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나라도 장례식 문화가 좀 바뀌면 좋겠어요.

ㅇㅇ 조회수 : 3,809
작성일 : 2015-12-23 15:08:19

누가 죽으면 가서

어떤 삶을 살다 어떻게 죽었는지 정도는 경건한 자리에서 다 같이 모인 자리에서 듣고 올 수 있음 좋겠어요.

묵념이나 고인들 가족들도 정중하게 만날수있음 하고요..

 

그냥 가자마자 밥먹고 돈내고 고스톱하는 게 저에겐 좀 충격이었네요.

그 앞에서 부어라 마셔라 하는 것도 웃기고

밤을 새줘야하는 문화도 그렇고요...

 

고인 보낸 사람이 한복 입고 서빙하는 것도 좀 납득안가고요..

 

개인적으로 그 검은 한복 정말 싫음. 입어봤는데 정말 나일론이라 여름에 쪄죽는 줄 알았네요.

 

IP : 175.196.xxx.209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기 나름
    '15.12.23 3:11 PM (121.152.xxx.100) - 삭제된댓글

    요즘은 거의 밤도 안새고 고스톱도 안해요
    저희 아버님 손님땜에 술 마시는 분 있었지 첫날 아무도 소주 안마셨어요

  • 2. 동감요,,,
    '15.12.23 3:11 PM (175.209.xxx.160)

    저는 밥 먹는 거 자체가 좀... 그냥 커피나 다과 정도면 충분하지 않나...싶어요. 가족을 잃어 정신도 없는데 찾아온 사람 접대까지 신경 쓰는 것도 그렇고...ㅠㅠ

  • 3. 그러면
    '15.12.23 3:16 PM (218.155.xxx.45)

    생전 인생이
    별 볼일 없는 사람은
    많은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이렇다 하게 내놓을게 없어
    죽어서도 슬프잖아요.
    장례문화,
    저는 지금 별 불만 없는데요.
    밤 같이 새 주는거 남은 가족에겐 위로 되지않나요?
    식구들 많지 않은 집은 친지들이 교대하고
    수면 취할 시간 줄수도 있고요.
    식사는 어차피 가족들도 3일 식사를 해야하니
    겸사겸사 어울려 식사 할 사람들은 하는거지요.
    장례식장에 먹으러 가는 사람들이 있는것도 아니고요.

  • 4. 요즘도
    '15.12.23 3:17 PM (183.100.xxx.240)

    부어라 마셔라 고스톱 하나요?
    그리고 장례식 분위기는 남겨진 유족들한테 나쁜거 같진 않아요.
    돌아가신분 알고 가는 경우는 별로 없어요.
    유족들 위로하고 힘든거 다독여주고 그런거라
    고인을 추모하고 삶을 회고하고는 형식적으로 물어보지만
    가족들이 두고두고 애도하고 풀어갈 일인거 같아요.
    한복을 입고 서빙한다기보단
    상복을 입고 오신분들 대접하는건데
    이건 어느나라를 가도 하는거 아닌지.

  • 5. 그러게요
    '15.12.23 3:19 PM (218.237.xxx.135)

    시어머님 돌아가셔서 남편 정신줄놓고 울고 저도 제정신이 아닌데 장례직원이 절차결정하라고 계속 재촉하고 주방도우미 아주머니는 안도와준다고 눈치주고..
    쓸데없이 망자 상차림까지 해야하고.
    그와중에 묘지자리도 보고 와야 하더라구요.
    가족이 추스릴시간이 필요해요.
    그다음부터 조문객왔으면 좋겠어요.

  • 6. dd
    '15.12.23 3:21 PM (175.196.xxx.209)

    인생이 별 볼일 있고 없고 떠나서
    그냥 그는 나에게 좋은 친구였다
    따뜻한 사람이었다
    너그러운 상사였다
    뭐 이런 말할수 있는거죠.

    업적을 기리는게 아니고요...

