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설탕을 너무 넣은 김치찌개 회생방법은 없나요.!!!ㅜㅜㅜ

김치찌개.. 조회수 : 43,674
작성일 : 2016-02-28 11:26:14

냉장고 비우기 프로젝트 겸사겸사

찾아보니 각종 용기에 넣은 김치들을 발견했어요 ...

가장 큰 곳에 있는 놈부터 해결하려고 뚜껑을 열었더니

식초보다 더한 냄새가 나더라구요

나름 묵은지겠지 하고 김치를 기름에 볶았어요

아무리 볶아도 시큼한 냄새가 절대 안사라져서 설탕을 첨에 두스푼부터 넣었던 걸로 기억해요. 그다음은......

그러다 너무 설탕을 넣으면 안될것같은 느낌에 작은양파 하나를 썰어 넣었는데 맛 변화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구요


그리고 쌀뜨물을 넣어 삼겹살을 넣고 끓인다음에 볶은 김치를 넣었어요

새우젓 간 하고 국간장 넣고 파도 엄청 때려넣었는데

맛이 이상해요..

신맛은 약간 나아졋는데 설탕을 너무 넣어서 그런지 뭔가 이질감이느껴지면서.,

하면서 뭔가 첨가하고 물도 더 넣고 하다가 전골냄비 한가득 되어버렸는데

저 혼자살아서 저거 완전 평생먹게 생겼는데

망쳐서 지금 어떻게 해야할지 패닉이에ㅛ.,ㅠㅠ

너무 많아서 버릴순 없어요..

맛도 없어서 즐겨먹을수도 없구요..ㅜㅜ

어떻게 해야 구제될수있나요 제발..!!

IP : 122.45.xxx.85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2.28 11:27 AM (211.237.xxx.105)

    방법 없어요..;;
    김치 양을 더 늘려서 단맛을 순화시키는 방법이나 아예 씻어서 새로 요리하는 방법밖에는;;

  • 2. ...
    '16.2.28 11:28 AM (220.79.xxx.196)

    달거나 짤때는 재료를 추가하기보다는
    국물을 덜어내고 채소를 더 넣거나
    육수나 물을 더 넣어서 간을 맞추세요.

  • 3. ㅇㅇ
    '16.2.28 11:29 AM (112.155.xxx.165) - 삭제된댓글

    고춧가루 좀 넣고 눈딱감고 msg 도움을 받으세요 ㅡ.,ㅡ

  • 4. 아아
    '16.2.28 11:30 AM (122.45.xxx.85)

    두번재 세번째 님 댓글 감사합니다. 다시 도전해보겠어요..!!

  • 5. .....
    '16.2.28 11:31 AM (222.112.xxx.119)

    김치를 더 넣고 물도 더 넣고 고기를 넣으세요.

  • 6. ...
    '16.2.28 11:33 AM (222.232.xxx.60)

    참치넣으세요

  • 7. 근데
    '16.2.28 11:35 AM (112.155.xxx.165) - 삭제된댓글

    쌀뜬물은 왜 넣으신건지 다음에는 삼겹살보다는 참치를 넣는게 쉬울거에요 묵은지김치볶음에도 참치 넣으면 괜찮아요 김치를 들기름으로 볶으면 더 좋구요

  • 8. ...
    '16.2.28 11:35 AM (122.40.xxx.85)

    설탕, 새우젓, 국간장....카~~~무슨 맛일지
    저라면 그냥 쫄여서 김치찜으로 먹어요.
    김치찌게는 달면 맛없지만 김치찜이나 볶음은 좀 달아도 밥에 비벼먹으면 맛있어요.

