학원에 스승의날 선물 보내세요? 7 abc 2016/05/13 2,560
557151 오늘 아침부터 하루종일 졸립고 눈이 감기더니 이유가 5 ... 2016/05/13 1,937
557150 안보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 2 첨펌 2016/05/13 491
557149 설거지 하려고 호주산 밀가루를 사서 3 ㅂㅂ 2016/05/13 1,643
557148 안중근은 초등학교 몇 학년 교과서에 나오나요 6 .. 2016/05/13 1,161
557147 이런 경우 컴플레인하면 이상한 사람??? 7 .... 2016/05/13 1,264
557146 실버카(할머니들 밀고 다니시는 유모차 같은거) 어디께 좋나요? 2 실버카 2016/05/13 1,264
557145 통영 식당이랑 여행지 추천 부탁드려요 10 메디치 2016/05/13 2,362
557144 아이 뒷목에 종양이 있답니다 11 청천벽력 2016/05/13 4,489
557143 중1 학원 문제집보다 학교시험이 어려운데 어떻게 5 선행 안한아.. 2016/05/13 1,181
557142 돌 이전 아기들도 외모를 따지나요? 10 본능 2016/05/13 3,244
557141 롤렉스 시계.. 로만이랑 바인덱스 중 뭐가 더 예쁜가요? 3 ~~ 2016/05/13 2,592
557140 쫄면 먹고 싶은데 살찌니까 밥 먹었어요 근데 15 .. 2016/05/13 4,378
557139 인서울 임용은 어떤 사람이 9 ㅇㅇ 2016/05/13 2,742
557138 커피 좋아하시는 분들 편의점에서 커피음료 사드세요? 9 dd 2016/05/13 2,742
557137 어린이집조리사나 보육도우미 2016/05/13 906
557136 영양제 혹은 건강보조제 3 도와주세요~.. 2016/05/13 855
557135 80년대 초반 이대 영문과면 28 ㅇㅇ 2016/05/13 5,679
557134 런던 사시는 분~질문요 2 cocoa 2016/05/13 708
557133 영화제에서 상영하는 영화들은 기간 지나면 못보나요? 1 ;;;;;;.. 2016/05/13 405
557132 [훅뉴스] 옥시게이트 덮은 5년, 검은장막 걷어보니. 2 0513 뉴.. 2016/05/13 814
557131 엄마 간호 문제.. 고민되네요. 13 ㅁㅁ 2016/05/13 3,533
557130 바이올린 사이즈가 궁금해요 4 .. 2016/05/13 1,214
557129 화장품은 왜 소량(샘플)판매가 안 될까요? 7 슈슈 2016/05/13 1,577
557128 밥안먹는 아이 1 속터져 2016/05/13 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