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남편 외할머니께서 돌아가셨어요.

.. 조회수 : 7,242
작성일 : 2015-12-03 14:08:36
오늘 98세이신 남편의 외할머니께서 돌아가셨어요.
남편은 6시에 온다고 준비하고 있으라고 하는데..
10살 7살 아이들도 데려가야하나요?
그렇다면 아이들 옷도 검정색으로 맞춰입혀야 하나요?
아니면 친정에 맡기고 저희 부부만 다녀와도 되는 건가요?
제가 모르는게 많은데..발인까지 있다 와야하나요?
지방이라서 짐을 싸야하는데 모르는게 많네요ㅜㅜ
조언 부탁드립니다!!
IP : 118.222.xxx.211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2.3 2:15 PM (115.136.xxx.131) - 삭제된댓글

    아이들 안데리고 가도 됩니다
    외증조모상에 애들이 갈필요는 없지요 더구나 지방까지
    제생각엔 발인도 남편만 가고 님은 애들 봐야되니 안가도 될거 같은데
    집안 분위기가 어떤지 모르겠네요
    시어머니한테 살짝 물어보세요

  • 2. .....
    '15.12.3 2:20 PM (218.236.xxx.167) - 삭제된댓글

    부부만 다녀오면 됩니다
    그리고 상가에 가보면 압니다
    친가와 외가의 차이를
    솔직히 외손주들은 그냥 손님위치 입니다
    그나마 남편분은 밤샘도 할수있지만 원글님은 잠시 다녀와도 됩니다
    그리고 지방이라면 당일 올라와도 되구요

  • 3. ...
    '15.12.3 2:22 PM (121.140.xxx.9) - 삭제된댓글

    일단 가족 다 같이 간 후에, 님과 아이는 먼저 올라오는 게 어떨지요.
    그리고, 사돈의 친정엄마상입니다.
    님의 친정엄마도 조의금 내고, 형편이 된다면 가셔야 될 듯 한데요.

    아마도, 남편이 상주가 아니니까 남편도 적당히 있다가 오기 쉬워요.
    그집의 분위기 따라서죠.

  • 4. ...
    '15.12.3 2:24 PM (121.140.xxx.9) - 삭제된댓글

    일단 부부가 같이 가서 님은 먼저 올라오든지요.
    그리고, 사돈의 친정엄마상입니다.
    님의 친정엄마도 조의금 내고, 형편이 된다면 가셔야 될 듯 한데요.

    아마도, 남편이 상주가 아니니까 남편도 적당히 있다가 오기 쉬워요.
    그집의 분위기 따라서죠.

  • 5. 삼산댁
    '15.12.3 2:27 PM (59.11.xxx.51)

    애들은 두고 가시는게 좋을듯 싶네요

  • 6. ....
    '15.12.3 2:36 PM (112.220.xxx.102)

    지방이니 왔다갔다 하기도 힘들테니
    아이들 친정에 맡겨놓고
    부부만 다녀오세요
    몇달전에 외할머니 돌아가셨는데
    저희 3형제 3일내내 있고 장지까지 다녀왔어요
    멀리서 온 이종사촌동생 내외도 장지까지 갔어요..
    아이때문에 힘들면 원글님만 먼저 올라오셔도 되지만
    상황이 되면 같이 있어주세요
    요즘은 외손주 친손주 구분없어요
    성인고 본인이 원하면 상주에 올려주기도 하던데요..

  • 7. .....
    '15.12.3 2:51 PM (222.108.xxx.174) - 삭제된댓글

    제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저도 상주.. 쪽에 들어가더라고요..
    제가 메인은 아니지만요..
    상주들 입는 상복 저도 장례식장에서 같이 대여해서 입었고요.
    직장에서 외조부는 경조휴가를 주지 않는 곳이라,
    제 연차휴가 하루 쓰고, 다음날은 토요일이고 이렇게 해서
    전체 장례일정 중에 하루 반나절을 장례식장에 내내 있었어요.
    장례식장에서 자는 것은, 직계 상주들인 남자들이 했기 때문에,
    저랑 저희 친정어머니는 친정집에 와서 자고 다음날 아침 일찍 발인이라 다시 장례식장에 갔네요.

    저는 아이들이 어리고
    장례식장이 자동차 3시간 거리 다른 지역이라서
    아이들은 평소 아이들 봐주시던 돌보미 아주머니에게 맡기고 갔고요..

    남편도 외조부상 경조휴가가 불가한 직장이라,
    남편은 금요일 퇴근후 밤에 와서 조문하고 토요일 점심즈음 저랑 다시 집으로 올라갔네요.
    장지까지 가는 게 맞다고는 하는데
    저희 친정어머니 (친정어머니에게는 부친상이신 거죠) 가
    애들도 어린데 장지는 됐다고 가서 애들 보라고 하셔서
    장지까지는 안 갔어요.

