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책을 읽다가 넘 웃긴 글이 있어서...

ㅎㅎ 조회수 : 2,355
작성일 : 2016-01-11 11:59:43
글쓰기에 관한 책을 읽는중인데 어휘력 관련 얘길하며 작가가 이렇게 써놨더라구요.

'... 한국어 단어를 3000개 정도밖에 알고 있지 않은 사람과 3만 개 정도를 알고 있는 사람의 글은 완전히 다릅니다.
여담입니다만, 저는 박근혜 대통령이 도대체 한국어 단어를 몇 개나 알고 있는지 좀 궁금해요. 하도 말을 안하고, 하더라도 짧게만 얘기하잖아요. 불어나 중국어로 연설까지 했으니 그 언어들쪽으론 몇 만 개의 단어를 알고 계실지 모르겠는데 한국어 단어는 솔직히 1000개도 모르시는 거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듭니다.'


넘 공감이 돼서 그런가 웃음이 빵 나더라구요.ㅎ


IP : 220.121.xxx.167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11 12:01 PM (125.180.xxx.181)

    사실일 가능성이 커서 슬프네요

  • 2. ㅋㅋ
    '16.1.11 12:05 PM (218.37.xxx.215)

    혹 유시민작가 책인가요?

  • 3. 책 제목 좀 알려주세요
    '16.1.11 12:10 PM (121.161.xxx.44) - 삭제된댓글

    궁금하네요

  • 4. ..
    '16.1.11 12:13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나는 저 내용에 반대에요.
    처음 들어본 단어로 글 쓰는 사람의 책이
    그 책이 베스트에 진입할 수 있어요?
    박대통령이야 확실한 지지계층들이 알아먹는 단어로만 언어를 구사하잖아요.
    50이상 비교적 학력이 짧은 그래서 어휘력도 짧은 장년, 노년 세대들이
    확실한 자기 지지세력이죠.
    많이 배운 젊은 사람들이 보기에는 짧은 어휘력이지만,
    나이든 사람들이 보기에는 알아먹을 수 있는 말을 하는 사람이죠.
    관점에 따라 다른 것으로.

    작가의 어휘력이 좋다하더라도
    듣는 독자의 어휘력이 기준이 되어야지,
    작가의 어휘력 기준으로 자유자재로 쓰는 것이 글쓰기는 아니라고 봐요.
    오히려 그 시간에 현장 경험을 키워 생각의 깊이와 경험의 깊이를 살리는 것이
    작가의 소양이라고 봐요.
    물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거나 이론적인 내용의 글쓰기라면 다른 얘기겠죠.

  • 5. ㅎㅎ
    '16.1.11 12:14 PM (1.236.xxx.38)

    참 나쁜 사람이라던가
    혼이 비정상

    이런말 쓰는거 보면 동의하지 않을수 없는...

  • 6. ..
    '16.1.11 12:15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나는 저 내용에 반대에요.
    처음 들어본 단어로 글 쓰는 사람의 책이
    그 책이 베스트에 진입할 수 있어요?
    박대통령이야 확실한 지지계층들이 알아먹는 단어로만 언어를 구사하잖아요.
    50이상 비교적 학력이 짧은 그래서 어휘력도 짧은 장년, 노년 세대들이
    확실한 자기 지지세력이죠.
    많이 배운 젊은 사람들이 보기에는 짧은 어휘력이지만,
    나이든 사람들이 보기에는 알아먹을 수 있는 말을 하는 사람이죠.
    관점에 따라 다른 것으로.

    작가의 어휘력이 좋다하더라도
    듣는 독자의 어휘력이 기준이 되어야지,
    작가의 어휘력 기준으로 자유자재로 쓰는 것이 글쓰기는 아니라고 봐요.
    오히려 그 시간에 현장 경험을 키워 생각의 깊이와 경험의 깊이를 살리는 것이
    작가의 소양이라고 봐요.
    물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거나 이론적인 내용의 글쓰기라면 다른 얘기겠죠.

    하버드 출신 이준석이 현란한 어휘를 구사하면서
    잘난척똑똑한 체 하는데, 그게 보기 좋아요? 어휘 추려내기가 필요해 보이던데ㅛ.

  • 7. ..
    '16.1.11 12:15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나는 저 내용에 반대에요.
    처음 들어본 단어로 글 쓰는 사람의 책이
    그 책이 베스트에 진입할 수 있어요?
    박대통령이야 확실한 지지계층들이 알아먹는 단어로만 언어를 구사하잖아요.
    50이상 비교적 학력이 짧은 그래서 어휘력도 짧은 장년, 노년 세대들이
    확실한 자기 지지세력이죠.
    많이 배운 젊은 사람들이 보기에는 짧은 어휘력이지만,
    나이든 사람들이 보기에는 알아먹을 수 있는 말을 하는 사람이죠.
    관점에 따라 다른 것으로.

    작가의 어휘력이 좋다하더라도
    듣는 독자의 어휘력이 기준이 되어야지,
    작가의 어휘력 기준으로 자유자재로 쓰는 것이 글쓰기는 아니라고 봐요.
    오히려 그 시간에 현장 경험을 키워 생각의 깊이와 경험의 깊이를 살리는 것이
    작가의 소양이라고 봐요.
    물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거나 이론적인 내용의 글쓰기라면 다른 얘기겠죠.

    하버드 출신 이준석이 현란한 어휘를 구사하면서
    잘난 티 똑똑한 티를 내는데, 그게 보기 좋아요? 어휘 추려내기가 필요해 보이던데ㅛ.

