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나라도 장례식 문화가 좀 바뀌면 좋겠어요.

ㅇㅇ 조회수 : 3,640
작성일 : 2015-12-23 15:08:19

누가 죽으면 가서

어떤 삶을 살다 어떻게 죽었는지 정도는 경건한 자리에서 다 같이 모인 자리에서 듣고 올 수 있음 좋겠어요.

묵념이나 고인들 가족들도 정중하게 만날수있음 하고요..

 

그냥 가자마자 밥먹고 돈내고 고스톱하는 게 저에겐 좀 충격이었네요.

그 앞에서 부어라 마셔라 하는 것도 웃기고

밤을 새줘야하는 문화도 그렇고요...

 

고인 보낸 사람이 한복 입고 서빙하는 것도 좀 납득안가고요..

 

개인적으로 그 검은 한복 정말 싫음. 입어봤는데 정말 나일론이라 여름에 쪄죽는 줄 알았네요.

 

IP : 175.196.xxx.209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기 나름
    '15.12.23 3:11 PM (121.152.xxx.100) - 삭제된댓글

    요즘은 거의 밤도 안새고 고스톱도 안해요
    저희 아버님 손님땜에 술 마시는 분 있었지 첫날 아무도 소주 안마셨어요

  • 2. 동감요,,,
    '15.12.23 3:11 PM (175.209.xxx.160)

    저는 밥 먹는 거 자체가 좀... 그냥 커피나 다과 정도면 충분하지 않나...싶어요. 가족을 잃어 정신도 없는데 찾아온 사람 접대까지 신경 쓰는 것도 그렇고...ㅠㅠ

  • 3. 그러면
    '15.12.23 3:16 PM (218.155.xxx.45)

    생전 인생이
    별 볼일 없는 사람은
    많은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이렇다 하게 내놓을게 없어
    죽어서도 슬프잖아요.
    장례문화,
    저는 지금 별 불만 없는데요.
    밤 같이 새 주는거 남은 가족에겐 위로 되지않나요?
    식구들 많지 않은 집은 친지들이 교대하고
    수면 취할 시간 줄수도 있고요.
    식사는 어차피 가족들도 3일 식사를 해야하니
    겸사겸사 어울려 식사 할 사람들은 하는거지요.
    장례식장에 먹으러 가는 사람들이 있는것도 아니고요.

  • 4. 요즘도
    '15.12.23 3:17 PM (183.100.xxx.240)

    부어라 마셔라 고스톱 하나요?
    그리고 장례식 분위기는 남겨진 유족들한테 나쁜거 같진 않아요.
    돌아가신분 알고 가는 경우는 별로 없어요.
    유족들 위로하고 힘든거 다독여주고 그런거라
    고인을 추모하고 삶을 회고하고는 형식적으로 물어보지만
    가족들이 두고두고 애도하고 풀어갈 일인거 같아요.
    한복을 입고 서빙한다기보단
    상복을 입고 오신분들 대접하는건데
    이건 어느나라를 가도 하는거 아닌지.

  • 5. 그러게요
    '15.12.23 3:19 PM (218.237.xxx.135)

    시어머님 돌아가셔서 남편 정신줄놓고 울고 저도 제정신이 아닌데 장례직원이 절차결정하라고 계속 재촉하고 주방도우미 아주머니는 안도와준다고 눈치주고..
    쓸데없이 망자 상차림까지 해야하고.
    그와중에 묘지자리도 보고 와야 하더라구요.
    가족이 추스릴시간이 필요해요.
    그다음부터 조문객왔으면 좋겠어요.

  • 6. dd
    '15.12.23 3:21 PM (175.196.xxx.209)

    인생이 별 볼일 있고 없고 떠나서
    그냥 그는 나에게 좋은 친구였다
    따뜻한 사람이었다
    너그러운 상사였다
    뭐 이런 말할수 있는거죠.

    업적을 기리는게 아니고요...

    그냥 뭔가 되게 정신없는 분위기가 좀 별로인거같아요...

