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리좀 하신다는 분들 전기렌지 쓰시나요?
요리하면서 정말 중요한게 불조절,
불의 세기 같더라구요.
전기랜지가 청소도 간편하고 바꾸고 싶은맘은
있지만 음식맛이 없어질까봐요
괜한 걱정인가요?
1. ^^
'16.2.13 4:33 PM (61.102.xxx.46)요리선생도 했던 사람인데요.
저는 전기렌지 씁니다. 쓰다보면 불맛 내는 요령도 생기던걸요.
음식맛이 왜 없어지나요?? 전혀 안그렇습니다.
다만 뚝배기는 스크래치 때문에 쓰기 싫어서 무쇠냄비를 뚝배기처럼 쓰는거 말곤 불만 없어요.
곰탕 같은것도 아주 많은 양만 아니면 맛있게 우리는 요령도 생겼고 아주 쓰기 좋습니다.
참 저는 하일라이트 타입 씁니다.2. ㅇㅇ
'16.2.13 4:47 PM (211.46.xxx.201)요령 생기는 게 관건이네요.
3. 지지
'16.2.13 4:48 PM (211.210.xxx.60)불을 중요하게 생각하면 가스가 더 낫죠
유명한 식당 주방에 전기렌지 쓰는 곳 한곳도 못보네요.
요리 가르치셨다는 분 의견치곤 상당이 의외네요
외국도 고급 빌라들은 가스 설지되서있어요4. ㅅ
'16.2.13 4:57 PM (210.90.xxx.116)저도 요리 좋아해서, 전문적으로 배워 보겠다고
비싼 돈 들여 르@@@ 까지 다녔어요.
현직 롯@, 조@호텔 셰프들도 재교육 받으러 오신 분들도 있었지요.
그곳에 아@게 인덕션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다들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저거는 라면을 끓여도 맛없다고......
아예 처음부터 건드리지도 않더군요.5. ...
'16.2.13 5:01 PM (106.252.xxx.214) - 삭제된댓글전 요리는 못하지만 요리 이것저것 다양하게 하고 싶다면 전기렌지 별로인거 같아요. 라면도 진짜 맛이 덜하더라구요.
6. 누구냐넌
'16.2.13 5:03 PM (121.164.xxx.155)저도 두달전부터 하이라이트 쓰고있는데 처음가열속도가 조금 늦어그렇지 만족하는데요?
오히려 불조절잘되고 전체적으로 오븐같은 효과도 있는지 깊은맛내는 음식이 맛있더라구요
요리사들은 빨리음식을해야하고 순간열조절 또 불맛같은것도 내야하니깐 가스를 선호하구요7. 라면은요.
'16.2.13 5:08 PM (61.102.xxx.46)하일라이트 타입의 경우에 찬물에 면 스프 다 넣고 바로 불 켜요.
그렇게 끓이면 굉장히 면 쫄깃하고 맛있게 된답니다.
오히려 물을 끓인후에 면을 넣으면 오래 걸리기도 하고 별로더군요.
신기하죠??
그리고 튀김도 굉장히 안정적인 온도로 잘 되구요.
어차피 가정에서 쓰는 가스렌지는 화력 자체가 업소용이랑 비교가 안됩니다.
그리고 전에 이찬오셰프가 셰프의 야식 이라는 프로그램 처음 나올때 운영하는 레스토랑은 전기렌지 사용 하더군요. 지금은 모르겠습니다.
영화중에 얼마전 개봉 했었던 더셰프 라는 영화에서도 외국 한 레스토랑 (주인공의 라이벌이 운영하는)주방에선 전기렌지를 사용 하더군요.8. ᆢ
'16.2.13 6:13 PM (117.111.xxx.20)요리는불맛이죠
9. 답답
'16.2.13 6:38 PM (223.62.xxx.225) - 삭제된댓글불맛 내려면 영업용 가스렌지 화력이나 돼야 불맛 운운하는거지
집 가스렌지 화력으로 무슨 불맛을 낸다고 그래요
전기렌지 사는거 배아픈 사람들이 그래요10. 수천만원
'16.2.13 7:50 PM (119.194.xxx.182)도 아닌데 뭘 또 배아프기까지야 ㅋㅋ
개인들의 선택이고 취향이죠11. 아이고야
'16.2.13 8:18 PM (182.172.xxx.183)전기렌지가 무슨 황금알 낳는 자산도 아니고 배 아플것까지야
있을까요? ㅎㅎ
배아파 못산게 아니라, 전기쓰는 기구를 별로 좋아하지
않을뿐입니다.12. 저는
'16.2.13 8:20 PM (211.179.xxx.210)가스 냄새와 그 유해성 때문에라도 전기렌지 쓰는 게 좋네요.
전혀 불편함 없이 잘 쓰고 있고요.13. ...
'16.2.13 9:31 PM (59.0.xxx.67)국 끓이거나 조림 튀김 같은 건 괜찮아요.
근데 볶음요리는 진짜 답이 없어요.
