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기업 남편 저녁 잦은 술자리 꼭 필요한가

ㅜㅠ 조회수 : 3,228
작성일 : 2016-01-19 19:20:57
남편은 사십대 후반 대기업 팀장이예요
팀장되기 한 이삼년부터 평일 술약속이 일주일에 많게는 4번 적게는 2번
매주 그렇게 있어요. 지금까지요.
다행이 술 약속이 있더라도 1차에서 항상 끝내기 때문에 8시에서 9시 반
, 10시는 넘지 않고 들어와요.

본인 사회생활의 일부분이라
이런 저녁약속도 중요하다고 하는데
빈도수가 너무 잦다 보니 정말 저 정도로
정말로 대기업에서 승진하고 살아남으려면
저 정도로 회식을 해야하는지 의문이예요.
전 정년이 보장된 곳에서 일하는데 회식이라고 해봤자
일년에 손가락에 꼽힐 정도고
사적인 약속을 거의 없기도 하거니와
아들들(초등 둘) 챙겨야하기 때문에 약속을 잡지도 않아요.

정말 저런 저녁 약속
사회 생활하기 위해선 꼭 필요한건가요 남편 말대로 ?
IP : 39.119.xxx.111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딴얘기지만
    '16.1.19 7:23 PM (182.209.xxx.9) - 삭제된댓글

    저희남편은 업무보고 들어오는 시간이 10시인데..
    술자리하면 12시 넘어가는건 기본이고요.
    술 먹고 오는데 10시면.. 부럽네요.

  • 2. 조약돌
    '16.1.19 7:31 PM (117.111.xxx.19)

    평균 귀가시간으로 봐선 놀고 싶어 부러 약속을 만든건 아니네요. 근데 대기업 팀장은 일반적인 모습인듯..

  • 3. ....
    '16.1.19 7:37 PM (39.119.xxx.111)

    남편은 인맥 관리라고해서 그렇게 술약속을 집아요
    저번주에는 금요일 빼고 저녁약속(술 포함) 있었고
    이번주엔 어제 오늘 연속이네요...

    남편과 서로 속해있는 조직 문화가 다르니 남편 말이 맞는건지
    남편이 필요이상으로 저녁 약속을 잡는건지 모르겠네요...

  • 4. ...
    '16.1.19 7:42 PM (223.62.xxx.99)

    사람 나름이죠. 사람들 만나는 것보다는 자기 투자가 낫죠

  • 5. 원글님 남편같은 분이
    '16.1.19 7:44 PM (182.209.xxx.9)

    대기업에서 오래 살아남고 승진도 빨라요.
    일 잘하는 사람보다 인맥관리 유대관계 돈독히 해놓는게..

    이런 조직 속성이 바껴야되는데..현실은;;;;;

  • 6. ...
    '16.1.19 7:44 PM (183.98.xxx.95)

    그건 알수가 없다고 봅니다
    제 남편은 결혼하고 여러가지 사정상 일찍 귀가하지 못했어요
    나중엔 일찍 들어올수도 있었는데 일부러 안왔다고 했어요
    술약속은 아니고 회사에서 있다가..
    이유는 집에 들어와도 아이들 공부한다고 텔레비전도 못보게 하는 저때문에 그랬다고.
    아이들 고등가서는 중간에 휴직도 하고 해서 둘만의 시간을 많이 가지기도 했어요
    주말에는 아이들 학원 라이드도 해주고
    어릴때는 좀 힘들어요
    원글님 남편은 승진이나 실직의 불안한 마음이 들어 필요이상의 약속을 잡을수도 있겠지요
    서로 터놓고 얘기하는게 필요한데 지금은 그게 안될수도 있겠지요

  • 7. 팀장이니깐
    '16.1.19 7:50 PM (66.249.xxx.208) - 삭제된댓글

    더더욱 필요하죠 팀장의 능력은 사람 매니지먼트로 평가되죠. 사람과 친해지는 방법이 한국사회에서는 술이나 밥이구요. 당연한건데...

  • 8. 팀장이니깐
    '16.1.19 7:51 PM (66.249.xxx.213)

    더더욱 필요하죠 팀장의 능력은 사람 매니지먼트로 평가되죠. 사람과 친해지는 방법이 한국사회에서는 술이나 밥이구요. 당연한건데...정년보장된곳 계시니 눈치볼필요도 정보력도 필요없겠죠.