    그냥 뭔가 되게 정신없는 분위기가 좀 별로인거같아요...

  • 7. 상업화
    '15.12.23 3:24 PM (124.80.xxx.179)

    경조사가 죄다 상업화 되어서 문제 같아요
    생전 뵌 적 없어도 연락오면 가야하고
    직장 동료 부모상도 그렇잖아요
    알지도 못하고 뵌적도 없는데 가야하고

    그냥 정말 알려야 하는 사람만 알리고
    고인 추억하고 슬픔 나누면 좋겠어요
    3일내내 조문객 받고 대접하고 이러지 말고
    간소화 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 8. ㅇㅇ
    '15.12.23 3:30 PM (175.196.xxx.209)

    맞아요..
    결혼식도 소규모도 되어가는 것처럼
    장례식도 꼭 연락할 사람만 연락해서 갈 수 있음 좋겠어요.

    수금하는 날로 하지 말고요..

    그치만 이것도 결혼식처럼 고리 고리 엮여서 고구마줄기처럼 가야하겠죠.

  • 9. 솔직히..
    '15.12.23 3:31 PM (116.120.xxx.181)

    장례식 자체를 안 했음 좋겠어요..
    부모님 돌아가시면 정신없고 슬픈데 온갖 사람들 다 맞이하고 인사하고..
    딱 가족끼리만 간소하게 하루에 끝내고 싶어요. 친구들한테도 굳이 안 알리고 싶어요.

  • 10. dd
    '15.12.23 3:38 PM (175.196.xxx.209)

    전 조부모 상까지 모르는 사람이 가야하는 것도 사실 좀 이해불가이긴해요.
    동료의 사돈의 팔촌 상까지

  • 11. 힘들어요
    '15.12.23 3:43 PM (39.7.xxx.100)

    한 사회에서 가장 늦게 바뀌는 전통이 장례문화라고 하더군요.
    우리나라는 시댁에 대한 며느리의 무조건적인 의무이행이 사라진 다음이라야 장례문화도 바뀌는게 가능할 겁니다.
    대한민국내에서의 마지막 식민지는 며느리라고 하니까요.

  • 12. .....
    '15.12.23 4:20 PM (59.28.xxx.202)

    장례문화도 상업화2222 되었어요
    어떤 대형병원 수익이 주차비랑 매점이랑 장례식장 운영에서 나온다고 하더군요

    대한민국내에서의 마지막 식민지는 며느리라고 하니까요2222--->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것 같아요
    그리고 고개 끄덕여집니다.

  • 13. ...
    '15.12.23 4:24 PM (125.135.xxx.121)

    시아버지상에 고스톱치는 사람들 있었어요 창문도 없는데서 담배피고 하루종일 고스톱치고
    손님들이 많아 하루종일 너무너무 시끄럽고
    장소가 다 틔여있어 한쪽에선 울면서 제사지내는데 옆에서 부어라마셔라하고
    그냥 오랜만에 만나는 사람들 친목모임이예요
    불교도 아닌데 무슨 제사같은 것도 너무 많고 새벽 6시도 되기전에 불켜서 제사하라하고 다들 잠에 취해 절하고 같은 음식을 6끼내내 먹었어요
    일손도 부족해 내내 일해야하고
    첫날 밤엔 그나마 손님이 없어서 가족끼리 술한잔 했는데 그때 아버님얘기도 하고 좋아서 가족끼리만 조용하게 상치뤄도 좋을것같았어요
    그나마 나이드신 부모님 상이니 그렇지 진짜 슬픈 장례식 자식이라든가 배우자라든가 그러면 손님이고 삼일장이고 다 때려치고 싶을것같아요

