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에게 효도하라고 강조강조 하는 이유가

예로부터 조회수 : 1,933
작성일 : 2015-12-23 20:39:54

자기 자식들에겐

잘하라고 말안해도 잘하지만,

 

부모는 그게 안되기 때문에

그렇게 책에서 이야기에서

강조를 했나봐요.

 

허벅지살을 떼어먹였다는 이야기부터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였다는 이야기,

자기아이를 솥에 넣어 삶아먹였다는 이야기까지...

 

 

IP : 218.235.xxx.11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효사상의 본질은
    '15.12.23 8:51 PM (61.106.xxx.234)

    군주에 대한 절대충성이 시작입니다.
    때로는 충효사상이라고 붙여써서 속내를 그대로 보여주기도 하죠.
    권위의 상징인 부모에 대한 효심은 그보다 더 큰 권위인 군주에 대한 충성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기가 쉬운 거죠.
    그래서 가스통 영감들이 새누리에 목을 매는 거고요.
    군주에 대한 충성심=부모=노인에 대한 충성심의 고리로 연결되는 것을 아니까요.

  • 2. 타임리
    '15.12.23 9:06 PM (124.146.xxx.71)

    고려장

    고려장은 고려인이 효도심이 없어서 있었던 일인가?

    고려장 풍습이 있던 고구려 때 박정승은
    노모를 지게에 지고 산으로 올라갔습니다.
    그가 눈물로 절을 올리자 노모는
    '네가 길을 잃을까봐 나뭇가지를 꺾어
    표시를 해두었다' 고 말합니다.

    박정승은 이런 상황에서도 자신을 생각하는
    노모를 차마 버리지 못하고 국법을 어기고
    노모를 모셔와 몰래 봉양을 합니다.

    그 무렵 중국 수(隋)나라 사신이 똑같이 생긴
    말 두 마리를 끌고 와 어느 쪽이 어미이고
    어느 쪽이 새끼인지를 알아 내라는 문제를 냅니다.
    못 맞히면 조공을 바치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문제로 고민하는 박정승에게
    노모가 해결책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말을 굶긴 다음 여물을 주렴,
    먼저 먹는 놈이 새끼란다."


    고구려가 이 문제를 풀자 중국은
    또 다시 두 번째 문제를 냈는데
    그건 네모난 통나무 토막의 위 아래를 가려내라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번에도 노모는
    “나무란 물을 밑에서부터 빨아올린다.
    그러므로 물에 뜨는쪽이 위쪽이란다.“

    고구려가 기어이 이 문제를 풀자
    약이 오를때로 오른 수나라는 또 어려운 문제를
    제시했는데
    그건 재(灰)로 새끼를 한다발 꼬아 바치라는 것이었습니다.

    당시 나라에서 아무도 이 문제를 풀지 못했는데

    박정승의 노모가 하는 말이
    “얘야, 그것두 모르느냐?
    새끼 한다발을 꼬아 불에 태우면 그게 재로 꼬아 만든 새끼가 아니냐?“

    중국에서는 이 어려운 문제들을 모두 풀자
    “동방의 지혜있는 민족이다.” 라며
    다시는 깔보지 않았다 합니다.
    그리고 당시 수나라 황제 수 문제(文帝)는
    “이 나라(고구려)를 침범하지 말라 .” 고 당부합니다.

    그런데도 이 말을 어기고 아들인 수 양제(煬帝)가
    두 번이나 침범해와
    113만명이 넘는 대군(大軍)으로도 고구려의 을지문덕장군에게 대패하고는 나라가 망해버립니다.

    그다음에 들어선 나라가 당(唐)나라인데
    또 정신을 못차리고 고구려를 침범하다가
    안시성싸움에서 깨지고
    당시 황제인 당 태종(太宗)은 화살에 눈이 맞아 애꾸가 된채로 죽습니다.
    이렇게 해서 노모의 현명함이 세 번이나 나라를 위기에서 구하고
    왕을 감동시켜, 이후 고려장이 사라지게 되었다는
    일화가 전해집니다.

    그리스의 격언에
    '집안에 노인이 없거든 빌리라' 는 말이 있습니다.

    삶의 경륜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잘 보여 주는 말입니다.

