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울대 간호학과와 소비자아동학과 중 어디가 더 가기 힘드나요?

몰라서 조회수 : 4,297
작성일 : 2016-01-15 00:47:42
여학생인데요 저 두 과중 어디가 더 높나요? 비슷한가요 아님 크게 차이 나나요?
질문이 넘 무식한가요 ㅠㅠ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IP : 121.134.xxx.157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15 12:49 AM (61.80.xxx.7)

    이고, 문과 서로 다르지 않나요?

  • 2. ...
    '16.1.15 12:51 AM (14.35.xxx.135)

    이과 문과 다르지만
    요즘 간호학과 입결 폭발이에요..
    아주 높습니다

  • 3. 98
    '16.1.15 12:56 AM (211.187.xxx.28)

    기준으로는 가정대가 간호대보다 높았어요. 왠만한 대학은 다 그랬음

  • 4. ㅇㅇㅇ
    '16.1.15 12:59 AM (211.237.xxx.105)

    둘다 서울대에선 낮은과죠. 농대보다 낮을듯요.
    그래도 둘중엔 간호학과가 높을듯합니다.
    서울대 간호학과는 간호사 되려고 가는게 아니고 임상 몇년후 대학원진학하고
    간호학과 교수 노리고 가는학생들이예요.

  • 5. 그때그때
    '16.1.15 1:00 AM (14.52.xxx.171)

    다르지만
    소아과는 정시에선 몇년 탑을 찍었어요
    수시는 선호도별로 우수학생이 몰리는데
    정시는 눈치보느라 낮을거라 생각한과가 폭발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소아과가 딱 그 케이스,연신학하고 쌍두마차

  • 6.
    '16.1.15 1:44 AM (122.44.xxx.36)

    요즘은 실력하고 대학하고 매치안됩니디
    낮은과가 탑 찍고 인기과가 바닥찍는 경우가 허다해요
    합격도 정말 소수점 두자리까지 치열해서요
    왜 내신이 중요하다고 하는지 실감나더군요
    입시 4년치뤄본경험으로는
    운칠기삼이 맞아요
    수능 한두문제로 명문대가 인서울로 바뀌니ㅠ

  • 7. ..
    '16.1.15 3:13 AM (203.252.xxx.125) - 삭제된댓글

    소비자아동이 입학성적 탑찍었다 이건 진짜 루머에요
    몇년마다 이런 소문이 도는데 절대 아닙니다.
    원서 써 보신 분이면 알거에요. 서울법대 쓸 수 있는 성적으로 소비자아동 쓰는 사람 정말 단한명도 없어요. 낮은과가 박터지는건 어느 학교나 다 비슷해요 그러다보니 다른 과동기들에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 맞은 사람들이 몇 있다 이런 맥락일뿐이고요 그사람들도 소비자아동에 비해 높은점수이지 서울법대갈점수는 절대 아니에요. 윗님말씀대로 소비자아동이 몇년째 서울대 탑이라면 서울대 전체 수석입학이 한 번이라도 소비자아동에서 나왔어야겠죠? 그런 적 없잖아요. 그냥 루머입니다. 연대신학도 언급하셨는데 이거 역시 루머에요. 신학은 다른 과에 비해 성적이 현저히 낮아요 취향도 타고요. 연대 사회과학 같은곳 쓰고 싶은데 겁을 먹어서 하위과를 쓴다고 하면 쓰는 곳이 인문대나 생활과학대에요. 신학이 아니고요.