  • 9. 대기업 나름
    '16.1.19 7:58 PM (121.166.xxx.137)

    상황이 다 다른거겠죠
    제가 일하는 곳에선 팀장님이 야근 안하고 가는거 거의 못봤어요
    야근후 한잔은 모르겠지만 기본 퇴근이 10시는 넘어요

  • 10. ㅋㅋㅋ
    '16.1.19 8:41 PM (175.223.xxx.73)

    국내에서 가장 좋다고 하는 대기업 다녔는데요...
    ㅎㅎㅎㅎ
    집에 들어가기싫어서 술자리 갖는 남자들 많아요. 회사 자체에서는 술도 별로 안마시게 하고 9시 전에 들어가라고 하는 지침을 주는데요

    남자들 자체가 말을 안듣죠... 회사에서 확인할 길도 없구요.. 부인들만 모를뿐...

    술자리 참석한다고 오래 다니는것 아닌데..명퇴 준비나 잘하라고 하세요 ㅎㅎ

  • 11. ..
    '16.1.19 9:09 PM (125.180.xxx.190)

    175.223 쓰는애들은 하나같이 모지리들

  • 12. 핑계
    '16.1.19 9:09 PM (219.255.xxx.212)

    저 정도는 본인이 좋아서 그러는 거예요
    회시마다 분위기는 조금씩 다르겠지만
    남자들 1주일에 3번 넘게 술 먹는 건
    본인이 술을 좋아하기 때문이예요
    자주 술 먹는 사람은 집에 바로 가는 걸 못해요
    꼭 누구라도 엮어서 술 한잔 해야 집에 가지
    약속 없으면 허전해 하더라구요
    그거 완전 습관이예요
    영업직도 아니고 사내 네트워크 위해서라는 건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끼리 자주 어울린다'의
    뜻입니다

  • 13. 맞아요
    '16.1.19 9:19 PM (175.223.xxx.29)

    자기가 좋아서 그러는 거죠. 알콜의존증.. 팀당 한두명은 있는게 거긴 팀장이 그러하니 짓원들 괴롭겠당 ㅎㅎ

  • 14.
    '16.1.19 9:21 PM (218.237.xxx.119)

    저 윗윗댓글 완전 맞는듯해요
    우리남편 얘기네요
    우리남편 동료신지...

  • 15. ㅋㅋㅋ
    '16.1.19 9:23 PM (175.223.xxx.73)

    125.180 남편 늦게와서 발끈했어요? 님같은 모지리는 아닌데...

  • 16. 글쎄요.
    '16.1.19 9:45 PM (112.121.xxx.166)

    남자들도 집에 늦게 들어가려고 자꾸 회식이나 모임 잡는 윗선들 많다고 불평불만 하던데요.
    쓸데없는 기업들 연줄문화, 접대문화 등 회식문화가 없어져야 기업도 투명해지고, 승진도 투명해지고, 맞벌이 가정도 정상운영 되는데.

  • 17. ..
    '16.1.19 9:48 PM (117.111.xxx.219) - 삭제된댓글

    회사나 팀마다 분위기가 워낙 달라서 딱 잘라 말할 수는 없지만.. 저희 팀장님을 보자면요. 팀원이 40명 좀 넘는데 분기에 한번 정도 돌아가면서 팀원면담을 해요. 점심이나 저녁약속 잡는데, 저녁먹을때는 같은 업무 하는 팀원들 같이 면담일정 잡아서 간단히 1차로 마시면서 얘기해요. 그리고 주간보고나 월례회의 기타 등등 윗선 보고 있는 날은 팀장님들끼리 저녁 일정 잡으시구요. 간간히 협력사 미팅도 하고 팀원들 맡고 있는 플젝에 일 생기면 고객들 만나서 풀어주고 그래요. 팀장님 일정은 대부분 사내 일정메뉴에 등록해두고 공유하니까 대략 일주일에 두세번은 공식 저녁일정이 있는것 같네요.

  • 18. ....
    '16.1.19 9:50 PM (39.119.xxx.111)

    여러분들깨서 주신 댓글을 종합하니 어느정도 상황 파악이 되네요.

    오늘은 또 어떤 거래처 본사분과 저녁 식사만하고 들어 와서 지금 자고 있어요.
    제가 모르는 남편의 필요에 의한 저녁식사라 이해해야할것 같아요. 댓글 주신 분 감사합니다.
    평안한 밤 되세요

  • 19. 짧게
    '16.1.19 10:59 PM (116.40.xxx.2)

    네.
    답은 그냥 네~

    사회생활을 술 없이도 물론 할 수 있어요.
    그런데 그건 첫째 본인이 술에 거부감을 갖고 있어야 하고, 둘째 술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사회생활의 빈 부분을 채워야 해요. 어차피 술자리 이상으로 시간도 들고 비용도 들죠. 아무튼 주변과의 단절없이 뭔가는 필요합니다. 선택의 문제일 뿐이예요.

