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책중에

ㅇㅇ 조회수 : 1,784
작성일 : 2015-12-30 11:30:36

꽤 오래전에 유행했지만

그때 읽은거 중에 기억에 남는게


부자아버지는 학력이 별로인데

회계사,변호사등 정말 잘배운 사람들이

자기 아버지 밑에서 일하는거 보면서

아버지의 어떤 능력때문에 저런 상황이 가능한가


아버지는 남들은 차마 감수할수 없는

어마어마한 리스크와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이 탁월했다고..

모험에 따르는 정신적 부담을 견디는 능력

그걸 책임지는 정신력..


그리고 또하나

자신이 35세가 넘어서면서

세상의 변화를 더이상 쫓아가지 못하고

뒤쳐지기 시작했다고 느끼기 시작했다고..


근데 저 두개는

제가 그후 10여년간 개인사업과 직장생활등을 하면서

깊이 공감하는 말이 되었네요..


35세이후 정말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줄고

늘 알던길 익숙한 것만 찾게 되고...

IP : 58.123.xxx.9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2.30 11:39 A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맞아요..
    당장에는 월급 통장에 돈 모이고, 안정적이라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지만,
    35 되면 이제 자기는 쓸만큼 쓴 오래된 가전이나 비슷해요.
    반짝반짝 예쁘고 교육도 자신보다 많이 받고, 열정도 만땅으로 충전받은 신상품 가전이 줄 서 있거든요.

    하지만, 도전하는 사람들은
    35 이 되도록 도전과 고난의 연속이에요.
    그런데, 어느 순간 빛을 발하기 시작하고, 그 이후는 용암 같아요.
    안에 뭐가 들었는지 모르지만 끝없이 뭐가 나오는 것 같아요.
    능력도 폭발하게 되고, 물론 돈이 직장인 10년 일해 모을 거 1년 만에 모으고요.
    이 사람들 확실한 특징은 리스크, 스트레스.. 에 강하다는 점은 있어요.

  • 2. 리스크,스트레스에 강한 사람이라...
    '15.12.30 11:46 AM (222.101.xxx.223)

    생각이 많아지네요

  • 3. 저는
    '15.12.30 12:00 PM (125.182.xxx.27)

    그말이기억나요
    시스템을만들어라
    내가기계의부속품이되지말고자유인이되고
    돈을만드는시스템 ....

  • 4. ..
    '15.12.30 12:0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가격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 5. ..
    '15.12.30 12:10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가격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6. ..
    '15.12.30 12:11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7. ..
    '15.12.30 12:12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8. ..
    '15.12.30 12:13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인 거죠.

  • 9. ..
    '15.12.30 12:14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인 거죠.

  • 10. ..
    '15.12.30 12:16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1. 그냥
    '15.12.30 12:1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2. 그냥
    '15.12.30 12:25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3. 그냥
    '15.12.30 12:26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 14. ..
    '15.12.30 12:35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5. ..
    '15.12.30 12:3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작은 규모로 시작해서 리스크와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시간과 도전을 거쳐야 하는데
    목돈으로 한방에 돈을 벌려는 과욕이 부른 참사.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6. 그냥
    '15.12.30 12:52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작은 규모로 시작해서 리스크와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시간과 도전을 거쳐야 하는데
    목돈으로 한방에 돈을 벌려는 과욕이 부른 참사. 사실 에너지가 딸려서 2번 도전하기도 힘든 나이.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7.
    '15.12.30 1:43 PM (183.101.xxx.9)

    스트레스에 강하다기보다 견디는거 아닐까요
    스트레스가 엄청날거 빤히 아는데도 덤비고
    죽을거같아도 도망안가고 포기안하고 버티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7568 저도 받은 너무 쿨한 시 고모님의 문화적 충격~~? 40 ㅡㅡ 2016/01/12 22,139
517567 필름 카메라 어떻게 처분하세요? 5 .. 2016/01/12 1,076
517566 넥스트로 강용석 변호사님 어제 고생하셨어요. 15 스마일저지 2016/01/12 4,895
517565 참여연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공개 질의서 보내 3 공개질의 2016/01/12 616
517564 건강검진후 시티촬영해보라는데요 6 고나 2016/01/12 2,248
517563 돈의 노예가 되지 말아야하는데...사고싶은게 3 888 2016/01/12 2,397
517562 영화 페인티드베일 다운 어디서 받으셨어요? 영이 2016/01/12 556
517561 에효 우리만 이십평대 ...ㅠ 6 .. 2016/01/12 3,855
517560 임대료 폭등에 상가 텅텅 5 건물주역풍 2016/01/12 3,635
517559 감기로 밤새 기침하다 병원 다녀왔어요 1 고생한 2016/01/12 1,423
517558 일본유학에 대한 조언 구합니다. 요리학교. 3 요리사 2016/01/12 1,179
517557 익산 할랄단지 반대 이유 22 기적이여 2016/01/12 4,450
517556 해외 단체 배낭여행과 에어텔은 무엇인가요? 5 여행 2016/01/12 1,096
517555 결혼결정할때 남자의외모 17 ㄴㄴ 2016/01/12 4,500
517554 우리나라 일부일처제... 언제까지? 16 생각 좀 해.. 2016/01/12 3,697
517553 시어머니께서 자꾸 너네엄마 이러는데. 24 d 2016/01/12 6,725
517552 조건보는 나..눈을낮춰야하나요 15 ㅇㅇㅇ 2016/01/12 3,530
517551 이슬람교의 폭력적인 교리들 50 2016/01/12 2,996
517550 서갑숙 예전에 자서전 냈는데 읽어보신분 8 포르노그라피.. 2016/01/12 5,656
517549 발뒤꿈치 각질관리요 50 ㅠㅠ 2016/01/12 3,053
517548 초등 2박 3일 스키캠프.. 스키복은?? 6 star 2016/01/12 967
517547 (응팔)전 선우.보라 커플이 궁금해요. 9 향수 2016/01/12 3,114
517546 외교부, 홀로 사는 위안부 할머니들 개별접촉.. 정대협, 피해자.. 설헌 2016/01/12 549
517545 공무원 됐다"며 1년 넘게 '거짓 출근'한 취업준비생 .. ㅠㅠ 2016/01/12 2,486
517544 아~무 이유없이 허언성 발언하는건..아는척병? 1 ... 2016/01/12 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