  • 9. 누구냐넌
    '16.2.28 11:36 AM (121.164.xxx.155)

    김치찌개에 새우젓은 왠말이고 국간장은 또 뭔말이랍니까?
    정말맛있늣 김치찌개는 돼지고기 전지살과 김치만으로 물 자작하게 넣고 끓여먹는게 최고인데요~
    일단 건더기 다 건져내고 국물 다 따라 버리고
    다시끓여봐요~
    멸치 육수좀내서 건더기 담은 냄비에 자작하게 담고
    고추장과 고추가루 좀 더넣고 다시다좀 넣고 파마늘 후추 넣고 다시 바글바글 끓여봐요
    그래도 맛없으면 버려야죠

  • 10. 왜요
    '16.2.28 11:39 AM (122.45.xxx.85)

    삼겹살김치찌개에 새우젓 넣는거 백선생 방송보고 한건데
    왜 뭐라 그럽니까?

  • 11. 이상하네
    '16.2.28 11:44 AM (121.164.xxx.155)

    그럼 백선생한테 물어보셔야죠
    여기물을게아니라......ㅋㅋㅋㅋ

  • 12. ...
    '16.2.28 11:47 AM (220.79.xxx.196)

    찌게가 달아서 질문했는데
    왜 새우젓 국간장으로 뭐라 하시는지요...
    어쨋든 간은 맞다잖아요.
    쌀뜨물은 저도 가끔 쓰는데 맹물보다 괜찮아요.

  • 13. 날팔이
    '16.2.28 11:48 AM (125.131.xxx.34)

    김치찌개에 살뜨물 넣는거 아녜요??

  • 14. 모니
    '16.2.28 11:51 AM (211.36.xxx.105)

    설탕넣고 볶을때 설탕을 많이넣는다고 신맛이가는게아니고
    약한불에 오~래볶아야 신맛이 가더군요
    담엔 좀만넣고 잘안눌러붙는 팬에 해보세요

  • 15. ....
    '16.2.28 11:53 AM (175.114.xxx.217)

    국물을 3/1~2/1정도 따라내고 맹물 부으시고
    스팸 한개 정도 넣어서 팍팍
    끓이시고 간을 보세요.

  • 16. 헐.
    '16.2.28 11:57 AM (117.111.xxx.222)

    새우젓 넣는 레시피가 있으면 그 레시피 그대로 따라 하셔야죠. 그냥 무조건 넣으면 되는 거 아니에요. 파도 너무 많이 넣으면 맛이 이상해요. 그거 설탕을 너무 많이 넣어서 이상해진 게 아니라 파를 너무 많이 넣어서 일수도 있어요.

  • 17. 헐.
    '16.2.28 12:00 PM (117.111.xxx.222)

    요리 못하시면 레시피 그대로 따라 하세요. 제발. 요리 잘 하는 사람들이 아무거나 때려넣는 거 아니에요. 머리에서 다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몇가지 조합을 하면 맛이 예측이 되거든요. 그래서 남들이 보기엔 아무거나 넣는 거처럼 보여도 제대로 된 맛이 나는거죠.

  • 18. 한두번
    '16.2.28 12:58 PM (14.34.xxx.210)

    먹을만큼만 물 조금 넣고 칼칼한 고추 넣고 다시 끓여 먹고
    나머지는 물로 씻은 후 냉동실에 보관했다가 김치볶음밥
    해먹는 수밖에..

  • 19. 아 짜증
    '16.2.28 1:29 PM (178.162.xxx.34)

    질문 글에 타박 좀 하지 마세요. 저런 여자가 시에미 되면 며느리 잡겠네.
    원글님 물은 따라 버리시고 김치를 꺼내서 국간장이나 젓갈간장, 고춧가루, 들기름으로 양념하고 삼겹살이나 스팸, 베이컨을 넣어서 끓여보세요.

