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에는 밀가루 대통령, 1967년에는 경상도 대통령"
서중석 : 민심은 여전히 박정희를 외면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런 것에서도 읽을 수 있다. 그러한 민심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게 동서 선거 아닌가. 야당과 윤보선 후보가 그런 상태였는데도 서쪽에선 다 이겼다. 이게 뭘 말하는 것이겠나.
아무튼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은 1967년 대선 투표일을 앞두고 중앙정보부 감찰실장 방준모를 불렀다. 감찰실장은 중앙정보부의 주요 간부이자 높은 자리였다. 그런 위치에 있던 방준모한테 김형욱은 "만일 개표 결과가 윤보선 당선 쪽으로 기울어지면 저격해라. 총으로 쏘아 죽여라", 이렇게 지시했다고 한다. 이 대선에서 박정희의 재선 전망이 확실하지 않다고 봤기 때문에 그런 것 아니겠나. 그래서 방준모 감찰실장은 서울 안국동의 윤보선 집 안방이 내려다보이는 덕성여고 2층에 저격수를 1명 배치했다고 그런다. 그런데 박정희가 당선돼 윤보선 저격 계획은 접은 것으로 돼 있다. 김충식의 책을 보면, 방준모가 그렇게 이야기한 걸로 나온다. (1963년 대선 때도 박정희 세력은 설령 선거에서 패하더라도 인정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취했다. 개표 초기 박정희와 윤보선이 엎치락뒤치락하자, 5.16쿠데타 세력 중 일부는 개표 중단, 표 바꿔치기, 군대 출동 및 선거 무효 선언 등을 모의했다. 이는 그들이 국민과 야당에게 순순히 권력을 내놓을 생각 같은 건 손톱만큼도 갖고 있지 않았음을 잘 보여준다. 이와 관련, 1971년 대선에서 만약 개표 결과 김대중이 박정희를 앞섰을 경우 박정희 쪽에서 이를 인정했을까 하는 문제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김대중의 오른팔이던 김상현과 박정희의 충복이던 윤필용의 대화는 이 문제에 대해 많은 걸 시사해준다. 유신 쿠데타 후 김상현은 고문을 당하고 수감됐는데, 1973년 윤필용 사건이 터지며 몰락한 윤필용도 같은 교도소에 수감됐다. 김충식에 따르면, 거기서 김상현은 1971년 대선에서 만약 김대중 후보가 승리했다면 박정희 대통령의 충복들은 어떻게 할 생각이었느냐고 윤필용에게 물었다. 그러자 윤필용은 곧바로 뜨르륵 소리를 내며 기관총 쏘는 시늉을 했다고 한다. <편집자>)
이 선거에서 집권당은 거대한 조직과 막대한 자금을 갖고 있었다. 여론 매체의 홍보에서도 여당이 압도적으로 강했다. 이 당시 신문들은 무력한 존재 내지 친여적인 세력이어서 문제점을 제대로 비판하거나 지적하는 기사를 쓰기가 어려웠다. 반면 신민당은 조직도, 돈도 제대로 갖추지 못했지만, 특히 민중당계하고 신한당계가 아주 사이가 나빠서 선거 도중에도 각 지구당 내부에서조차 반목을 계속하면서 거의 움직이지 않았다고 당시 신문에 나온다. 정권 교체에 대한 열망 같은 것을 야당이 갖고 있지 않았고 패배 의식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럼에도 서쪽 지역에서는 다 윤보선이 박정희보다 표를 많이 얻었다는 것은 박정희 후보가 그다지 국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는 걸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도대체 윤보선 같은 사람이 연이어 대선에 나와 그렇게 무력한 모습을 보였는데도, 더욱이 야당이 제대로 움직이지 못했는데도 그런 결과가 나온 것 아닌가. 이걸 반대로 생각하면 얼마나 박정희 후보가 별 지지를 못 받았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서중석 : 민심은 여전히 박정희를 외면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런 것에서도 읽을 수 있다. 그러한 민심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게 동서 선거 아닌가. 야당과 윤보선 후보가 그런 상태였는데도 서쪽에선 다 이겼다. 이게 뭘 말하는 것이겠나.
아무튼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은 1967년 대선 투표일을 앞두고 중앙정보부 감찰실장 방준모를 불렀다. 감찰실장은 중앙정보부의 주요 간부이자 높은 자리였다. 그런 위치에 있던 방준모한테 김형욱은 "만일 개표 결과가 윤보선 당선 쪽으로 기울어지면 저격해라. 총으로 쏘아 죽여라", 이렇게 지시했다고 한다. 이 대선에서 박정희의 재선 전망이 확실하지 않다고 봤기 때문에 그런 것 아니겠나. 그래서 방준모 감찰실장은 서울 안국동의 윤보선 집 안방이 내려다보이는 덕성여고 2층에 저격수를 1명 배치했다고 그런다. 그런데 박정희가 당선돼 윤보선 저격 계획은 접은 것으로 돼 있다. 김충식의 책을 보면, 방준모가 그렇게 이야기한 걸로 나온다. (1963년 대선 때도 박정희 세력은 설령 선거에서 패하더라도 인정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취했다. 개표 초기 박정희와 윤보선이 엎치락뒤치락하자, 5.16쿠데타 세력 중 일부는 개표 중단, 표 바꿔치기, 군대 출동 및 선거 무효 선언 등을 모의했다. 이는 그들이 국민과 야당에게 순순히 권력을 내놓을 생각 같은 건 손톱만큼도 갖고 있지 않았음을 잘 보여준다. 이와 관련, 1971년 대선에서 만약 개표 결과 김대중이 박정희를 앞섰을 경우 박정희 쪽에서 이를 인정했을까 하는 문제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김대중의 오른팔이던 김상현과 박정희의 충복이던 윤필용의 대화는 이 문제에 대해 많은 걸 시사해준다. 유신 쿠데타 후 김상현은 고문을 당하고 수감됐는데, 1973년 윤필용 사건이 터지며 몰락한 윤필용도 같은 교도소에 수감됐다. 김충식에 따르면, 거기서 김상현은 1971년 대선에서 만약 김대중 후보가 승리했다면 박정희 대통령의 충복들은 어떻게 할 생각이었느냐고 윤필용에게 물었다. 그러자 윤필용은 곧바로 뜨르륵 소리를 내며 기관총 쏘는 시늉을 했다고 한다. <편집자>)
이 선거에서 집권당은 거대한 조직과 막대한 자금을 갖고 있었다. 여론 매체의 홍보에서도 여당이 압도적으로 강했다. 이 당시 신문들은 무력한 존재 내지 친여적인 세력이어서 문제점을 제대로 비판하거나 지적하는 기사를 쓰기가 어려웠다. 반면 신민당은 조직도, 돈도 제대로 갖추지 못했지만, 특히 민중당계하고 신한당계가 아주 사이가 나빠서 선거 도중에도 각 지구당 내부에서조차 반목을 계속하면서 거의 움직이지 않았다고 당시 신문에 나온다. 정권 교체에 대한 열망 같은 것을 야당이 갖고 있지 않았고 패배 의식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럼에도 서쪽 지역에서는 다 윤보선이 박정희보다 표를 많이 얻었다는 것은 박정희 후보가 그다지 국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는 걸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도대체 윤보선 같은 사람이 연이어 대선에 나와 그렇게 무력한 모습을 보였는데도, 더욱이 야당이 제대로 움직이지 못했는데도 그런 결과가 나온 것 아닌가. 이걸 반대로 생각하면 얼마나 박정희 후보가 별 지지를 못 받았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