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세금을 1~2년 안전하게 두려면 / 미국에서 쓸 1년 생활비를 두려면

은행 조회수 : 952
작성일 : 2015-12-23 20:59:29

질문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2년 온 가족이 미국 생활을 해야 해요.
그 동안 전세비를 안전하게 두어야 하는데요, 금융쪽으로 잘 모르다 보니 좋은 방법을 모르겟어요.
금액은 5억 정도인데, 이걸 5천만원씩 분산해서 넣어놓자니 번거로운 것도 문제지만
우리나라 지금 돌아가는 모습을 보니 어느날 갑자기 예금자보호 안 해준다고 나오지는 않을까 걱정도 되고요.
금액이 적지 않으니 안전 약간의 이자도 가능하면 좋겠어요.ㅜㅜ
외국 가있는 동안은 저축은 별로 못하고 오히려 저축한 돈을 조금씩 써가며 살아야 할지도 몰라서요. 놀러가는 건 아니지만 상황이 그래요.
저게 전 재산이고 돌아왔을떄 국내 상황이 어떨지 몰라서 조심스러워요.


미국에서 생활비를 통장에 넣어두고 체크카드로 꺼내쓰는 방법이 좋다는 댓글을 봤어요.
그럼 국내에서 아예 1~2년 사이 필요한 예상 금액을 달러로 바꿔서 시티은행 계좌를 개설해서 넣어둔 뒤에
체크카드를 국내에서 만들어두면
미국가서 바로 사용 가능한지요?
아니면 국내 주거래은행에 외환통장을 개설해서 미국에서 사용하는게 편할까요? 영어가 능숙하지 않거든요.
지점은 시티은행이 더 많을 것 같긴 한데...

 좀 두루뭉술한 질문이지만 4인가족이 아이들은 공립학교 보내며 검소하게 살면 - 하지만 기본적으로 집 렌트비가 들어가죠- 한 달 얼마정도 생활비가 들려나요. 디파짓이라고 하는 렌트비는 중소도시의 일반 주택가나 아파트의 경우에 얼마정도 하는지도 감을 못잡겠네요.

 
IP : 180.224.xxx.20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2.23 9:28 PM (211.172.xxx.248)

    체크 카드 댓글 썼던 사람입니다. (미국 내 명칭은 데빗카드)
    집은 전세주지 말고 월세 주세요. 전세금 은행 넣느니 그게 훨씬 수익이 낫죠.
    월세 안 들어올 경우에 어떻게 할 건지만 미리 확실히 해 놓으시고요.

    한국에서 카드 만들어서 외국에서 빼쓰면, 신용카드건 현금카드건 사용은 가능한데 수수료 붙어요.
    지점도 씨티은행보다..미국 현지 은행이 지점이 훨씬 많고요.
    어차피 매달 월급이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목돈 가지고 빼쓰는 경우는 데빗이나 신용카드나 차이가 없어요.

    저희는 출국할 때 현금 최대한 들고 나가서..가자 마자 미국 은행 계좌 만들어서 예치했고요.
    한국 주거래 은행에가서 외국 송금 신청을 해 놓았어요. 은행마다 명칭이 좀 다를건데...
    이걸 해 놓으면 미국에서도 인터넷 뱅킹으로 제가 한국계좌에서 미국계좌로 돈을 바로 보낼 수 있어요.
    한번에 천만원인가..한도가 있구요..시간은 하루 이틀 걸려요.

    그런데 인터넷 뱅킹이란게..외화 송금이 잘 안될때가 있어요. 이유는 까먹었는데..
    그럴땐 인터넷 뱅킹으로 한국의 부모님께 이체해주고, 부모님이 은행에 가셔서 송금해주셨어요.

  • 2. 음...
    '15.12.23 11:51 PM (66.190.xxx.84) - 삭제된댓글

    제가 이해하기로는...
    지금 원글님 댁을 전세를 놓겠다는게 아니고
    전세로 사시는대 외국에 가니 그 돈을 받는다는 의미시죠? ^^;;
    위에 덧글님 글 읽으니 제가 잘못 이해했나 싶어서요.

