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어터진 갓김치 먹는 방법 있을까요?

새로운 반찬 조회수 : 1,289
작성일 : 2016-04-11 12:21:39
제가 갓김치 좋아한다고 이모가 보내주셨는데요..
너무 많이 보내주셔서 ..ㅜㅜ

다먹지 못하고 시어버린 김치가 한통 있는데 ..버리기는 아깝고
이거 어떻게 먹을 방법 없을까요?
IP : 59.12.xxx.253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후꾸
    '16.4.11 12:26 PM (1.229.xxx.177)

    씻어서 들기름에 설탕넣고 볶아먹음 맛있어요
    저도 누가 보내준 거 버리기 아까와 해먹었는데 밥도득에요~

  • 2. ^^
    '16.4.11 12:27 PM (210.90.xxx.171)

    갓김치가 너무 시고, 짜고 그러면요.
    물에 양념 다 헹궈내서, 맹물에 하루정도 담가 두세요.
    짠기 다 울궈져서 가시게요.
    그걸로 김치찜 같이 고기 넣고 자작하게 지져내도 좋구요.
    생선 조릴 때 밑에 듬뿍 깔아도 별미죠.
    그나마 시어빠져 먹기 힘든 김치류 중에서는
    갓김치가 활용도 높은거 같아요.

  • 3. 라면 먹을 때 딱인데...
    '16.4.11 12:27 PM (218.234.xxx.133)

    저희집에 3년된 갓김치 있어요. 정말 신데 라면 먹을 때 이게 딱이에요.

  • 4. ㅎㄱㅎㄱ
    '16.4.11 12:30 PM (121.170.xxx.10) - 삭제된댓글

    물에 살짝 헹구든지, 먹을만 하면 그냥 팬에 살짝 볶아요.
    삼겹살 구워서 같이 싸먹습니다.

    살짝 헹구거나, 그냥 꼭 짜서 쫑쫑 썰어서 볶음밥, 만두재료, 부침개 재료에 이용

    살짝 헹구거나, 짜면 담가놓거나해서 들기름에 살짝 볶아요.
    볶을 때, 다시마 채썰어서 같이 볶습니다.

    쫑쫑 썰어서 청국장 찌개, 김치찌개에.

  • 5.
    '16.4.11 12:51 PM (121.166.xxx.239)

    이거 된장에 지져 먹거나, 청국장에 넣어 먹으면 죽음 아닌가요?^^;;
    어려서 엄청 많아 먹었었는데, 요즘엔 잘 못 먹네요.

  • 6. 원글
    '16.4.11 1:10 PM (59.12.xxx.253)

    감사합니다.
    그냥 일반 신김치 조리하듯 하면 되는군요.
    덕분에 맛있게 없앨 수 있을듯요^^

  • 7. 물에 헹궈서
    '16.4.11 1:37 PM (211.245.xxx.178)

    시래기 이용하듯이 해도 될거예요.
    생선 지질때라던가..
    저라면 들기름에 볶아 먹겠지만요.ㅎㅎ

  • 8. ...
    '16.4.11 4:12 PM (58.233.xxx.33)

    갓은 가열하면 간 손상물질이 생긴다 해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7072 제주날씨 어떤가요?? 3 홍이 2016/04/13 533
547071 사회성이 없으면 말을 조리있게 못하나요... 15 ... 2016/04/13 5,866
547070 초등 아이데리고 엄마 혼자 외국 가서 박사하는거 가능할까요? 5 공부 2016/04/13 1,560
547069 오늘 정봉주랑 전원책이 개표방송하는곳 있나요 9 ㅇㅇ 2016/04/13 1,597
547068 아침부터 투표 귀찮아 하는 남편과의 실랑이 .. 3 하아 2016/04/13 823
547067 총선 소감 1 생각 2016/04/13 406
547066 시어머니랑 같이사는거 참 힘드네요 19 으이구 2016/04/13 7,948
547065 동네모임 블로거에 투표독려 하셨다는 분도 계시는데,, 1 어제 2016/04/13 868
547064 여기 투표율 떨어트리고픈 글도 올라오네요(냉텅) 4 기가막혀서 2016/04/13 736
547063 투표하고 왔어요 ^^ 22 4월13일 2016/04/13 1,204
547062 문소리씨 대학시절 그리 인기 좋았다는데 73 ㅇㅇ 2016/04/13 25,839
547061 기표소에 아이 같이 들어가면 안되는건가요? 5 ... 2016/04/13 1,617
547060 투표하고 왔습니다 3 비오는날 아.. 2016/04/13 348
547059 날씨 따뜻해지니 이런 피해 많아져요.. 2 제발 2016/04/13 1,514
547058 보일러 교체 하는데요, 스마트폰 원격조절 기능 필요할까요? 미즈박 2016/04/13 323
547057 오늘은 무급휴일인가요 유급인가요? 7 ㅜㅜ 2016/04/13 1,345
547056 뉴질랜드 유학생이 미국의대 들어갈 수 있을런지... 14 중견맘 2016/04/13 2,794
547055 근데 정치색과 무관하게 노인층의 투표의식은 본받을 만하네요 ... 2016/04/13 366
547054 CCTV 설치시 스마트폰 연결... 투표 하세요.. 2016/04/13 462
547053 결혼계약.. 은성이 넘 이뻐요. 11 바보 2016/04/13 3,365
547052 투표하고 왔어요. 3 ... 2016/04/13 386
547051 아침에 김문수 전화 오네요 10 ㅡㅡ 2016/04/13 1,773
547050 이 시점에서 밀땅...효과 있을까요 6 dd 2016/04/13 1,218
547049 막 단풍국으로 이민온 엄마에요.. 49 ... 2016/04/13 23,647
547048 제가 지지하는 정당이 후보를 안냈더라구요 5 어떡하지 2016/04/13 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