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조카들 선물 이제 안 하려고요.

흠.. 조회수 : 6,470
작성일 : 2016-02-09 12:49:46
아이들이 어리지도 않아요.

하나는 이제 고2 올라가고, 하나는 초등 5학년

제가 아이가 없이 오랫동안 딩크로 살다가 얼마전에 아이를 낳았고요.
그 사이사이 조카들한테 꽤나 잘했어요.

멀리사는 편이라 명절에도 얼굴을 못 보긴 하지만 친정 갈때는
늘 아이들 옷이나 물건 선물로 주고 용돈도 주곤 했는데 고맙다는 소릴 별로 들은적이 없네요.

이번에도 설명절이 되어서 인터넷으로 옷 사서 보냈거든요.
나름 고가이고 좋은걸로(사진 보내서 고르라고 하고 자기 마음에 드는걸로 사라고 했어요.)

그런데 고모 감사합니다. 전화 문자 하나 없네요.

지난번 친정갈 때도 바리바리 싸갖고 갔는데 정작 고맙습니다~는 못들은거 같아요.

어릴적부터 챙겨주다 보니 그냥 의례히 당연한게 된 느낌?

형제들도 제 아이를 어느 정도 챙기는편이지만 제가 경제적으로 더 여유있어서 더하는편인데,
조카들한테 이렇게 선물해도 결국 고맙다 소리, 문자 하나 못받는데 뭐하러 하나 싶어요.

아기때야 모르지만 고등학생이면 카톡이나 문자 정도로 잘 받았다, 감사합니다~ 정도는 하는게
정상 아닌가요?
IP : 218.110.xxx.11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ㄱㄱ
    '16.2.9 12:54 PM (182.230.xxx.219)

    그 부모가 교육을 잘못 시킨거죠.
    어렸을 때부터 인사 못들었다면서요.

  • 2. 하하오이낭
    '16.2.9 12:56 PM (121.157.xxx.249)

    원래 챙기는 사람만 챙기고 안챙기는사람은 받기만해요 ㅋㅌㅌㅌ

  • 3. 조카들
    '16.2.9 12:56 PM (221.139.xxx.19)

    마음은 항상 고마워할거예요. 인사성이 밝으면 더 예뻐해줄텐데요...글쵸?

    예쁜아가 축하해요^^

  • 4. ..
    '16.2.9 12:57 PM (211.201.xxx.58)

    헐...
    뭐가 이뻐서 선물을ㅠ
    부모는 대체 애 교육을 어떻게 시켰길래

  • 5. ㅣㅣ
    '16.2.9 12:59 PM (211.36.xxx.10)

    맞아요.
    매번 못보고 오는 조카들은
    입학금이든 새배돈이든 시어머니에게 맡기고 오는데
    아무 리액션도 없으니 좀 그렇네요.
    울 애들은 챙김 받지도 못하는데. ㅎ
    이번에도 내려갈 땐 놓고 오지 말자 하면서도
    졸업하는 애 봉투와 나머지 아이들 세배돈 놓고
    오면서 늘 주던거라 이제 스스로도
    습관이 되었나 했네요.

  • 6. ...
    '16.2.9 1:10 PM (14.47.xxx.144)

    오빠네가 형편이 어려워 20년 넘도록
    조카들에게 아낌없이 베풀며 살았어요.
    반대로 저나 저희 아이들은 그 집에서 받은 게 아예 없구요.
    올케나 조카들이 늘 고맙다, 고모가 최고라고 하긴 했습니다만.
    결혼이후 20년 넘도록 부모 재산 축내고
    여태 생활비 교육비까지 지원받으며 사는 오빠 보면서
    이젠 저도 그만하기로 했어요.
    몇천씩, 몇백씩, 몇십씩 빌려 간 돈도 억이 넘는데
    이젠 더이상 선물 공세까지 해가며
    좋은 고모 노릇하고 싶지 않습니다.
    형제간에 돕고 사는 것도 일방적으로 해야 하는 건
    정말 못할 짓이예요.

  • 7. ^^
    '16.2.9 1:12 PM (121.146.xxx.197)

    원래 부모가 시켜야 하는데..
    요즘 고딩들은 인사 같은거 잘 안하는건지, 못하는건지..
    저도 잘 못들어봤어요~~

    조금씩 줄이세요~~
    딱 해주고 서운안할만큼..^^

  • 8. 내리사랑
    '16.2.9 1:30 PM (115.21.xxx.61)

    요즘 애들이 모자른 게 없이 커서 받는게 당연한 거 그런 거 있어요. 영혼없이 고맙다고 꼬박꼬박 인사하면 오히려 잔망스럽다는 마음 들 수도...내 피붙이 조카니까 그냥 이뻐해주는거죠. 그 사랑이 커서도 기억이 날겁니다. 30대, 40대 지나면서 비슷한 경험하면 문득 문득 생각나겠죠. 그때는 원글님은 아마 노인이 되어계시겠고요. 그 때 만나면 따뜻했던 이모, 고모로 기억나는거죠.

