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볶음밥이 잘안되요 맛없어요

조회수 : 3,897
작성일 : 2016-02-17 12:17:52
제가 하면 김치 넣은 요린 다 맛없어요

특히 김뽁이 그렇던데

심지어 조미료 넣어봐도 굴쏘스 써봐도 맛없고

노답이예요

김치가 문제일까요?

양념 많고 새콤한 맛 안나는 김치예요..

엄마김치는 늘 이런식

종가집김치같은 새콤한 김치가 김뽁엔 좋은거 같기도 하고..

김치볶음밥 비법 있나요?
IP : 116.125.xxx.180
2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2.17 12:20 PM (119.197.xxx.61)

    말씀하신대로 김치가 맛있어여야죠
    그리고 볶음밥엔 기름, 기름 많이 넣어주세요
    좀더 특별하게 마늘기름이나 대파기름을 써도 좋구요
    김치 충분히 볶다가 밥넣고 그 다음엔 김치국물 넣고 볶아내요
    아 그리고 김가루 고거 빠지면 섭섭합니다.

  • 2. ㅇㅇ
    '16.2.17 12:21 PM (221.238.xxx.23)

    치즈나 버터 이런거 넣지마시고 볶다가 김칫국물좀 넣으시고(기호대로)
    마지막에 참기름둘러주세요

  • 3. ..
    '16.2.17 12:21 PM (211.198.xxx.195) - 삭제된댓글

    김치 볶음밥이 맛없기도 힘든데
    그냥 쫑쫑썰어 들기름에 달달 볶다 설탕 한스푼 넣고 좀 더 볶은 다음
    밥넣고 김가루 넣고 다시 볶은 다음 계란 노른자 안터트리고 후라이해서
    맨김에 또 싸먹어요.

  • 4. ㅇㅇ
    '16.2.17 12:21 PM (221.238.xxx.23)

    그리고 김치볶음밥 할때 기름 많이넣어도 니맛도내맛도 안나요

  • 5. 저도요
    '16.2.17 12:22 PM (175.126.xxx.29)

    제가해놓고
    제가 못먹을 정도

  • 6.
    '16.2.17 12:31 PM (116.125.xxx.180)

    저도 제가 못 먹어서 통째로 버렷어요 ㅎㅎ
    몇번이나

  • 7. ㅇㅇ
    '16.2.17 12:31 PM (211.237.xxx.105)

    김치를 좀 밖에 내놓으면 신맛이 나죠. 좀 시게 익혀서 하세요.

  • 8. 고추장
    '16.2.17 12:34 PM (125.140.xxx.1)

    고추장을 반스푼 또는 한스푼 넣으시요~~~~~~~~

  • 9.
    '16.2.17 12:34 PM (116.34.xxx.96) - 삭제된댓글

    혹시 김치 볶으실 때 김치 양념과 국물 좀 제거하고 볶으시는지요?
    의외로 이게 중요하거든요.
    보통 물기 있는 그대로 볶는데 그렇게 하면 볶아지는 게 아니거든요.
    팬에 기름 두르시고 열 충분히 올랐을 때 국물 짜낸 김치 넣어서 볶아 보세요.
    볶을 때 색부터 벌써 달라요. 삼겹살집에 가서 맛있게 굽히는 색이라고 할까요? 그런 빛깔이 돼요.
    저는 단맛은 설탕 조금 넣고 물엿 추가로 조절하는데요 막판에 물엿 넣으면 윤기가 흘러서 먹음직스럽죠.
    양념이나 국물을 짜내니까 색이 좀 옅을 때도 있는데 색조절은 고추가루 조금 추가로 넣어주면 되구요.
    재빨리 쎈 불에서 휘리릭 볶는 게 중요해요.

  • 10. aaa
    '16.2.17 12:34 PM (125.185.xxx.209)

    김치를 들기름에 볶으세요. 볶다가 설탕조금 넣고 햄넣고 밥넣고 마지막에 김가루

  • 11. ㄱㄴ
    '16.2.17 12:39 PM (115.140.xxx.74)

    햄이나 소시지, 양파, 당근, 양배추다진것
    등등 같이 넣으세요.
    맛이 풍부해짐

    고추장으로 간맞추고
    버터든, 식용유든 기름지게해야 맛남
    단맛도 조금추가

    칼로리는 높지만, 그래야 맛있음

  • 12. 저는
    '16.2.17 12:39 PM (61.102.xxx.46)

    흠님과 반대 국물 넉넉히 넣고 졸이듯이 김치 바짝 볶아서 그 국물에 밥 비벼서 만들어요.
    제가 만든 김볶은 다들 엄지손가락 두개씩 척척 들어요.

    그리고 물엿이나 설탕 안넣어요. 단맛 나는거 아주 싫어해요.