  • 20. ...
    '16.1.19 11:36 PM (110.70.xxx.233) - 삭제된댓글

    저희 회사는 팀장이면 아래 여러 파트가 있고... 한팀이 매우 큰 조직이에요. 거의 중소기업급. 그런 큰 팀의 팀장이면 그러실수있어요.
    뭐 몇명 모여서 벙개나할까? 이런거 예상하시는 덧글도 있는데... 제가 보기엔 1차에서 끝난다는거보니 공식 석식자리입니다. 법인카드도 밤 9시 이후에 못 쓰도록 합니다.

  • 21. ...
    '16.1.19 11:42 PM (110.70.xxx.233) - 삭제된댓글

    제 남편은 아직 30대 후반 널린 과장급이라 오히려 개인 약속 많아요. 본인 취미생활로 맨날 그렇게 늦습니다;;; 하지만 윗분들은 다르죠... 이해해주시고 건강챙겨주세요.

  • 22. 110.70님
    '16.1.19 11:47 PM (175.223.xxx.73) - 삭제된댓글

    삼성이신가요?

  • 23. ...
    '16.1.20 12:04 AM (220.127.xxx.2) - 삭제된댓글

    회식까지 하고 10시에 들어오면 상당히 일찍 오는거 아닌가요?
    잘 생각해보세요
    님 남편이 벌어주는 돈의 규모가 다르다면
    회식을 통한 인맥관리때문일수도 있습니다
    아침에 꿀물 타주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248 약19) 출산후 남편과의 관계시 통증 10 흑흑 2016/01/29 5,824
523247 딸 친구가 멀리서 다른지역에서 놀러오면 13 안녕하세요 2016/01/29 2,031
523246 미혼분들 자녀있는 기혼여성 보면 어떠세요? 26 .. 2016/01/29 3,158
523245 제가 결혼한 이후..우리 할머니 왜 이러실까요? 6 아름다운 2016/01/29 2,330
523244 선배님들, 여행용(수하물) 캐리어 추천 좀 해주세여 1 미리 2016/01/29 837
523243 82엔 댓글수정 삭제기능이 없나요? 2 2016/01/29 422
523242 헤어매니큐어?헤어왁싱 써보신 분?? 3 새치야 가라.. 2016/01/29 1,226
523241 멸치 요리법 좀 알려주세요 4 며루치 2016/01/29 1,562
523240 인사과에 계신 분...이직확인서 작성이 어려운건가요 3 이해안되네 2016/01/29 4,682
523239 잠안와서 미치겠네요. 저 좀 살려주세요. ㅜ 9 와.. 2016/01/29 1,665
523238 인천에서 갑상선질환 잘보는 병원 1 ㅇㅇ 2016/01/29 1,402
523237 이재명, 변희재 상대 승소 “내가 간다...일베충 기다려라” 6 세우실 2016/01/29 1,380
523236 오븐에 고기를 구우면 너무 바싹익고 딱딱해 지는데.. 촉촉하게 .. 9 오븐 2016/01/29 3,379
523235 쥬시꾸띄르 혹시 백화점말고 싸게 살 수 있는곳? 알려주세요 2016/01/29 400
523234 더민주 양향자 정강정책연설 20대 국회의원선거 방송연설 1 더민주 2016/01/29 530
523233 쌍방울이 김해에 있나요? 문의 2016/01/29 394
523232 정시도 추합이 제법 나오나요? 15 2016/01/29 3,624
523231 중고나라 카페 오래 이용안해도 활동정지가 되나요? 7 어떻게 이용.. 2016/01/29 666
523230 푸석한 머릿결 답이 없나요? 돈많이 들이고 노력해도 제자리 31 하하오이낭 2016/01/29 10,844
523229 [급질]IT계통 이력서 영문으로 작성 가능하신분 찾아요 5 .. 2016/01/29 625
523228 아이들 이렇게 잘 키워야겠어요 4 교복천사 2016/01/29 1,823
523227 출장 돌사진 추천 부탁드립니다 조카 돌 2016/01/29 339
523226 거부할수록 당기는 과식에 대한 몇가지 조언 (펌) 다욧하자 2016/01/29 1,034
523225 명절 선물 세트 처치방법 알려주세요 3 ... 2016/01/29 1,027
523224 혼자 조곤조곤 차분한 척하는 거 솔직히 짜증스러울 때가 있어요 15 허허허 2016/01/29 6,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