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안에 같은 질환이 몇명이상 있어야 가족력 또는 유전력으로 판단하나요?

........... 조회수 : 1,818
작성일 : 2016-02-27 09:23:29

보통 병원가면 가족력 있나 유전력이 있나 묻잖아요.

같은 질환으로 몇명 이상이 들어가야 해당되나요?



IP : 216.40.xxx.14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
    '16.2.27 9:26 AM (59.11.xxx.51)

    주로 부모님중한분만 계셔도 가족력있다고 하더군요 결과적으로 한집안에 같은 즉 직계가족중 두명만있어도~~

  • 2. 예전에
    '16.2.27 9:31 AM (112.149.xxx.111) - 삭제된댓글

    사기결혼 당한 지인이 처음 시가에 갔더니 반 이상 갑상선 항진증으로 눈이 튀어나와 있다길래,
    자식 낳으면 유전되는 거 아니냐고 82에 물었어요.
    유전병 맞다고 할 줄 알았는데 낳아봐야 안다는 댓글이 많아서 놀랬네요.
    한국에 갑상선 환자가 급증했다더니 죄다 갑상선 환자만 들어와 댓글 단 건지,
    아님 다들 그 정도 확률에는 자식을 놓고도 도박이 가능한 건지 의아하더군요.

  • 3.
    '16.2.27 9:55 AM (223.33.xxx.100) - 삭제된댓글

    병원에선 가족 중 한명만 병 있어도 가족력이라 하던데요. (아빠 아님 엄마)

  • 4.
    '16.2.27 9:57 AM (211.36.xxx.254) - 삭제된댓글

    2명이상요 가족이나 가까운친척중 그런병이 혼자걸려있음 가족력이 아니죠

  • 5. ..
    '16.2.27 10:02 AM (219.250.xxx.57) - 삭제된댓글

    병에 따라 다르다고 알고 있어요
    유전 요인이 많은 질병은 한 명만 있어도 가족력이 있다고 말하는게 맞고요
    그렇지 않은 병이라면 가족력이라고 하기는 좀 어렵지요
    건강검진을 때 가족 중 다음에 병을 앓은 사람이 있습니까 체크 하는 항목이
    보통 흔하게보는 병 중에서 가족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질병들인 것 같아요

  • 6. ///
    '16.2.27 10:09 AM (1.224.xxx.99)

    부 또는 모. 또는 친조부모 외조부모중의 하나라도 유전병 있으면 그게 가족력 입니다.
    두명도 아니고 한명 입니다. 한명.
    이래서 집안을 봐야한다는 말이 나오는거지요.

    친아빠 고혈압 이였어요. 오빠 나 고지혈증 이에요. 이미 10대부터 높았어요.

  • 7. 원글
    '16.2.27 10:14 AM (216.40.xxx.149)

    무섭네요. 단 한명만 있어도 가족력이라니 참....

  • 8. 가족력질환
    '16.2.27 10:26 AM (218.147.xxx.246)

    대부분하나씩은 있을걸요??

  • 9. ..
    '16.2.27 11:20 AM (112.140.xxx.220)

    가족력과 유전은 다릅니다.

    유전으로 인한 질환은 염색체나 유전자의 변이로 인하여 나타나는것에 비해
    가족력은 환경적인 요인이나 생활습관 등의 지배를 받습니다.

    따라서 유전과 달리 가족력은
    자신의 조부모, 외조부모, 부모, 형제자매까지 3대를 기준으로
    같은 질환자가 2명 이상일 경우 가족력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보통 부모 보다 형제에게 질병이 있을 경우 내가 걸릴 확률이 평균적으로 2배이상 높아요.

  • 10. 저희 외가..
    '16.2.27 6:45 PM (218.234.xxx.133)

    제 외가, 즉 엄마와 엄마 형제들요, 6남매인데 그 중 4명이 암이에요. 저희 엄마 포함해서.
    친가는 고혈압-뇌졸중 병력인데 저희 아버지 포함 3분이 뇌졸중.

    저나 제 형제들 다 전전긍긍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4521 썰전 전원책 박근혜 디스한거네요 ㅎㅎ 6 국민이라는단.. 2016/03/04 2,882
534520 날이 풀린다더니 왜 계속 춥죠? 18 ㅜㅜ 2016/03/04 2,776
534519 면세점에서 살만한 화장품 뭐가 있을까요? 1 dd 2016/03/04 1,243
534518 치과는 정말 양심적인 의사 잘 만나는 게 중요하네요 4 코잉코잉 2016/03/04 2,192
534517 억울한일을 당하니 병이 날것 같아요 3 억울 2016/03/04 1,175
534516 예전에 15살 차이나는 사람을 소개해주려던 사람... 11 거절 2016/03/04 2,640
534515 님들 허벅지는 얼마나 굵은가요? 19 갑자기 궁금.. 2016/03/04 3,778
534514 혼자 올라있으면 무조건 세대주인거죠? 2 주소지 2016/03/04 686
534513 고1인데 깝깝하네요... 5 oo 2016/03/04 1,658
534512 눈썹 그라데이션 시술은 어디서 하나요 3 22222 2016/03/04 1,148
534511 중3 평가문제집이 나을까요? 올백 기출문제집이 나을까요? 1 문제집 2016/03/04 1,858
534510 씻어서 냉장고에 일주일 둔 찹쌀 먹을까요? 1 날개 2016/03/04 424
534509 극세사 이불이 원래 보온성이 없나요? 20 ??? 2016/03/04 3,107
534508 야당, 야권을 지지하는 이유? 2 무무 2016/03/04 387
534507 아이 키 성장 건강기능식품 드셔보신 분? 2 .. 2016/03/04 833
534506 사무용품/문구의 신세계 있나요? 20 ... 2016/03/04 2,425
534505 아니 아니 우리보고 뭘 대체 어쩌란겁니까? 대표님 2 。。 2016/03/04 819
534504 서유럽 영.프.스.이탈리아 4 5월 날씨요? 16 여행 2016/03/04 6,825
534503 오늘 참 이상하네요 1 ㅇㅇㅇ 2016/03/04 700
534502 시민표창양비진쌤 뗐네요 2 왔시유 2016/03/04 829
534501 프리즘을 대신할수있는게 뭘까요? 2016/03/04 337
534500 방정식문제 풀이 부탁드려요.^^; 4 감사 2016/03/04 507
534499 트렌치코트 같이 사실분 있을까요?(사이즈 큰분들만) 6 하얀눈 2016/03/04 1,744
534498 아파트에서 망치질을 좀 해야 하는데.. 집안보다 복도에서 하는게.. 4 ㅠㅠ 2016/03/04 1,018
534497 “언론 바로 세우기, 정권교체 전엔 불가능하다” 1 샬랄라 2016/03/04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