    김볶은 무조건 김치가 맛있게 익어야 가능 해요. 신맛 나야 제맛

  • 13. ㅜㅠ
    '16.2.17 12:47 PM (1.230.xxx.121) - 삭제된댓글

    굴소스 조금 넣어보세요

  • 14. ㅇㅇ
    '16.2.17 12:50 PM (121.167.xxx.170)

    첨에 베이컨 달달 볶다가 김치투하..
    베이컨 기름에 같이 볶아져서 웬만함 맛있어요
    마지막에 김가루 얹어주면 끝~

  • 15. ...
    '16.2.17 12:55 PM (61.32.xxx.234) - 삭제된댓글

    김치로 만드는 음식은 무조건 김치가 맛있어야 해요~
    김치볶음밥, 김치만두. 김치부침개, 김치찌개 등등...
    버터나 베이컨 기름에 김치 넣고 밥 넣고 볶은 후 참기름 살짝만 해도 맛있는데.....

  • 16. ...
    '16.2.17 1:01 PM (211.209.xxx.22)

    전 올리브유로 볶다가
    맛간장(약간 달달한 간장)으로 간 맞춰요

  • 17. ...
    '16.2.17 1:01 PM (180.224.xxx.177)

    물론 김치가 맛있어야 하지만. 그리고 좀 신김치여야하고요.
    그런데 어쨌든, 아무것도 넣지 마세요.
    삼겹살 채치듯 잘게 잘라서 달달 볶다가 김치 넣고 볶아주세요.
    80% 정도 익었을 때, 밥 넣고 볶으세요.
    김치 양념 따라 간이 달라지는데.
    삼겹살 볶을 때 소금 간만 조금 하시고요.
    넣던 걸 다 빼고....김치하고 삼겹살 조금하고만 해서 볶아보세요.

  • 18. ...
    '16.2.17 1:02 PM (119.193.xxx.172)

    김치만 들어가면 기본이상 맛은 나오는데...
    양념 많은건 좀 털어내도 되는데,
    새콤하지가 않은게 원인 아닐까요?
    밖에 뒀다가 좀 익으면 해 보세요.

  • 19. 모든
    '16.2.17 1:07 PM (164.124.xxx.136)

    김치로 만드는 요리는 신김치여야 해요.
    김치찌개, 김치전, 김치볶음밥 다 시지 않으면 니맛도 내맛도 아니예요.
    너무 시면 설탕이나 조미료로 조금 중화시킬 수 있지만 시지 않은 김치는 맛이 안나더라구요.
    국물을 넣어라 넣지 말아라, 고추장 넣어라, 기름 많이 해라 적게 해라 이런건 다 취향차이 같아요.

  • 20. 으흠
    '16.2.17 1:22 PM (73.34.xxx.5)

    이런 대중적인 음식을 저만 실패하는게 아니였군요. 위안이 됩니다.

  • 21. 무조건
    '16.2.17 1:51 PM (175.196.xxx.37)

    김치가 맛있어야 해요. 김치 들어가는 요리에 김치가 맛없으면 뭘 요리해도 한계가 있어요. 웬만해서는 대충해도 맛있는 김치찌개 조차 김치가 맛없으니 이것저것 손을 써봐도 못 먹겠더라구요.
    김치가 새콤달콤 맛있으면 참기름 넣고 계란 볶고 마지막에 김가루만 넣어도 맛있어요. 여기에 옵션으로 햄이나 베이컨, 참치 등 기호에 따라 아무거나 더 넣어도 되구요.

  • 22. ㅇㅇ
    '16.2.17 2:21 PM (210.221.xxx.7)

    익은 김치 짤게 썰어서 국물도 살짝 후라이팬에 넣고
    식용유를 좀 많다 싶게 두른후 물러질정도로 볶아요.
    그상태에서 참치캔 한통 넣고 물조금 넣고 볶다가 뚜껑 덮고 약불에서 익히듯 뜸을 들이고 조미료 한꼬집.설탕 반수저넣고 잠깐 볶다가
    밥을 따뜻.혹은 미지근한걸 넣고 섞듯 볶아준후 먹어요.
    이건....식당에서 먹는 김치볶음밥에서 조미료덜넣고 덜기름진 맛이 나요.
    조미료 싫으면 빼도 되고.참치도 빼도 되는데...
    식용유랑 설탕은 넣어보세요.
    평소보다 맛있을거예요.
    이렇게 하면 깍뚜기.총각김치넣고 해도 맛남.