  • 14. ..
    '15.12.23 4:49 PM (58.228.xxx.173) - 삭제된댓글

    사람들이 시간 딱 정해서 오는것 아닌데
    고인이 어떤 삶을 살다가 갔다고 말하는것도
    인생을 바르게 살지 못한 사람 가족들은
    스트레스 받을것 같아요
    제가 아는 분은 밖에서는 선한 사람으로 포장하고 살아서 다들 죽음을 안타까워 했어요
    하지만 처자식한테 나쁜 사람 였어요
    와이프는 죽고 싶을 정도 힘들어 했죠
    이런 경우 가족들은 고인을
    포장 하는 스트레스가 생깁니다
    요즘은 밤새워 고스톱 치는 문화는 많이 사라졌어요
    시아버지상때는 집에서 장례 치렀는데
    그때는 곡하는 시간 따로 있어서 정말 힘들었어요
    아이고 소리 못한다고 시고모님께 혼났네요
    시고모님은 곡할때 아이고 아이고 잘하다가
    곡 끝나자 바로 평정심 찾는것보고 놀랬네요
    시어머니때는 장례식장에서 해서
    곡하는 문화 없으니까 힘들지 안했네요

  • 15. ..
    '15.12.23 4:52 PM (58.228.xxx.173) - 삭제된댓글

    시아버지때는 시골 집에서 하니까
    장봐서 음식 하는데 동네분들 아침 점심 저녁
    3끼 다 해결 하러 오셨어요
    여름인데 새벽6시면 식사 하러 오셔서
    식사하고 밭일 가시고...
    하루에 2번씩 장봤어요
    10년후 시어머니때는 장례식장에서 했더니
    돈주고 음식 사서 하니까 몸이 편했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1368 민주당 대표 투표에 황명선 어떻게 생각하냐고? 마리아 10:34:21 26
1741367 아이랑 싸웠을때 .. 10:33:15 48
1741366 남편 용돈 150 모르겠음 10:32:37 141
1741365 강아지 닭뼈 내가 죄인이.. 10:29:28 56
1741364 정보를 공유한다는 의미로 share 7 공유 10:27:41 182
1741363 몸살 자주 나는 분 계시나요? 1 ㄹㅎ 10:25:28 118
1741362 이재명 대통령의 SPC 방문을 비난하는 손현보 목사 11 123 10:23:59 533
1741361 당근 하다보니 양심없는 사기꾼들 진짜 많네요 ㅇㅇ 10:23:48 208
1741360 "테이블 오른 쌀·소고기"‥반발하는 농민 설득.. 4 .. 10:23:05 203
1741359 해외 여행갈때 1 안전 10:22:27 178
1741358 뜬금없이 힘내라는말 11 ㅎㅎㅎㅎ 10:20:47 379
1741357 방금 ktx에서 있었던 일인데요 34 .... 10:19:05 1,114
1741356 체크 카드 배송기사가 이름 주소를 물어 보는데 8 ........ 10:12:45 539
1741355 핸드폰 4년쓰니 이제 바꿀때인가봐요. 4 핸드폰 10:12:06 402
1741354 100만원짜리 핸드폰 잘 쓸까요? 4 ... 10:03:17 601
1741353 오늘 문화의 날이예요 oo 10:00:49 351
1741352 식구들 모두 왜 그런지ㅠㅠ 6 답답 10:00:48 874
1741351 보령 점심 1 보렁 09:58:49 307
1741350 러시아 캄차카반도에 8.7 초강진 났네요. 2 09:58:48 1,309
1741349 오늘 영재고 발표날이네요 제가 떨려요 5 09:56:18 708
1741348 이광수 "한국 부동산 세금 공정하지 않아 6 ….. 09:50:43 651
1741347 법원, 정경심 동양대 교수 보석 청구 기각 9 .. 09:50:37 1,467
1741346 성인용 : 기저귀말고 좀더 간편한 방식 있나요? 9 09:48:02 625
1741345 이와중에 좌파단체는 미국서 미군철수는 왜 외치는거죠? 32 ㄱㄴㄷ 09:46:52 635
1741344 임대사업자등록된 집에 임차인으로 살고 있는데요 11 임차인 09:44:52 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