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부 잘하는 아이 만들기?

... 조회수 : 3,379
작성일 : 2016-04-23 16:29:53
제 개인적인 의견임을 밝혀요.
중간고사철이라 그런지 공부 얘기가 많이 나오고, 저도 혼자 집에서 심심해서 한 번 써봅니다.
인간은 유전의 영향이 가장 크지만, 대부분 평범하다고 생각해요.
1. 공부 잘하는 아이 만드시려면, 어릴 때부터 대화를 많이 하세요.
아이를 존중해주는 대화요. 일방적 통보나 명령, 한가지 답만 있는 대화 아니고,
아이가 생각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질문, 아이의 생각을 끌어내는 식의 대화요.
2. 지적 활동을 즐겁게 여기게 해줘요. 공부라는 단어는 안쓰는게 좋아요.
당근과 보상 심리를 조금은 사용해도 됩니다. 칭찬도 거기에 포함돼요.
이거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보상심리 없이 순수하게 하는 인간활동은 거의 없어요.
어린 아이가 자기 만족으로 공부한다면 그건 그만큼 뛰어난 아이고, 지적활동을 좋아하는 스타일이예요.
보통 아이들은 그렇지 않아요.
3. 공부하는 습관을 조금이라도 들이게 합니다. 아이마다 그 방법이 달라요.
예를 들면 게임을 좋아하거나 경쟁심이 있으면, 그 심리를 사용하면서 엉덩이 붙이고 있도록 방법을 사용하세요.
너무 과도하게 공부를 시키면 역효과 나요. 싫어하게 됩니다. 초등 때는 20분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해요.
4. 성취감을 느낄 정도의 진도 설정을 해줍니다. 너무 어려워도 너무 쉬워도 안돼요.
5. 나중에 철이 들어 공부에 달려들었을 때, 너무 기본 지식이 없으면 힘들어 하니
독서를 많이 하도록 하는데, 억지로 하면 안됩니다. 책을 좋아하는 아이가 되도록 해야 해요.
그런데 모든 종류의 책을 다 좋아할 필요는 없어요. 아이 관심사 위주로 넓혀가면 돼요.
그리고 읽은 책에 대해 대화를 단 한가지라도 해야 아이가 책을 좋아하게 돼요.
6. 사춘기 돌아와서 위 방법을 하려면 안먹힙니다. 반항심만 있는 사춘기 아이들이 많아요.
참견하지 마세요. 내가 읽은 책 관심 두지 마세요라고 말도 안하고 반항해요.
엄마가 관심두면 - 읽던 책도 집어 던지고, 공부 하다가도 드러누워요.
따라서 어리고 순진할 때 대화 많이 하시고, 초등 때 공부 습관도 들여놔야 해요.
공부는 엄마에게 칭찬받고, 재미있는 것!! 이라고 머리 잠재력에 넣어지도록 하세요.
공부는 엄마에게 혼나는 것이라고 머리 박히게 되면 고등 되서도 공부 안합니다.
자신의 지적 활동을 좋아하는 아이로 만드는 게 관건이라 생각합니다~ 부모가 좋아하면 아이도 좋아해요.


IP : 223.62.xxx.3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좋은
    '16.4.23 4:40 PM (175.252.xxx.184)

    알씀이네요

  • 2. 공부잘하는아이는
    '16.4.23 4:49 PM (211.36.xxx.125)

    그냥 타고나는거에요

  • 3. 공부잘하는 아이는
    '16.4.23 4:51 PM (180.92.xxx.185)

    오직, 노력.
    유전

  • 4. ...
    '16.4.23 4:55 PM (182.230.xxx.75)

    그냥 운명인거죠

  • 5. ...
    '16.4.23 5:02 PM (223.62.xxx.31) - 삭제된댓글

    그렇죠. 운명이죠. 어떤 사고방식을 가진 부모를 만났냐는 운명.
    영재발굴단을 보면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부모의 관심과 격려에 따라 나중에는 그 각도가 크게 달라지는 걸 느껴요.
    예를 들면 자동차 차종 다 알아내는 아이.
    아이 성향을 잘 살펴보고 격려해주고 그 분야를 아이가 즐겁게 알아보도록 뒷받침을 해줬기에 그 수준까지 가능하지 않았을까..
    그 아이뿐만 아니라...