  • 8. ..
    '16.1.15 3:20 AM (203.252.xxx.125) - 삭제된댓글

    소비자아동이 입학성적 탑찍었다 이건 진짜 루머에요
    몇년마다 이런 소문이 도는데 절대 아닙니다. 주위에 있는 서울대생 아무나 잡고 물어보시면 알 거에요. 간간히 들리는 도시전설같은 루머인데 서울대생 아무도 여기 동의 안해요.
    그치만 무슨 취지로 저런 루머가 나오는지는 알겠어요. 낮은과가 박터지는건 어느 학교나 다 비슷해요 그러다보니 다른 과동기들에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 맞은 사람들이 몇 있다 이런 맥락일뿐이고요 그사람들도 소비자아동에 비해 높은점수이지 서울법대갈점수는 절대 아니에요. 윗님말씀대로 소비자아동이 몇년째 서울대 탑이라면 서울대 전체 수석입학이 한 번이라도 소비자아동에서 나왔어야겠죠? 그런 적 없잖아요. 그냥 루머입니다. 서울대 인문2입학한 친구가 경제학과 붙은 친구보다 성적이 좋았다 이런 경우는 있을 법도 하고 실제로 제가 본 친구 케이스인데요 이런 경우도 굉장히 특이한 경우고요. 서울법대 갈 성적인데 겁먹으면 인문1정도 쓸거같요 아무리 낮춰도 인문2정도에요 사실 이것도 엄청나게 소심한 사람이나 이렇게 쓰지 일반적으로는 말도안된다고 생각하지만요. 그런데 소비자아동이 몇년째 서울대탑? 이건 정말 루머입니다. 연대신학도 언급하셨는데 이거 역시 루머에요. 신학은 다른 과에 비해 성적이 현저히 낮아요 취향도 타고요. 연대 사회과학 같은곳 쓰고 싶은데 겁을 먹어서 하위과를 쓴다고 하면 쓰는 곳이 인문대나 생활과학대에요. 신학이 아니고요.

  • 9. ..
    '16.1.15 3:30 AM (203.252.xxx.125) - 삭제된댓글

    아 그리고 원글님 질문에 대답을 드리면, 간호랑 소비자아동중엔 소비자아동이 점수가 더 높았던걸로 기억해요.
    요새 간호대 인기 폭발인건 맞는데 그건 취업난과 연계돼서 중위권 정도 학교들부터 간호대가 상위권으로 치고올라오는거 같고요. 서울대는 취업난때문에 간호대가 선호되는 분위기는 아닌거같아요 간호대 친구들도 거의 보건복지부쪽 공무원이나 대학원 생각하는거 같더라고요

  • 10. 정확히
    '16.1.15 5:24 AM (14.32.xxx.223)

    서울대 문과에서 모든 학과는 점수차이가 미미해요.
    경영은 최초컷은 높지만 최종컷은 거의 꼴찌수준이죠. 올해도 그렇구요.
    소비자아동과 간호를 비교하기는 그렇지만 점수로 비교하자면 소비자아동이 훨씬 높아요.
    소비자아동은 문과에서 중간쯤 해당하는 점수고 간호는 제일 아래지요.
    상위권학생들에게 간호는 선호하는 전공이 아닌데 서울대간호라면
    전과를 염두해두고 오는 학생들도 있네요.

  • 11. ...
    '16.1.15 9:21 AM (39.7.xxx.23) - 삭제된댓글

    윗님 소비자아동이 문과에서 중간쯤 해당하는 점수라니요 아닙니다
    생활과학대 안에 소비자아동이랑 의류학과 이렇게 있는데 점수로 따지면 문과에서 가장 하위에요 중간 아닙니다.

  • 12. 소비자아동
    '16.1.15 9:49 AM (211.199.xxx.141)

    문과에서 하위권 맞아요.
    정시에서 탑을 찍었다는건 오해의 소지가 있어요.
    제 아이때 경우를 보면 서울대를 꼭 가야겠다는 학생들의 하향지원으로 1차컷이 농경제와 더불어 가장 높았어요.
    꼬리 펑크라고 해서 경영은 1차컷이 가장 낮았고요.
    하지만 2배수를 뽑는 1차에서 얘기고 최종합격이 되는 1배수는 성적이 높고 촘촘해요.
    경영이 입학성적 평균은 가장 높았다고 학부모 간담회에서 설명 들었어요.
    서울대 문과에서 모든 학과는 점수 차이가 미미하다는데는 동의해요.
    물론 작은 차이가 차이를 가르는거겠죠.