  • 23. 설탕..
    '16.2.17 2:39 PM (14.33.xxx.135)

    김치가 들어간 요리는 설탕을 넣어야 맛있던데.. 설탕을 넣어보세요. 저는 볶음밥에는 당연히 넣는데, 김치찌개에도 넣거든요.. 다른 사람들이 보고 놀라던데.. 근데 또 설탕 넣은 거 모른채로 주면 맛있다고들.. ^^;; 볶은김치도 설탕넣고 만들어요. ^^

  • 24. 돼지고기
    '16.2.17 4:30 PM (42.148.xxx.154)

    넣고 김치 넣고 물 두 숟가락 정도 넣고 끓이다가 볶은 다음 김치국물을 넣고 그 위에 밥알을 풀어서 살짝 얻은 다음 뚜껑 닫고 중불이나 약한 불에 뜸을 드립니다. 밥이 뜨거워졌으면 얼른 잘 섞은 다음 그릇에 담아요.
    밥이 응깨지도록 볶으면 맛없어요. 볶은 밥처럼 밥알이 있어야 해요.

  • 25. ....
    '16.2.17 4:42 PM (125.130.xxx.15)

    김치볶음밥...

  • 26. ..
    '16.2.17 4:43 PM (203.170.xxx.39) - 삭제된댓글

    위에도 여러 분들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김치가 그냥 먹어도 맛있는 신김치여야해요. 그럼 참치나 베이컨, 햄 기타 등등 뭘 넣어도 맛있어요. 조미료 아무것도 더 안넣어도 김치양념에 다 들어가있어요. 저 요리 정말 못하는데 김치볶음밥하고 김치찌개는 실패한적 없어요. 친정엄마 김치가 다함..

  • 27. .........
    '16.2.17 4:53 PM (211.210.xxx.30) - 삭제된댓글

    맞아요. 김치 자체가 맛있어야해요. 좀 시고 물렀더라도 칼칼하고 맛있는 김치로 볶음하면 맛있어요.

  • 28. 저장
    '17.1.27 2:55 AM (125.132.xxx.48)

    김치볶음밥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9045 나이 많으신 부모님 알뜰폰이 최선일까요 ? 6 .... 2016/02/18 1,453
529044 누구에게나 친절한 남자 너무 싫지 않나요?? 7 ㅇㅇ 2016/02/18 6,496
529043 타인과의 대화에서 지식이 부족하다 느낄 때 1 MICROp.. 2016/02/18 1,125
529042 55.5kg → 54.5kg.. 1키로 빼는데 15일 걸렸네요... 8 ... 2016/02/18 2,782
529041 처갓집합가글 읽고 여자쪽인...결혼 20년차 여자쪽 입장 10 우연히.. 2016/02/18 4,284
529040 실내 식물 아직 베란다에 내놓으면 안될까요? 4 ... 2016/02/18 972
529039 눈 밑에 멍들었는데 어떡하나요 2 ;; 2016/02/18 796
529038 전주한옥마을 주말에 숙박 예약없이 당일에 바로 이용 가능할까요?.. 4 한옥마을 2016/02/18 2,045
529037 혹시 한부모 가족 지원에 대해 아시는분 안계실까요 2 ㅜㅜ 2016/02/18 1,207
529036 에르메스 백은 어떻게 사나요? 3 ... 2016/02/18 7,426
529035 2016년 2월 18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6/02/18 412
529034 교황-러시아 정교회 1천년 만에 만남 '우리는 형제다' 프란치스코 2016/02/18 390
529033 백미당이 남양이었네요 7 2016/02/18 2,350
529032 운동도 고비 넘기면 좀 수월해질까요,? 3 에휴 2016/02/18 1,175
529031 거여 마천 재개발 지역 이주 시작 되었나요? 3 질문 2016/02/18 1,410
529030 시원스쿨 보면 의문 2016/02/18 1,142
529029 원주 사시거나 잘 아시는 분~ 2 ㅠㅠ 2016/02/18 1,252
529028 요즘 초등 졸업식 분위기. 가족들 많이 안오는 분위기인가요? 19 .. 2016/02/18 3,393
529027 코가 휘어 성형수술을 했는데, 붓기때문에 .. 5 얼굴 2016/02/18 1,261
529026 여행사에 무통장입금한거, 현금영수증 될까요 1 2016/02/18 676
529025 환구시보, 한미 북침하면 중국도 군사적 관여 1 강력경고 2016/02/18 483
529024 코스코 니트릴 장갑을 식자재 만질 때 착용해도 되나요? 5 주방용 장갑.. 2016/02/18 3,931
529023 사위흉을 며느리 앞에서 보는 시어머니 15 ㅇㅇ 2016/02/18 4,142
529022 친한친구가 지방발령 가는데요 선물 또는 식사 중 고민이에요. 2 ㅇㅇ 2016/02/18 585
529021 월세나 전세시 1 2016/02/18 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