  • 6. ...
    '16.4.23 5:04 PM (223.62.xxx.31)

    그렇죠. 운명이죠. 어떤 사고방식을 가진 부모를 만났냐는 운명.
    영재발굴단을 보면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부모의 관심과 격려에 따라 나중에는 그 각도가 크게 달라지는 걸 느껴요.
    아이 성향을 잘 살펴보고 격려해주고 그 분야를 아이가 즐겁게 할 수 있도록 뒷받침을 해줬기에 그 수준까지 가능하지 않았을까..

  • 7. 그러니깐
    '16.4.23 5:15 PM (183.98.xxx.33)

    저게 먹히는 애들이 머리 좋은거란 댓글이 달리겠죠

  • 8. ...
    '16.4.23 5:26 PM (58.233.xxx.131)

    잘하는 애로 태어나면 그냥 태어난대로 살면 되지만
    보통이면 옆에서 좀 도와줘야 좀더 나아질수 있는데
    그것도 부모의 노력이 들어가는것이니 사실 쉽진 않죠
    근데 자신이 깨달아야 하는 부분이 크다보니 어느 포인트에서 아이가 깨달을지 부모는 모르니 노력하면서도 좀 답답하긴 하죠.
    환경의 영향도 있다는거 맞는듯해요.

  • 9. ㅇㅇ
    '16.4.23 5:54 PM (49.142.xxx.181)

    저도 오십 가까이 됐고 자녀가 성인이 되고보니 느끼는게
    공부도 재능이고 여러분야중에 하나일뿐이죠.
    그림 운동 음악 잘하는 재능 다 타고나잖아요. 그거 잘하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 따로 있지 않아요.
    공부도 그중에 하나에요. 공부도 세분화 하면 여러 공부가 있죠. 수학 언어 외국어 과학등등
    그 분야 잘하는걸 타고나는것일뿐이에요.
    저도 뭐 하나 잘하는게 (잘하는 분야가) 있는데요.
    그걸 어떻게 해서, 부모가 어떻게 해줘서, 잘하는게 아니에요. 그냥 저절로 잘하는거예요.

  • 10. 하지만...
    '16.4.23 6:12 PM (61.39.xxx.196) - 삭제된댓글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적절하고 끊임없는 자극을 제공하는 양육자의 노력이 필요하고, 감정적으로 지지하는 양육자의 태도가 필요해요. 부모도 공부하고 자숙하고 노력해야만 합니다.
    특히 그냥 똘똘하다.. 라고 말하는 수준의 아이... 평균 정도 또는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을 가진 아이들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더욱 양육자 노력이 필요해요.
    지적 능력 뿐만 아니라 인성과 사회적 태도에서도 양육자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 11. 하지만...
    '16.4.23 6:18 PM (61.39.xxx.196)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적절하고 끊임없는 자극을 제공하는 양육자의 노력이 필요하고, 감정적으로 지지하는 양육자의 태도가 필요해요. 부모도 공부하고 자숙하고 노력해야만 합니다.
    특히 그냥 똘똘하다.. 라고 말하는 수준의 아이... 평균 정도 또는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을 가진 아이들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더욱 양육자 노력이 필요해요.
    지적 능력 뿐만 아니라 인성과 사회적 태도에서도 양육자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저도 50 다된 48살이에요...