  • 8. ...
    '16.1.11 12:28 PM (1.236.xxx.38)

    윗님 말씀도 맞는 말씀이네요
    그런데 문제는 박대통령이 자기 지지계층에게 어필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그런 어휘를 쓴다기보다
    그냥 어휘력이 짧아서 그런거라는게 느껴지니
    지지계층 외의 다른 국민들에게 무시를 받는게 아닌가 싶네요
    못배운 노인네만을 위한 대통령임을 자초하는건가요?

    사실 노회찬도 얼마나 쉬운 어휘만 쓰나요? 쉽게 쏙쏙 이해 되지만
    노회찬보고 어휘력이 딸린다는 사람 아무도 없잖아요
    제대로 어휘를 구사할줄 아는 사람은 이준석처럼 잘난척 화려한 어휘를 쓰는 사람이 아니라
    적재 적소에 맞는 명쾌하고 쉬운 어휘와 문장을 골라낼줄 아는 사람이죠

  • 9. 놀라워라~
    '16.1.11 12:30 PM (182.226.xxx.232) - 삭제된댓글

    제가 압니다.
    우리들이 힘을 합쳐 나간다면,
    바쁜 벌꿀은 슬퍼할 겨를이 없기 때문에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 10. ㅋㅋㅋ
    '16.1.11 1:39 PM (61.104.xxx.162)

    윗분말씀대로..못배운노인네들 대상이어서 일부러 알아듣게 쉽게 말하는 친절한 댓통령이다라고 치고..
    그렇게 쉽게 설명하는데도 우리는 왜 근혜번역기를 써야할까요..내참

  • 11. MandY
    '16.1.11 2:28 PM (121.166.xxx.103)

    원글님 읽으시는 책이 뭔지 궁금하네요^^

  • 12. 에이
    '16.1.11 2:47 PM (14.43.xxx.169) - 삭제된댓글

    기본 어휘 쓴다고 어디 알아먹기 쉽던가요? 어법이 맞질않는데. 무슨 말이 하고싶었던 걸까 해석하려면 힘들어요.

  • 13. ..
    '16.1.11 3:2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제가 저 위에 댓글로 박대통령이 쉬운 어휘 쓴다고 했지만,
    전략적으로 쓸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냥 또래 세대들이랑 수준이 딱 맞다 정도죠.

  • 14. 어법이
    '16.1.11 7:21 PM (118.217.xxx.58)

    뒤죽박죽이 맞아요.

  • 15. 요즘
    '16.1.11 7:36 PM (183.99.xxx.95)

    나이드신분들이 산전수전 다겪고 을매나 총기있는데....

  • 16. ...
    '16.1.11 9:07 PM (211.172.xxx.248)

    노인네들이 말 알아듣고 지지하나요?
    그냥 얼굴만 보고 지지하는거에요. 표정이 한결같아 좋대나 뭐래나.
    이미지만 소비하는 거죠.

  • 17. 비꼬는거 아니고
    '16.1.12 5:17 AM (178.191.xxx.135)

    치매같아요. 진짜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9425 콜레스테롤 잴때마다 병원 가야 하나요? ㄱㄱ 2016/01/17 531
519424 오늘 아들 여자친구가 집에놀러왔는데요 9 Hj 2016/01/17 6,686
519423 Microsoft edge (?) 라는걸 업데이트후 공인인증서 .. 한파 2016/01/17 516
519422 금목걸이 가지고 있는걸로 반지로 만들 수 있나요? 5 바꾸고싶어요.. 2016/01/17 1,455
519421 학교에서 공구하는 교복은 별로 인가요? 6 현성맘 2016/01/17 1,171
519420 옆집 강아지 문제로 전세 비워 달라는 주인여자. 14 양평에서 2016/01/17 4,433
519419 게이보다 낯선... 무성애자 26 성적소수 2016/01/17 11,313
519418 사짜 아들 가진 엄마들이 장가보낼때 10 ... 2016/01/17 5,591
519417 뙨장풀어서 시금치국 끓일건데요 10 내일 아침 2016/01/17 1,884
519416 사람들은 남 일엔 관심이 없는 게 맞나봐요. 9 예의라도 2016/01/17 2,664
519415 이 제사 꼭 참석해야될까요? 5 정말 2016/01/17 1,366
519414 시어머니는 머위대 까라하고 서방은 더덕까래고 8 그림속 2016/01/17 2,099
519413 간호사 조무사 병원에서 일하면 다치거나 병걸리는 경우 많나요? 3 VDSV 2016/01/17 1,783
519412 세월호642일) 아홉분외 미수습자님들이 꼭 가족 품으로 돌아오시.. 10 bluebe.. 2016/01/17 414
519411 화장이 내눈에 예쁘면 다른 사람들 눈에도 예쁠까요? 2 .... 2016/01/17 2,109
519410 빵,밀가루 인스턴트 외식 커피 아에 안먹엇더니 7 ㅠㅠㅠ 2016/01/17 5,561
519409 중소기업 청소기 괜찮아요 3 청소기 2016/01/17 1,468
519408 김성령 팬은 아닌데 7 ;;;;;;.. 2016/01/17 2,260
519407 일룸 올리 책상. 카니발로 옮길 수 있을까요? 일룸 2016/01/17 809
519406 시어머니 카톡 최고봉은 이글이었네여 27 2016/01/17 23,714
519405 응팔이 제게 준 교훈(사랑은 타이밍이 아냐) 5 홀리 2016/01/17 3,747
519404 남편이 커플링 하자고.. 3 25주년 2016/01/17 2,522
519403 근심과 불안 어떻게 다스리나요 5 ㅡㅡ 2016/01/17 2,297
519402 [수학질문] 무한대 곱하기 0은 뭔가요? 11 수학 2016/01/17 29,495
519401 콘도권 얼마하나요? 2 콘도권 2016/01/17 1,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