  • 7. 상업화
    '15.12.23 3:24 PM (124.80.xxx.179)

    경조사가 죄다 상업화 되어서 문제 같아요
    생전 뵌 적 없어도 연락오면 가야하고
    직장 동료 부모상도 그렇잖아요
    알지도 못하고 뵌적도 없는데 가야하고

    그냥 정말 알려야 하는 사람만 알리고
    고인 추억하고 슬픔 나누면 좋겠어요
    3일내내 조문객 받고 대접하고 이러지 말고
    간소화 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 8. ㅇㅇ
    '15.12.23 3:30 PM (175.196.xxx.209)

    맞아요..
    결혼식도 소규모도 되어가는 것처럼
    장례식도 꼭 연락할 사람만 연락해서 갈 수 있음 좋겠어요.

    수금하는 날로 하지 말고요..

    그치만 이것도 결혼식처럼 고리 고리 엮여서 고구마줄기처럼 가야하겠죠.

  • 9. 솔직히..
    '15.12.23 3:31 PM (116.120.xxx.181)

    장례식 자체를 안 했음 좋겠어요..
    부모님 돌아가시면 정신없고 슬픈데 온갖 사람들 다 맞이하고 인사하고..
    딱 가족끼리만 간소하게 하루에 끝내고 싶어요. 친구들한테도 굳이 안 알리고 싶어요.

  • 10. dd
    '15.12.23 3:38 PM (175.196.xxx.209)

    전 조부모 상까지 모르는 사람이 가야하는 것도 사실 좀 이해불가이긴해요.
    동료의 사돈의 팔촌 상까지

  • 11. 힘들어요
    '15.12.23 3:43 PM (39.7.xxx.100)

    한 사회에서 가장 늦게 바뀌는 전통이 장례문화라고 하더군요.
    우리나라는 시댁에 대한 며느리의 무조건적인 의무이행이 사라진 다음이라야 장례문화도 바뀌는게 가능할 겁니다.
    대한민국내에서의 마지막 식민지는 며느리라고 하니까요.

  • 12. .....
    '15.12.23 4:20 PM (59.28.xxx.202)

    장례문화도 상업화2222 되었어요
    어떤 대형병원 수익이 주차비랑 매점이랑 장례식장 운영에서 나온다고 하더군요

    대한민국내에서의 마지막 식민지는 며느리라고 하니까요2222--->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것 같아요
    그리고 고개 끄덕여집니다.

  • 13. ...
    '15.12.23 4:24 PM (125.135.xxx.121)

    시아버지상에 고스톱치는 사람들 있었어요 창문도 없는데서 담배피고 하루종일 고스톱치고
    손님들이 많아 하루종일 너무너무 시끄럽고
    장소가 다 틔여있어 한쪽에선 울면서 제사지내는데 옆에서 부어라마셔라하고
    그냥 오랜만에 만나는 사람들 친목모임이예요
    불교도 아닌데 무슨 제사같은 것도 너무 많고 새벽 6시도 되기전에 불켜서 제사하라하고 다들 잠에 취해 절하고 같은 음식을 6끼내내 먹었어요
    일손도 부족해 내내 일해야하고
    첫날 밤엔 그나마 손님이 없어서 가족끼리 술한잔 했는데 그때 아버님얘기도 하고 좋아서 가족끼리만 조용하게 상치뤄도 좋을것같았어요
    그나마 나이드신 부모님 상이니 그렇지 진짜 슬픈 장례식 자식이라든가 배우자라든가 그러면 손님이고 삼일장이고 다 때려치고 싶을것같아요

