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보는데 성우가 하는 대사 중에..
지 아빠가 사준 책이라고 '읽고 또 읽고'..대사에서
읽고 또 읽고를 일고 또 일고..라고 발음하네요.
익고 또 익고라고 해야 하는데..
드라마 보는데 성우가 하는 대사 중에..
지 아빠가 사준 책이라고 '읽고 또 읽고'..대사에서
읽고 또 읽고를 일고 또 일고..라고 발음하네요.
익고 또 익고라고 해야 하는데..
일꼬 또 일꼬 아닌가요.
익따
일꼬
일그니
일거서
익긴 뭐가 익어요.
일꼬입니다.
국어가 어렵죠?
일꼬라고 읽어야 합니다. 익고 아니죠.
원글님한테는 더 어려운 것 같네요.
일꼬가 맞아요.
ㄹㄱ받침은 ㄱ이앞에서는 ㄹ로 읽습니다.
일꼬예요.
같은 자음이 겹치거나, 다른 자음끼리 어울려 이루어진 받침.
한글 맞춤법 제1항에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내용은 표준어로 인정하여 선택한 말은 그 발음대로 충실히 적어야 한다는 것과 그러면서도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것이다. 표음주의로만 맞춤법을 규정하지 않고 이 어법에 맞도록 하기 위해서 곧 표의주의에 따라 겹받침이 쓰이게 되었다. 현대 국어에는 같은 자음이 겹친 ‘ㄲ, ㅆ ’과 다른 자음끼리 어울린 ‘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등이 쓰이고 있다.
겹받침은 하나만 발음되는데, 발음되는 소리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른다. ⑴ ‘ㅄ, ㄳ, ㄽ, ㄾ, ㄵ’은 첫째 자음이 남는다. 값→[갑], 몫→[목], 외곬→[외골], 핥고→[할꼬], 앉고→[안꼬] ⑵ ‘ㄻ, ㄿ’은 둘째 자음이 남는다. 젊다→[점따], 읊지→[읍찌] ⑶ ‘ㄺ, ㄼ’은 불규칙적이다. 읽고→[일꼬], 넓다→[널따], 밟다→[밥따]
, . . .
마지막 줄 보세요.
겹자음
같은 자음이 겹치거나, 다른 자음끼리 어울려 이루어진 받침.
한글 맞춤법 제1항에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내용은 표준어로 인정하여 선택한 말은 그 발음대로 충실히 적어야 한다는 것과 그러면서도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것이다. 표음주의로만 맞춤법을 규정하지 않고 이 어법에 맞도록 하기 위해서 곧 표의주의에 따라 겹받침이 쓰이게 되었다. 현대 국어에는 같은 자음이 겹친 ‘ㄲ, ㅆ ’과 다른 자음끼리 어울린 ‘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등이 쓰이고 있다.
겹받침은 하나만 발음되는데, 발음되는 소리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른다. ⑴ ‘ㅄ, ㄳ, ㄽ, ㄾ, ㄵ’은 첫째 자음이 남는다. 값→[갑], 몫→[목], 외곬→[외골], 핥고→[할꼬], 앉고→[안꼬] ⑵ ‘ㄻ, ㄿ’은 둘째 자음이 남는다. 젊다→[점따], 읊지→[읍찌] ⑶ ‘ㄺ, ㄼ’은 불규칙적이다. 읽고→[일꼬], 넓다→[널따], 밟다→[밥따]
, . . .
마지막 줄 보세요.
겹받침
같은 자음이 겹치거나, 다른 자음끼리 어울려 이루어진 받침.
한글 맞춤법 제1항에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내용은 표준어로 인정하여 선택한 말은 그 발음대로 충실히 적어야 한다는 것과 그러면서도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것이다. 표음주의로만 맞춤법을 규정하지 않고 이 어법에 맞도록 하기 위해서 곧 표의주의에 따라 겹받침이 쓰이게 되었다. 현대 국어에는 같은 자음이 겹친 ‘ㄲ, ㅆ ’과 다른 자음끼리 어울린 ‘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등이 쓰이고 있다.
겹받침은 하나만 발음되는데, 발음되는 소리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른다. ⑴ ‘ㅄ, ㄳ, ㄽ, ㄾ, ㄵ’은 첫째 자음이 남는다. 값→[갑], 몫→[목], 외곬→[외골], 핥고→[할꼬], 앉고→[안꼬] ⑵ ‘ㄻ, ㄿ’은 둘째 자음이 남는다. 젊다→[점따], 읊지→[읍찌] ⑶ ‘ㄺ, ㄼ’은 불규칙적이다. 읽고→[일꼬], 넓다→[널따], 밟다→[밥따]
, . . .
마지막 줄 보세요.
헉... 읽고를 익고라고 발음하시다니요 ㅜㅜ
ㅎㅎ 익고에 빵 터졌어요.
일꼬 ㄸ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