  • 13.
    '16.1.15 9:58 AM (211.106.xxx.137) - 삭제된댓글

    소비자아동이 문과에서 제일 하위인 과 맞아요.
    성적이 요동칠 때야 가끔 있겠지만 그게 선호도가 바뀌어서 그런 게 아니쟎아요.
    윗님 입시 경험하실 때랑 또 다른 게 지금은 정시가 수능 백퍼센트예요.
    그래서 1차, 2차가 없다 보니 의외로 커트라인 뒤집어지는 경우는 잘 생깁니다.

  • 14. ..
    '16.1.15 10:04 AM (115.136.xxx.131) - 삭제된댓글

    소비자 아동학과를 물로 보시는군요
    여기 입시 치뤄본 몇분만 아시네요 서울대 지원할 문과 학생 수준이 그렇게 차이 나지 안아요
    정시에서 실제로 컷이 상워권과 맞먹기도 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2463 풍수인테리어 잘 아시는분ㅠ 9 2층집 2016/01/27 3,335
522462 위안부 할머니들 日 항의방문.."아베가 직접 사죄하라&.. 1 후쿠시마의 .. 2016/01/27 368
522461 삐딱해지면, 나가서 혼자 살겠다는 딸. 15 2016/01/27 3,486
522460 몇백만원 정도 펀드에 들어 보고 싶어요 2 이정 2016/01/27 1,380
522459 영화 . 타인의삶은 어떤걸 말하려는 걸까요 3 2016/01/27 1,464
522458 정말 성격차로 이혼하고 싶네요 12345 2016/01/27 1,696
522457 30년 두피 가려움증 완치 방법 공유합니다. 11 60대 2016/01/27 23,860
522456 4인가족 이상 주상복합 사는 분들은 몇 평에 살고 계신 건가요?.. 3 주복 2016/01/27 1,750
522455 예뻐지고 싶어요.. 6 중년 2016/01/27 2,190
522454 딩크 7년차에 아기 낳아보니..썼는데요 27 사랑 2016/01/27 15,716
522453 부모자식간에도 갑과을이 있네요 4 치즈 2016/01/27 2,472
522452 계단오를때 엄청 다리 후달리고 심장힘들면,,어찌해야 하나요? 8 Wwww 2016/01/27 2,453
522451 중 외교부 대변인, 미국에 “멋대로 지껄이지 말라” 직격탄 self 2016/01/27 596
522450 서울투어버스 어떤가요? 1 방학 안끝나.. 2016/01/27 679
522449 도대체 1층엔 어떤 벌레가 오나요....? 28 오션 2016/01/27 10,793
522448 집에서 살빼기 방법... 뭐가 좋을까요 5 ㅇㅇ 2016/01/27 3,998
522447 베프가 결혼한다는데 축의금을 얼마나 해야할까요? 5 원글 2016/01/27 2,483
522446 저희 분수에 맞는 소비는 어느 수준일까요? 8 ... 2016/01/27 2,017
522445 망가진 금붙이 팔았는데 좀 봐 주세요 8 뒤늦게ㅠ 2016/01/27 2,420
522444 오늘 주재원글... 2 크게웃자 2016/01/27 2,335
522443 죽어서도 국방의 의무를 다해야 하는 대한민국 light7.. 2016/01/27 433
522442 여섯살 우리 딸의 경우, 김과 누룽지를 안 갖고 가면 해외가서 .. 5 근데 2016/01/27 2,170
522441 고양이얘기.... 4 냥냥냥 2016/01/27 1,228
522440 다혈질 시어머니 2 아.... 2016/01/27 1,337
522439 2000원짜리 삔 사와서 해보니까 불량이에요 3 우씨 2016/01/27 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