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 중국 일본만큼 명품에 목매는 나라가 있나요??

... 조회수 : 3,630
작성일 : 2015-12-15 21:22:31
사실 일본은 요새 좀 덜하지 않나요??
제일 심한건 중국 같구요..

에휴..
언제쯤 사람들이 명품 따위에 휘둘리지 않을까 모르겠어요..
IP : 183.100.xxx.42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있죠..
    '15.12.15 9:24 PM (116.37.xxx.87)

    러시아 중동...

  • 2. ..
    '15.12.15 9:28 PM (58.236.xxx.91) - 삭제된댓글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에서 보면
    여주가 친구에게 가방을 선물하니
    친구가 엄청비싼거라면서
    좋아한 장면 본것 같은데...

    서양도 꽤 좋아하지 않나요
    베컴이 와이프 꼬실때 가방선물
    잔뜩한걸로 아는데..

  • 3. 000
    '15.12.15 9:28 PM (91.44.xxx.205) - 삭제된댓글

    아랍 러시아 남미....

    못사는 나라 돈만 많은 것들....

  • 4. 000
    '15.12.15 9:29 PM (91.44.xxx.205)

    아랍 러시아 남미....

    못사는 나라 돈만 많은 것들....


    한국이랑 양상이 다르긴 하네요. 여기처럼 월급 몇 달 아껴서 사는 사람은 없지 않나요.

  • 5. ..
    '15.12.15 9:30 PM (183.100.xxx.42)

    아 맞당..
    도하랑 두바이 공항에 즐비하던 명품샵들..
    거기서 일하는 월급 30만원 받는 인근 빈국 국민들..
    기억나요..

  • 6. ㅇㅇ
    '15.12.15 9:30 PM (58.140.xxx.206)

    중국 한국이 제일 심하죠.
    심지어 명품으로 유명한 회사에서 나오는 화장품은 미국에선 이런걸 화장품이라고 만들수가 있는지 줘도 안쓴다는 화장품이라 가격도 헐값이고 쓰는사람도 없는데 우리나라에선 다섯배씩 가격올려받고 그랬어요.
    호구였던 시절이 있었죠.

  • 7. ..
    '15.12.15 9:32 PM (183.100.xxx.42)

    한국은 명품 살 여력이 안 되는데 사는 사람이 많잖아요..
    중국도 그러나요?
    적어도 북미나 유럽 사람들은 돈 있으면 다른데 쓰지 명품에는 투자 안하는 것 같던데..

  • 8. ...
    '15.12.15 9:34 PM (61.254.xxx.53)

    일반화하긴 어렵지만,
    제 주위의 독일, 프랑스 여자들은
    확실히 아시안들보다는 명품에 집착하는 건 없는 듯.
    우리나라처럼 트렌드에 예민해서 2-3년마다 옷장 안 옷이 싹 바뀔 정도로
    쇼핑을 많이 하는 것도 아니고...
    명품을 무조건 피하는 건 아니지만
    자기 마음에 들고 어울린다 싶으면 벼룩 시장에서 산 거,
    10년,20년 전부터 입던 옷과 목도리,
    자기 어머니나 할머니에게 물려받은 옷, 가방이라도
    당당하게 잘 입고 잘 들고 다녀요.
    오히려 사람들이 그 옷이나 가방이 빈티지하다고 관심 가져주면
    자기가 어떻게 이 물건을 사게 되었는지,
    누구로부터 물려받았는지 그런 얘기를 즐겁게 해요.
    그러면서 잘 모르는 사람과 대화를 편안하게 풀어가게 되는 것 같기도 하고...

    물건을 고를 때의 기준이 가격이 아니라
    내 마음에 100% 쏙 드는가, 아닌가더라구요.

  • 9. ..
    '15.12.15 9:43 PM (183.100.xxx.42)

    만약 한국이란 나라가..
    인권이 존중되고
    개인간 차이를 인정하는 나라였다면..
    명품에 매달려서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사고방식이 덜 생기지 않았을까 싶네요..
    아니라면..
    아시안 종특일까요 ㅎㅎ

  • 10.
    '15.12.15 9:53 PM (220.125.xxx.15)

    서구식 물질문명?을 한번에 받아 들여서
    개인이 가진 내면의 가치를 생각해 볼 겨를이 없었고 게다가 타인의 의견이 내 내면이 되어야 하는 성향을 태생적으로 갖고 있어서 .. 개선이 될려면 시간이 좀 걸릴것 같아요 점차 피로를 느끼걸 보니 .조금씩 자각? 하며 나아지고 있는거 같아서 다행이지 싶긴한데

  • 11. 션꼬느리
    '15.12.15 10:16 PM (125.136.xxx.194)

    하나같이 못사는 나라 또는 석유나 광물로 때부자 된 나라,, 말하자면 졸부국가. 머리에 든 게 없으면 카드를 긁는게 유일한 취미가 됩니다.

  • 12. 외국이 더해요
    '15.12.15 10:33 PM (5.254.xxx.142)

    우리나라 명품열은 아무것도 아닌데요. 홍콩이나 중동 사람을 보셔야... 과거 버블시대의 일본인이라든가.
    특히 지방 쪽은 명품에 열광하는 사람들 많지 않던데요.
    부산만 해도 프라다 구찌 루이뷔통이 최고인 줄 아는 사람들 투성이던데.