    원글님 내용으로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미정인거 같네요.
    어디나 그렇겠지만 특히 미국 생활은 지역에 따라
    생활비가 아주 많이 차이가 나요.
    중소도시 일반 주택가나 아파트라고 하셨는대
    그 도시가 어디에 있느냐가 관건이거든요.
    생활비의 가장 큰 비중이 렌트비인만큼
    정확한 지역 선정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나머지 예산들을 가늠할 수가 있어요.

    미국 입국 시에 외화소지는 얼마든지 소지하실 수 있으시나
    만불 이상을 소지하실 경우 세관에 신고하셔야 합니다.
    입국 심사 시에 얼마만큼의 돈을 소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을 수 있으며
    이때에 본인이 허용 체류 기간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양의 돈을 소지하고 계실 경우
    본인의 미국 장기 체류 가능성에 대해 의심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돈을 소지하여 입국하실 경우
    어디에 사용할 것인지 본인의 체류 목적 및 예상기간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하셔야 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한국내 은행에 저축을 하시고
    미국 입국 후에 현지 은행 계좌를 개설한 후에
    인터넷뱅킹으로 송금하는 방법을 많이들 사용 하십니다.

  • 3. 음...
    '15.12.23 11:59 PM (66.190.xxx.84) - 삭제된댓글

    제가 이해하기로는...
    지금 원글님 댁을 전세를 놓겠다는게 아니고
    전세로 사시는대 외국에 가니 그 돈을 받는다는 의미시죠? ^^;;
    위에 덧글님 글 읽으니 제가 잘못 이해했나 싶어서요.

    원글님 내용으로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미정인거 같네요.
    어디나 그렇겠지만 특히 미국 생활은 지역에 따라
    생활비가 아주 많이 차이가 나요.
    중소도시 일반 주택가나 아파트라고 하셨는대
    그 도시가 어디에 있느냐가 관건이거든요.
    생활비의 가장 큰 비중이 렌트비인만큼
    정확한 지역 선정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나머지 예산들을 가늠할 수가 있어요.

    길 하나 사이로도 갈라지는게 렌트비인지라
    대략적인 지역을 정하신 후에
    렌트비 예산을 정해서 그에 맞추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대략을 렌트비를 알아 보시기 좋은 사이트예요.

    www.hotpads.com
    www.zillow.com


    미국 입국 시에 외화는 얼마든지 소지하실 수 있으시나
    만불 이상을 소지하실 경우 세관 신고를 해야 하고
    입국 심사시에 그것에 대한 질문을 받을 수 있으며
    이때에 본인의 비자에 따른 허용 체류 기간에 합당해야합니다.
    만약 그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양의 돈을 소지하고 계실 경우
    입국 심사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돈을 소지하여 입국하실 경우
    어디에 사용할 것인지 본인의 체류 목적 및 예상기간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준비 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한국내 은행에 저축을 하시고
    미국 입국 후에 현지 은행 계좌를 개설한 후에
    인터넷뱅킹으로 송금하는 방법을 많이들 사용 하십니다.

  • 4. 음...
    '15.12.24 12:01 AM (66.190.xxx.84)

    제가 이해하기로는...
    지금 원글님 댁을 전세를 놓겠다는게 아니고
    전세로 사시는대 외국에 가니 그 돈을 받는다는 의미시죠? ^^;;
    위에 덧글님 글 읽으니 제가 잘못 이해했나 싶어서요.

    원글님 내용으로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미정인거 같네요.
    어디나 그렇겠지만 특히 미국 생활은 지역에 따라
    생활비가 아주 많이 차이가 나요.
    중소도시 일반 주택가나 아파트라고 하셨는대
    그 도시가 어디에 있느냐가 관건이거든요.
    생활비의 가장 큰 비중이 렌트비인만큼
    정확한 지역 선정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나머지 예산들을 가늠할 수가 있어요.