  • 12. 동의하지만
    '16.4.23 6:31 PM (211.245.xxx.178)

    저 정말 큰애 원글님 말대로 키웠어요.
    사교욱 하나도 안시키고 원하는 진로로 갔구요.
    아이와 공부하고 아이와 대화하고 정말 좋은 기억들이고 좋았어요.
    아이도 엄마와 지낸 시간들 행복해했고 고등가서 더이상 엄마가 도와주지 못해도, 혼자서 이겨내고 열심히 하고..... 맞는 말이지만요.
    작은 아이에게는 하나도 못했어요
    내가 방법을 몰라서?
    아이가 그걸 받아들이느냐 마느냐....그것도 변수더라구요.
    극과 극인 두 아이 키웁니다.
    지금 큰애는 목에 파스 붙이고 있어요. 수능 끝나고 너무 놀다가 지금 대학 중간고사 기간인데 오랜만에 공부 너무 많이해서 목이 아프다고, 목에 파스 붙이고 공부하고 있구요.
    작은 애는 발목에 파스 붙이고 있어요. 너무 많이 뛰어놀아서 발목 아프다구요.
    결국은 아이이 그릇대로 가는구나....

  • 13. 네..
    '16.4.23 8:53 PM (1.234.xxx.95)

    차별없이 원글님처럼 키운아이둘..

    극과극이라...제가 지금 미쳐나가요.

  • 14. ..
    '18.1.7 3:25 PM (154.5.xxx.178)

    공부 잘 하는 아이 만들기.... 감사히 잘 읽어볼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4656 우상호=친문 6 종편 2016/05/04 1,382
554655 전세금 계약시점후 세금 체납은? hippos.. 2016/05/04 521
554654 바뀐 것은 국회의원 1명 뿐인데...... 3 친노라네요~.. 2016/05/04 1,146
554653 종가집 김치 맛있나요? 10 엄마 2016/05/04 2,951
554652 당일치기 담양-보성-전주한옥마을 가능한가요? 5 후라노 2016/05/04 1,911
554651 환경단체 "해수담수 수돗물 어린이날 배포 중단해야&qu.. 1 후쿠시마의 .. 2016/05/04 564
554650 아침에 씨리얼 매일 먹는거 안좋죠? 9 ㅇㅇ 2016/05/04 3,721
554649 문과생은 설자리가 없네요 6 에휴 2016/05/04 4,012
554648 김은혜는 왜 kt 전무로 발탁된거였나요?? 13 ㅇㅇㅇ 2016/05/04 3,546
554647 고현정씨코는 자연산인가요? 9 오오 2016/05/04 3,904
554646 엄마와 데면데면한 님들 계신가요? 2 2016/05/04 1,416
554645 헌옷보낼곳 4 옷장정리 2016/05/04 1,593
554644 자전거 타기가 너무 신나요^^ 7 재미 2016/05/04 2,037
554643 남대문 수입상가 좋은가요? 2 ㅇㅇ 2016/05/04 2,246
554642 정청래 의원님 사이다 6 ... 2016/05/04 1,714
554641 어린이날 서울대공원 차 많이 막히고 힘들까요? 5 .. 2016/05/04 1,415
554640 mbn 정청래 출연중 6 지금 2016/05/04 1,113
554639 책을 많이 읽는다고 공부 잘하진 않은거 같아요 7 독서 2016/05/04 2,306
554638 축하해요 손혜원-종편에서 막말 정치인으로 뽑다 12 손혜원 2016/05/04 1,639
554637 전업주부맘이 대단하다는 직장맘들아~ 24 너나나나 도.. 2016/05/04 5,547
554636 중학교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학년 6 궁금 2016/05/04 2,060
554635 제왕절개할 걸.. 후회되네요. 24 출산 2016/05/04 14,024
554634 폐에 혹이 있다는건 암일 확률이 큰가요? 7 ㅜㅜ 2016/05/04 18,421
554633 마남방 뒷부분이 찢어졌어요 ㅜㅜ 2 가능할까요?.. 2016/05/04 742
554632 어릴때부터 남성들한테 인기 없었는데 성인이 되어서도 그렇네요. 5 어릴때부터 2016/05/04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