물오징어볶음을 하면 센불이 바싹 볶아야 물기없이 매콤하게 되는데 전기렌지는 절대 그게 안되요. 아무리해도 흥건한 오징어조림이 됩니다...
3구 전기렌지 썼는데, 지금은 걍 이사한 집에 빌트인 된 가스렌지 써요14. 여름하늘구름
'16.2.13 10:21 PM (125.177.xxx.3)심지어 깨도 안 볶아져요.
인덕션 2구 하이라이트 1구 쓰는데요 인덕션으로 깨를 한시간을 볶아도 안되서 하이라이트에서 볶으니까 볶아지더라구요.
밥도 찰진밥은 안되요.인덕션보단 하이라이트가 좀 낫긴해도 가스에 한 밥보단 맛 없어요.
불맛이란게 장작불에 한거랑 가스랑도 다른데 가스랑 전기랜지랑도 당연히 다르죠.15. 밥
'16.2.14 12:29 AM (61.102.xxx.46)압력밥솥에 하는데 아주아주 찰진밥 됩니다. 그냥 냄비밥도 잘 해먹어요. 하일라이트 구요.
그리고 깨도 잘 볶아 먹어요.
볶음요리 맛있게 하시려면 팬을 아주아주 뜨겁게 달군후에 재료를 넣고 볶으시면 됩니다.
제육볶음이고 오징어고 낙지고 아무 문제 없이 물 안생기게 잘 볶아 먹고 있어요.
저는 주로 스탠 궁중팬 쓰는데 아주 뜨겁게 달군후에 잠깐 식혀준후에 기름 두르고 재료 휙 넣어서 화라락 볶아 냅니다.16. 키키
'16.2.14 12:43 AM (211.210.xxx.60)웃기려고 쓰셨나
배아픈단 말은 또 뭐래나?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529515 | 이미연도 주걱턱인가요? 6 | 턱 | 2016/02/19 | 6,513 |
529514 | 다 정상인데, 콜레스테롤수치가 위험수준이라면 6 | 다 | 2016/02/19 | 3,113 |
529513 | 잠 안오고 심심하신분.... 수학문제 하나만 봐주세요. 15 | 수학미달자 | 2016/02/19 | 1,652 |
529512 | 엉덩이 골 사이 여드름이 났어요 ㅜ; 5 | 이런./ | 2016/02/19 | 5,846 |
529511 | 가끔 눈에 초점이 잘안맞아 보여요..두통도.. 5 | ... | 2016/02/19 | 3,834 |
529510 | 코만 차가워지는 이유는 뭘까요. 5 | ,, | 2016/02/19 | 1,758 |
529509 | 전주 한옥마을 숙소 추천바래요 3 | 전주 | 2016/02/19 | 1,539 |
529508 | 세상에서제일예쁜여자 15 | 자랑입니다^.. | 2016/02/19 | 6,979 |
529507 | 더민주 '낙동강 벨트' 전략 폐기 8 | 희라 | 2016/02/19 | 1,359 |
529506 | BBC, 한국 개성공단 임금 주장 한 발짝 물러서 | light7.. | 2016/02/19 | 598 |
529505 | [단독]"위안부 할머니 분향시설이 혐오스럽다?".. 3 | ........ | 2016/02/19 | 992 |
529504 | 냉면 먹다 이렇게 황당한 일은 처음이네요.. 92 | 속상하네요... | 2016/02/19 | 23,569 |
529503 | 아이들 특이한? 사교육 학원보내시는분 계신가요? 4 | ㅎㅎ | 2016/02/19 | 2,122 |
529502 | 세브란스 체크업 건강검진 어떤가요? 1 | 김 | 2016/02/19 | 1,903 |
529501 | 가계약 100만원 6 | ㅜ | 2016/02/19 | 1,675 |
529500 | 집매매할때요. | 혹시 | 2016/02/19 | 657 |
529499 | 댓글 496개.. 27 | 헐 | 2016/02/19 | 15,307 |
529498 | 아이가 초등 입학할때 둘째 낳는거요 13 | 마미 | 2016/02/19 | 2,043 |
529497 | 회사에 막말하는 여직원_의견구함 4 | 문의자 | 2016/02/19 | 1,644 |
529496 | 왕년에 일진이었을 것 같은 학부모 갑질 7 | 처음본순간 | 2016/02/19 | 3,661 |
529495 | 자기 연애 얘기 떠벌리고다니고 연애상담하는 40대 남자보면 어.. | viewer.. | 2016/02/19 | 845 |
529494 | 주택 화장실 휴지통 질문 7 | 봄날 | 2016/02/19 | 1,362 |
529493 | 무쇠냄비 마미떼랑 꼬꼬떼의 차이가 뭔가요? 1 | 뭐지? | 2016/02/19 | 1,704 |
529492 | 성인ADHD를 앓고 있는 동료와 잘 지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8 | 에너지 | 2016/02/19 | 4,807 |
529491 | 고 박종철과 박종운 4 | 배신의 아이.. | 2016/02/19 | 1,5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