    가정과 마찬가지로 국가나
    사회에도 지혜로운 노인이 필요합니다.

    물론 노인이 되면 기억력도 떨어지고,
    남의 이야기를 잘 듣지 않고,
    자신의 경험에 집착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그 대신 나이는 기억력을 빼앗은 자리에
    통찰력이 자리잡게 합니다.

    노인의 지혜와 경험을 활용하는 가정과 사회,
    그리고 국가는 발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웃어른을 공경하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합시다 .
    누구나 곧 노인이 됩니다. 파이팅!

  • 3. ㅇㅇ
    '15.12.23 9:16 PM (203.254.xxx.122)

    댓글덕에 많이 배우고가네요~^^

  • 4. ....
    '15.12.23 9:19 PM (39.119.xxx.160)

    자식한테 쏟는 돈 ,정성 반만 부모한테 쏟아도 효자효녀 소리 듣겠지요 . 내가 겪어보니 내자식한테 효자효녀 돼라 소리 못하겠어요 ...의무아닌 마음에서 우러난 치사랑 정말 어렵거든요 ,

  • 5. 첫댓글님에 찬성
    '15.12.24 1:17 AM (98.253.xxx.150)

    그리고 고려장은 우리나라 풍습이 아니라 일제 때 조선의 무덤을 파헤치는 도굴이 성한한 데에서 일부로 퍼뜨린 설이라고 밝혀졌어요.. 오히려 일본에 있는 풍습이었죠. 일본영화 '나라야마 부시코' 시대배경이 300년전인데.. 고려장 전설이 주제인것만 봐도 알수 있어요. 하여튼 일본은 우리나라 많이 망가뜨렸어요. 물질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후대에까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4652 그림에 깊은 1 줌인아웃 2016/01/02 537
514651 살림에 재미붙이는 방법도 있을까요? 19 ㅇㅇ 2016/01/02 4,282
514650 김희선 드라마 프로포즈요 3 2016/01/02 2,095
514649 우리 강아지가 슬퍼요 23 ... 2016/01/02 4,411
514648 요즘 30대 여자 탤런트들 얼굴선이;;; 49 ㅎㅎ 2016/01/02 71,648
514647 82사이트에 궁금한 게 있어요~ 3 리플리플 2016/01/02 654
514646 은으로 된 악세사리 1 은제품 2016/01/02 747
514645 과외는 선불인가요, 후불인가요.. 9 과외 2016/01/02 2,794
514644 7살 첫째아들이 너무 미워요 24 오하오 2016/01/02 10,370
514643 정말 7급공무원들 옷차림이 14 ㅇㅇ 2016/01/02 13,116
514642 깔깔깔 시원하게 웃는 사람은 오래 삽니까? 1 통통 2016/01/02 943
514641 렌지후드 가격대 모터 2016/01/02 1,189
514640 저 어제 꿈에 큰 호랑이가 나왔어요 8 2016년 2016/01/02 2,324
514639 전 김태희 처음 보았을때 11 ㅇㅇ 2016/01/02 5,193
514638 자작소설 쓰는 분들의 이유나 목적이 궁금해요 3 진짜궁금 2016/01/02 951
514637 여자 동료가 이런 말,,,,, 11 카랴얀 2016/01/02 6,431
514636 고대 경영 VS 경찰대 28 생각정리 2016/01/02 8,929
514635 강남 비메이저학군이라도 강북학군보단 나을까요? 1 ... 2016/01/02 1,178
514634 오늘 백화점에 갔는데 머리가 다 아프네요 백화점 참 좋아했는데 7 백화점 2016/01/02 5,053
514633 11시에 안주 예약 1 대기중 2016/01/02 603
514632 아파트살다가 상가주택으로 이사오고 느낀점, 90 xst 2016/01/02 32,142
514631 세월호627일)아홉분외 미수습자님들,꼭 돌아오시길 바랍니다! 10 bluebe.. 2016/01/02 443
514630 맨날 누워있으니 근육량이 엄청 빠지네요.. 4 .. 2016/01/02 4,489
514629 강남쪽 제모잘하는 피부과 알려주세요^^ 궁금해요 2016/01/02 515
514628 연산선행은 정말 필요할까요? 8 수학 2016/01/02 1,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