  • 20. ..
    '16.2.28 2:20 PM (61.254.xxx.44)

    자꾸 간을 보다가 맛을 못 느끼겠어서 더 그럴 수도 있어요.
    어차피 한꺼번에 먹을 양이 아니니까 완전히 식힌 후에
    혀도 진정 되면 다시 맛을 한 번 보세요.
    끓인 찌개도 나중에 데울때 국물용 멸치 넣고 끓이면
    감칠맛이 돌거든요.
    한꺼번에 처리가 힘드시면 비닐에 먹을만큼 나눠 냉동실에
    넣으시고 1인분씩 넣고 어떤 날은 콩나물,
    어떤날은 스팸에 라면, 어떤 날은 참치캔 넣고
    그때그때 데워드심 먹을만 할꺼에요. 화이팅입니다^^

  • 21. 178.162님 맞아요!
    '16.2.28 4:34 PM (122.45.xxx.85)

    아, 읽다가, 진짜-
    도움청하려고 질문 해놓고 눈물 아이콘까지 뿌려놨구만
    뭐 선생질도 아니고 타박에 나 참.
    가려가면서 읽지않으면 정신건강에 안좋아요 여기

    마지막님 진짜 감사합니다! ㅎㅎ
    도움말씀 주신분들'만'감사해요

  • 22. 유후
    '16.3.5 1:55 PM (183.103.xxx.34)

    신김치의 맛을 중화할 때는 식소다를 새끼 손톱만큼 넣어보세요 신김치는 산성이고 소다는 알카리성이라서 효과적으로 신맛을 잡아줘요 너무 많이 넣으면 닝닝해지니 조금씩만요

  • 23. 유후
    '16.3.9 3:06 AM (122.45.xxx.85)

    님 짱-
    알겠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4835 나혼자 먹는 라면 8 주말 2016/03/05 2,486
534834 두꺼운 자켓 - 활용도가 어떨까요? 2 궁금 2016/03/05 965
534833 강아지에게 음식 이렇게 주면 될까요? 17 .. 2016/03/05 4,565
534832 평촌쪽에 허브 '딜'을 살수있는곳? ㅇㅇ 2016/03/05 401
534831 커피를 맛있게 마셔도 될까! .. 2016/03/05 836
534830 천성적으로 정이 없어요. 13 Dcx 2016/03/05 7,305
534829 수상한 인절미 4 인절미 2016/03/05 1,880
534828 조언 부탁드립니다~ 1 .. 2016/03/05 374
534827 어제 시그널 식당아줌마요. 29 주니어 2016/03/05 14,137
534826 강남구청역이나 학동역 근처 살만한 곳 11 .. 2016/03/05 2,059
534825 시댁에 가기 싫어서 너무 힘드네요 28 울컥 2016/03/05 7,441
534824 필러 부작용 뭘까요? 12 더이상 2016/03/05 10,376
534823 내돈은 아깝고 남의돈은 물이고 13 기막혀 2016/03/05 3,620
534822 초2아들 영어과외고민 1 고민 2016/03/05 1,344
534821 자꾸 아이 교육에 조바심이 나네요 6 ... 2016/03/05 1,997
534820 사주에 관이 많으신 분 있으신가요? 20 ... 2016/03/05 32,455
534819 재벌이 골목시장 밀려들어오는거 보니 속수무책이네요. 7 일자리잠식 2016/03/05 2,178
534818 결혼 후 피부 좋아지신 분들 2 피부 2016/03/05 2,270
534817 고1 남자) 현재 2차 성징 어디까지 왔나요 2 고딩 2016/03/05 2,085
534816 휴롬 문의 2 주부 2016/03/05 881
534815 식후 한시간쯤 후에 당수치 69면 저혈당인가요? 7 당수치 2016/03/05 7,845
534814 중고나라 사기 접수후 우울 10 신용 2016/03/05 3,946
534813 초등 저학년 이하 자녀두신 누나들께 영상 평가 좀 부탁드릴께요... 6 앨리스 2016/03/05 670
534812 러시안블루 고양이 ㅜㅜ 고양이 키우는 분들 도와주세요 13 왜왔니? 2016/03/05 2,536
534811 보검이 파산 기사보고 놀랐어요. 18 2016/03/05 9,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