  • 9. 언니네 조카들도 그래요
    '16.2.9 1:46 PM (211.36.xxx.86) - 삭제된댓글

    딩크를 호구로 알아요~;;

  • 10. 글쓴이
    '16.2.9 2:38 PM (218.110.xxx.11)

    오빠 내외는 그래도 기본적으로 도리도 하고요, 그쪽 형편에 맞게 제 아이에게 선물도 주고 그래요. 물론 금액은 차이가 배는 넘지만 그래도 제가 훨 경제적으로 여유있으니까요. 어릴적엔 그래서 아이에게 고모 감사합니다. 카드도 쓰라고 하고, 인증샷도 올케 언니가 찍어서 보내주어서 더더욱 신나서 했는데요, 아이가 크니까...그게 없어지네요. 사춘기라 하기엔 이제 좀 큰나이이고, 필요한 거 있음 카톡이나 페이스북으로 갖고 싶다고 링크도 보내는 놈이 받고 나서 문자한절 없으니 서운하다 생각이 들어서 썼어요. 오빠네한테 뭐라 하기는 애매한 거고요. 그냥 조카가 조금 괘씸하네요. 딸처럼 예뻐하고 늘 좋은 것보면 조카 생각나서 주고, 구하고 그랬는데....조카는 딱 거기까지인가봐요. 더 커도 비슷할 듯 해서 이젠 마음 접으려고요. 중학생때라면 모를까 고2씩이나 됐는데 그냥 저랑 정서적으로 그닥 친한 사이가 아니라 불편한 관계이고 제가 일방적으로 애정을 주는 관계 같아요. 대학등록금도 대주려고 했는데 부질없는 짓이라 생각하고 그냥 늦게 낳은 제 딸한테나 올인하렵니다.

    아이두고 뭐 이리 주저리주저리 말이 많고 소위 말하는 뒷담화를 하냐 말씀하시면 진짜 창피하고 할말 없는데요, 그만큼 그 아이한테 준 사랑과 애정과 관심이 컸었어서 상실감도 크네요.

  • 11. 아이입장
    '16.2.9 4:22 PM (222.233.xxx.3)

    크게 필요하지 않거나
    본인 마음에 안드는 선물일 수 있어요.
    머리가 커질 수록
    본인이 직접 고른 게 애착이 가잖아요.

    얼굴 볼 때 용돈을 넉넉히 주세요.
    비싼거지만 본인이 원하는게 아니면
    값어치 못해요.

    물론 사리분별이 있는 아이면 감사인사 정도는 하겠지만
    애는 애니까요.

  • 12. 이제라도
    '16.2.9 5:01 PM (125.57.xxx.152)

    이제라도 아셨으니 다행!
    고모. 이모 조부모는 한다리 건너 두치예요
    잘 해줘도 다음에 커서 부모 챙기지 이모 고모까지 챙길 여력 없어요
    .본인 늦게 낳은 아이에게 충실하시는 게 좋을듯 합니다
    잘 받았다는 인사도 못 받는데 나중에는 상실감이 더 클듯 하네요

  • 13. ...
    '16.2.9 6:32 PM (211.200.xxx.128)

    저는 이번에 조카에게 용돈도 안보냈어요.
    저 역시 늦게 결혼해서 명절. 입학. 어린이날. 크리스마스 이런 날 선물과 용돈을 꼬박꼬박 챙겼거든요. 한데 제가 늦게 결혼해 애를 낳았는데 언니는 단 한번도 챙기지 않더라고요. 저보다 훨씬 잘 벌고 잘 살고 애도 둘이나 되는데. . . 결혼 전에야 그런 생각 안했는데 결혼하고 애 낳고 나니 이건 아니다 싶어 신경쓰이지만 꾹 참고 안챙겨요. 불편한 듯 편한듯 모르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8508 주인나갔다!지금부터파티타임! 3 11 2016/02/16 1,831
528507 아무리 귀찮아도 의무적으로 매일 하는 거 있으세요? 49 의무 2016/02/16 4,127
528506 모유수유, 힘드네요 26 풀빵 2016/02/16 3,649
528505 영화예매할때 한줄씩 비워져있는거 왜그런거에요 1 2016/02/16 2,374
528504 다들 마음놓고 드시나요? 20 dd 2016/02/16 4,499
528503 퇴직금 받을때 2 seasid.. 2016/02/16 1,268
528502 '나만의 좋은 생활습관' 있으면 하나씩 공유해요.. 21 공유 2016/02/16 7,111
528501 위안부 피해 할머니 또 세상떠나...생존자 45명으로 줄어(종합.. 3 세우실 2016/02/16 341
528500 개성공단은 북한독재자에겐 체제 위협적인 트로이 목마 2 트로이목마 2016/02/16 506
528499 손톱 물어뜯는 세돌 아이.... 어찌하나요? ㅠㅠ 4 못난엄마 2016/02/16 1,113
528498 딱봐도 이상한글들 댓글 금지요망 4 ## 2016/02/16 503
528497 아들 제외) 남편 외 지속적으로 만나는 남자 있으세요? 18 질문 2016/02/16 7,250
528496 외벽라인 아파트 단열해서 성공하신 분 있으세요? 3 단열 2016/02/16 1,636
528495 영상 2016/02/16 284
528494 이 버버리 코트 봐주세요 6 40 대 2016/02/16 1,808
528493 이준익감독이 윤동주선생에관한 영화를만들었네요. 5 2016/02/16 1,039
528492 외국생활 하시는 분들..한국 휴가 다녀오실때 질문요.. 12 도브레도브레.. 2016/02/16 2,148
528491 동물병원고양이가 우리개한테 뽀뽀했어요 8 뽀뽀 2016/02/16 2,859
528490 자식을낳고 기른다는게 4 ㄴㄴ 2016/02/16 2,656
528489 어디서 사서 드시나요 답글 꼭 좀 부탁드립니다 5 시레기 2016/02/16 1,526
528488 외소녀 글쓰고 도망치셨네요 6 .... 2016/02/16 2,300
528487 백팔배로 마음 다스리는거 해보신분 계신가요 8 실수 2016/02/16 1,898
528486 왜 마음이 괴롭죠..인생이 1 2016/02/16 1,221
528485 전신마취후 사랑니 발치 12 사랑니 2016/02/16 5,570
528484 졸업때 담임선생님 선물 안 하면 예의없는걸까요? 2 궁금 2016/02/16 1,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