    길 하나 사이로도 갈라지는게 렌트비인지라
    대략적인 지역을 정하신 후에
    렌트비 예산을 정해서 그에 맞추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대략적인 렌트비를 알아 보시기 좋은 사이트예요.

    www.hotpads.com
    www.zillow.com


    미국 입국 시에 외화는 얼마든지 소지하실 수 있으시나
    만불 이상을 소지하실 경우 세관 신고를 해야 하고
    입국 심사시에 그것에 대한 질문을 받을 수 있으며
    이때에 본인의 비자에 따른 허용 체류 기간에 합당해야합니다.
    만약 그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양의 돈을 소지하고 계실 경우
    입국 심사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돈을 소지하여 입국하실 경우
    어디에 사용할 것인지 본인의 체류 목적 및 예상기간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준비 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한국내 은행에 저축을 하시고
    미국 입국 후에 현지 은행 계좌를 개설한 후에
    인터넷뱅킹으로 송금하는 방법을 많이들 사용 하십니다.

  • 5. 덧붙여서
    '15.12.24 1:34 PM (1.236.xxx.90)

    원글님은 입국시에 가족이 가시는 거라서 상관 없겠지만
    단독입국시에 너무 적은 현금으로 입금해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호주에서 워홀러가 입국거부당해서 못들어온 적 있는데
    현금 300불하고 신용카드만 들고 들어왔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2398 조각밍크 토끼털 조각이은거 2 토끼나 2015/12/26 1,039
512397 맥시카나모바일쿠폰가능한곳(서초구) 3 서초구 2015/12/26 360
512396 공부잘하는 아이 부모님들 언제부터 아셨나요? 28 .... 2015/12/26 7,623
512395 이사물량이 고무줄? 4 로즈마리 2015/12/26 873
512394 저는 이 연예인들이 촌스러워 보이더라고요 22 ... 2015/12/26 7,831
512393 2살 딸이 저를 위로해주네요.. 2 달콤 2015/12/26 1,358
512392 전 덕선이가 미인대회에 나갈것 같아요 15 덕선수연이 2015/12/26 7,077
512391 '국토 70%가 세슘오염', 일본이 외면한 연구결과 1 샬랄라 2015/12/26 1,402
512390 연하늘색 코트 코디고민 5 고민 2015/12/26 1,823
512389 개업인사 1 축하 2015/12/26 563
512388 강북구는 원래 미세먼지 타격 별로 없나요? 이 난리통에 2015/12/26 998
512387 기침 1 2015/12/26 498
512386 그냥...짜증나요..(시댁관련) 8 ... 2015/12/26 2,819
512385 아사히,1983년 칼기 격추사건..미국은 진실을 알고 있었다. .. 2 kal격추 2015/12/26 2,571
512384 실비 보험으로 체형교정이랑 신데렐라 주사 맞을 수 있다는데 얼마.. 1 얼마 2015/12/26 3,332
512383 오늘의 고구마 만원치 글 3 싱글이 2015/12/26 2,158
512382 응팔시대 키스 나름 이쁘지 않나요 5 달달허구만 2015/12/26 1,164
512381 9개월 아기가 엄마 못본사이 절 몰라봐용^^;; 4 수술후 2015/12/26 1,763
512380 비염 있는분들 요즘 안힘드세요? 6 .. 2015/12/26 1,548
512379 아내가 뿔났다 조갑경밀리터리코트 아시는분??? 다인슈타인 2015/12/26 1,253
512378 코끼리 보조배터리 오늘 어디가야 살 수 있을까요?( 내일 출국하.. 코끼리 보조.. 2015/12/26 592
512377 집안일 하는데 보통 몇시간 걸리세요? 1 힘듦 2015/12/26 969
512376 해맞이 간절곶과 호미곶 중 어디가 좋은가요 2 새맞이 2015/12/26 689
512375 저한테 분노조절장애가 있는 걸까요? 3 ..... 2015/12/26 1,370
512374 ‘국정화 반대’ 전 국사편찬위원장 이태진 교수 인터뷰 거꾸로가는역.. 2015/12/26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