  • 14. ..
    '15.12.23 4:49 PM (58.228.xxx.173) - 삭제된댓글

    사람들이 시간 딱 정해서 오는것 아닌데
    고인이 어떤 삶을 살다가 갔다고 말하는것도
    인생을 바르게 살지 못한 사람 가족들은
    스트레스 받을것 같아요
    제가 아는 분은 밖에서는 선한 사람으로 포장하고 살아서 다들 죽음을 안타까워 했어요
    하지만 처자식한테 나쁜 사람 였어요
    와이프는 죽고 싶을 정도 힘들어 했죠
    이런 경우 가족들은 고인을
    포장 하는 스트레스가 생깁니다
    요즘은 밤새워 고스톱 치는 문화는 많이 사라졌어요
    시아버지상때는 집에서 장례 치렀는데
    그때는 곡하는 시간 따로 있어서 정말 힘들었어요
    아이고 소리 못한다고 시고모님께 혼났네요
    시고모님은 곡할때 아이고 아이고 잘하다가
    곡 끝나자 바로 평정심 찾는것보고 놀랬네요
    시어머니때는 장례식장에서 해서
    곡하는 문화 없으니까 힘들지 안했네요

  • 15. ..
    '15.12.23 4:52 PM (58.228.xxx.173) - 삭제된댓글

    시아버지때는 시골 집에서 하니까
    장봐서 음식 하는데 동네분들 아침 점심 저녁
    3끼 다 해결 하러 오셨어요
    여름인데 새벽6시면 식사 하러 오셔서
    식사하고 밭일 가시고...
    하루에 2번씩 장봤어요
    10년후 시어머니때는 장례식장에서 했더니
    돈주고 음식 사서 하니까 몸이 편했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2125 문재인 에 호남이 갖는 반감의 깊은 뿌리 10 페북 2015/12/25 1,152
512124 박원순 시장, "잠실에 제대로 된 돔야구장 짓겠다" 9 핑크 2015/12/25 1,640
512123 정시 원서 마감날에 접수하면 관련서류 보내는 분들은 1 dsada 2015/12/25 917
512122 파파이스 #79 - 빠꾸시대 그리고 김감독 총정리 1 김어준 2015/12/25 663
512121 이런 패딩 어느 브랜드인지... 4 패딩.. 2015/12/25 2,312
512120 가방 고수님들 가방 좀 찾아주세요(사진 있어요) 해피성탄 2015/12/25 991
512119 조성아22 탱글 아이스 품질 괜찮나요? ㅇㅇ 2015/12/25 510
512118 피부과 견적 봐주세요 1 피부 2015/12/25 1,029
512117 헤르만헤세 연가 시..해석 좀 해주세용용~~부탁드려요~~~ 3 ..... 2015/12/25 1,998
512116 (기사)호남 '반문재인' 정서는 어떻게 커졌나 5 에효 2015/12/25 735
512115 섬유유연제 향 좋은걸로 추천 부탁드려요 5 무념무상 2015/12/25 2,331
512114 동남아 호텔에서 수영복 문의 2 수영복 2015/12/25 1,286
512113 이맘때쯤 토정비결 무료사이트^^ 18 ㅣㅣ 2015/12/25 11,883
512112 분당 알라딘 혹시 오늘 영업하나요? 알라딘 2015/12/25 477
512111 결혼날짜를 잡고 나니 이제 현실이 보이네요.. 어쩌죠...? 76 .. 2015/12/25 23,214
512110 봉골레스파게티... 마른 바지락살로도 괜챦을까요? 3 2015/12/25 1,071
512109 지인들에게 크리스마스 메세지보내세요? 안보내세요? 8 크리스마스 2015/12/25 1,529
512108 내일 애버랜드 가는데요 준비물요 4 좀 알려주세.. 2015/12/25 738
512107 프랑스에서 화장품사기..질문이요/ 2 여행준비중*.. 2015/12/25 1,220
512106 아이가 유통기한 세달지난 요구르트를 먹었네요 9 걱정 2015/12/25 3,194
512105 남편과 아이 그 사이의 나 20 대학과 경제.. 2015/12/25 6,109
512104 사먹는 물 어떤게 좋은가요? 7 ㅇㅇ 2015/12/25 1,719
512103 자신의 목표(꿈) 뚜렷이 정해놓고 열심히 노력하는 중고딩들 5 2015/12/25 1,228
512102 지금 밖에 추운가요? 3 .... 2015/12/25 1,546
512101 안희정. 13 ㅠㅠ 2015/12/25 3,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