  • 13. 00
    '15.12.15 10:37 PM (203.234.xxx.82) - 삭제된댓글

    1. 예의 형식 이런거 챙기면서 얼핏 일정한 틀에 맞춰진,(단체문화)
    2. 그 와중에 구별되고 싶고 조금씩 튀고 싶은(개인주의, 경쟁심리)
    3. 갑작스런 경제부흥으로 노블레스오블리주 이런게 내면화될 틈이 없이 부티를 드러내고 싶은(졸부근성)
    그 결과 비슷비슷하면서도 가격에서 차이나는 사치품(소위 명품)에 집착하는 현상 --동아시아 3국에 가장 해당되는 현상이라고 봅니다.
    물론 다른 나라들 가운데 위의 1,2,3 해당 정도에 따라 조금씩 보이긴 하지만(예를 들어 중동) 이렇게 국민적 현상으로까지는,,,

  • 14. 00
    '15.12.16 12:48 AM (203.234.xxx.82) - 삭제된댓글

    1. 예의 형식 이런거 챙기면서 얼핏 일정한 틀에 맞춰진,(유교문화, 단체문화)
    2. 그 와중에 구별되고 싶고 조금씩 튀고 싶은(개인주의, 경쟁심리)
    3. 갑작스런 경제부흥으로 노블레스오블리주 이런게 내면화될 틈이 없이 부티를 드러내고 싶은(졸부근성)
    그 결과 비슷비슷하면서도 가격에서 차이나는 사치품(소위 명품)에 집착하는 현상 --동아시아 3국에 가장 해당되는 현상이라고 봅니다.
    물론 다른 나라들 가운데 위의 1,2,3 해당 정도에 따라 조금씩 보이긴 하지만(예를 들어 중동) 이렇게 국민적 현상으로까지는,,,
    이게 좀 나아지면 점점 더 개선되겠지요

  • 15. ...
    '15.12.16 6:32 AM (86.130.xxx.44)

    열광하지는 않아요. 대도시나 좀 부유한 도시 가보면 외국사람들도 명품 들어요. 특히 제가 사는 곳 옆 도시가 좀 부유한 도시사람들이 많이 사는 곳인데 가보면 루이비통 샤넬은 시내나가면 볼 수 있어요.

  • 16. 외국
    '15.12.16 7:29 AM (75.119.xxx.97)

    외국은 일부 부자들이나 관심갖는 명품을 우리나라는 전국민이 다 들고 다니니 문제죠. 몇백하는 핸드백을 여대생이 들고다니는 나라니 뭐. 나라는 좁아터져 인구는 바글바글 모여사는데 개성없고 남들하는건 다 따라해야 직성풀리는 국민성이 가져온 결과라 생각합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3599 후불제 여행 생계영업 2015/12/30 565
513598 박근혜때문에 한국은 미국과 일본에 능욕당했다 23 참담한실패 2015/12/30 2,469
513597 노소영 얼굴에...... 27 2015/12/30 24,361
513596 우리를 두번 죽이려하냐? 수요집회 이어간다 5 진실 2015/12/30 685
513595 빈둥거리는딸밥달라안아달라과일달라 12 어케요? 2015/12/30 3,053
513594 남편이 아직 안들어왔어요.. 2 ㅇㅇ 2015/12/30 1,481
513593 기욤 민서커플 끝까지 민폐 26 ㅇㅇ 2015/12/30 18,040
513592 “일본 진정 사죄한다면 도쿄 청사 앞에 소녀상 둬야” 2 샬랄라 2015/12/30 573
513591 해맞이 보러 어디로 갈 건가요?? 1 국정화반대 2015/12/30 941
513590 현미는 사람을 천천히 죽이는 독약이다 58 이럴수가 2015/12/30 35,528
513589 배가 고파 잠이 안오는데 3 ㅇㅇ 2015/12/30 866
513588 canada goose victoria 에 대해 아시는분 조언 .. canada.. 2015/12/30 463
513587 딩크족이라 말하면 훈계하는.. 11 아직까진 2015/12/30 3,586
513586 조카 초등입학가방 빈폴괜찮나요? 5 몽쥬 2015/12/30 1,526
513585 위안부 할머니들 고통을 100억에 팔았습니다 21 국민의지 2015/12/30 1,991
513584 살면서 죽고싶다는 생각 안해보신분 계세요? 9 ... 2015/12/30 2,637
513583 직장에서 사적인 대화할 때... 남들이 원하는 이야기(대답)를 .. 2 대화 2015/12/30 1,230
513582 협상 찬성한다는 할머니는 치매시래요ㅡㅡ; 2 ㅇㅇ 2015/12/30 1,108
513581 82 운영자..보세요 12 역주행 2015/12/30 2,613
513580 왜 위안부 문제를 타결?하려고 하는건가요? 7 .... 2015/12/30 910
513579 대상 줄 사람 없으면 안 주는게 더 가치있겠어요 3 .. 2015/12/30 1,587
513578 일본군의 악질 만행을 100억에 용서한답니다 6 국민의지 2015/12/30 692
513577 엠비씨 연예대상 엠씨는 김구라 말고 3 Mc 2015/12/30 1,731
513576 핸드폰 케이스 요거 괜찮나요?? 대체 고를 지를 못하네요...ㅜ.. 4 핸드폰 케이.. 2015/12/30 1,002
513575 내일 아침 강원도로 떠나는데 잠이 안오네요 2 === 2015/12/30 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