    남편이 시어머니에게 넌지시 여쭤볼 수 있으면 좋은데..
    제 생각에는 원글님은 일단 호텔방 같은 데서 애들하고 다같이 발인 날까지 잘 각오 하시고 짐을 싸시고요.
    애들은 위에는 빈폴 흰색 카라티셔츠(같이 생긴 것) 에 밑에 어두운색 바지면 충분합니다.
    일단 조문하고 나면,
    시어머님이 애들 힘들 텐데, 가라고 하시지 않을까요?
    그러면 저녁 기차로 올라오시면 되는 거고.
    내일도 오라 하시면 ㅠㅠ
    애들은 오늘 조문만으로도 충분한 듯 싶은데, 애들은 원글님이 집에 데려다 두시고, 내일 친정어머님이나 누가 봐주십사 부탁드리고 원글님은 다시 내일 기차로 내려오시는 수 밖에요 ㅠ

  • 8. .....
    '15.12.3 2:56 PM (222.108.xxx.174) - 삭제된댓글

    제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저도 상주.. 쪽에 들어가더라고요..
    제가 메인은 아니지만요..
    상주들 입는 상복 저도 장례식장에서 같이 대여해서 입었고요.
    직장에서 외조부는 경조휴가를 주지 않는 곳이라,
    제 연차휴가 하루 쓰고, 다음날은 토요일이고 이렇게 해서
    전체 장례일정 중에 하루 반나절을 장례식장에 내내 있었어요.
    장례식장에서 자는 것은, 직계 상주들인 남자들이 했기 때문에,
    저랑 저희 친정어머니는 친정집에 와서 자고 다음날 아침 일찍 발인이라 다시 장례식장에 갔네요.

    저는 아이들이 어리고
    장례식장이 자동차 3시간 거리 다른 지역이라서
    아이들은 평소 아이들 봐주시던 돌보미 아주머니에게 맡기고 갔고요..

    남편도 외조부상 경조휴가가 불가한 직장이라,
    남편은 금요일 퇴근후 밤에 와서 조문하고 토요일 점심즈음 저랑 다시 집으로 올라갔네요.
    장지까지 가는 게 맞다고는 하는데
    저희 친정어머니 (친정어머니에게는 부친상이신 거죠) 가
    애들도 어린데 장지는 됐다고 가서 애들 보라고 하셔서
    장지까지는 안 갔어요.

    제 생각에도 애들은 친정어머니나 누구에게 부탁드려서 두고 가도 될 듯 한데, 일단 시어머님 의향을 알아나 보세요 ㅠ
    남편이 시어머니에게 넌지시 여쭤볼 수 있으면 좋은데..
    만약 오라고 하셔도 애들은 당일 조문 만으로도 충분할 듯 싶어요.
    일단 조문하고 나면,
    시어머님이 애들 힘들 텐데, 가라고 하시지 않을까요?
    그러면 애들 데리고 원글님은 저녁 기차로 다시 올라오시면 될 듯 합니다.
    문제는 애들도 데리고 조문 왔다가 애들은 데려다 주고 원글님은 내일 다시 오라 하면, 그게 좀 문제네요.
    애 봐줄 분을 알아보셔야 할런지. ㅠ

    애들 옷은 위에는 빈폴 흰색 카라티셔츠(같이 생긴 것) 에 밑에 어두운색 바지면 충분합니다.

  • 9. .....
    '15.12.3 2:57 PM (222.108.xxx.174)

    제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저도 상주.. 쪽에 들어가더라고요..
    제가 메인은 아니지만요..
    상주들 입는 상복 저도 장례식장에서 같이 대여해서 입었고요.
    직장에서 외조부는 경조휴가를 주지 않는 곳이라,
    제 연차휴가 하루 쓰고, 다음날은 토요일이고 이렇게 해서
    전체 장례일정 중에 하루 반나절을 장례식장에 내내 있었어요.
    장례식장에서 자는 것은, 직계 상주들인 남자들이 했기 때문에,
    저랑 저희 친정어머니는 친정집에 와서 자고 다음날 아침 일찍 발인이라 다시 장례식장에 갔네요.

    저는 아이가 당시 5살로 어리고,
    장례식장이 자동차 3시간 거리 다른 지역이라서
    아이들은 평소 아이들 봐주시던 돌보미 아주머니에게 맡기고 갔고요..

    남편도 외조부상 경조휴가가 불가한 직장이라,
    남편은 금요일 퇴근후 밤에 와서 조문하고 토요일 점심즈음 저랑 다시 집으로 올라갔네요.
    장지까지 가는 게 맞다고는 하는데
    저희 친정어머니 (친정어머니에게는 부친상이신 거죠) 가
    애들도 어린데 장지는 됐다고 가서 애들 보라고 하셔서
    장지까지는 안 갔어요.

    제 생각에도 애들은 친정어머니나 누구에게 부탁드려서 두고 가도 될 듯 한데, 일단 시어머님 의향을 알아나 보세요 ㅠ
    남편이 시어머니에게 넌지시 여쭤볼 수 있으면 좋은데..
    만약 오라고 하셔도 애들은 당일 조문 만으로도 충분할 듯 싶어요.
    일단 조문하고 나면,
    시어머님이 애들 힘들 텐데, 가라고 하시지 않을까요?
    그러면 애들 데리고 원글님은 저녁 기차로 다시 올라오시면 될 듯 합니다.
    문제는 애들도 데리고 조문 왔다가 애들은 데려다 주고 원글님은 내일 다시 오라 하면, 그게 좀 문제네요.
    애 봐줄 분을 알아보셔야 할런지. ㅠ

    애들 옷은 위에는 빈폴 흰색 카라티셔츠(같이 생긴 것) 에 밑에 어두운색 바지면 충분합니다.

  • 10. ...
    '15.12.3 3:04 PM (211.210.xxx.30)

    부부만 다녀와도 될거 같아요. 엄마는 먼저 올라 오고요. 남편은 장지까지 가면 좋겠죠.
    시댁 어른들 의견도 들어보심이...

  • 11. 아스피린20알
    '15.12.3 3:20 PM (112.217.xxx.237)

    부부만 다녀오셔도 됩니다.
    아이들이 어린데 굳이 데리고 가지 않으셔도 됩니다.
    상황 봐서 남편은 발인까지 있어야 할지 몰라도 원글님은 시어머님께 살짝 말씀하시고 먼저 오세요.
    아이들 돌봐야죠.

  • 12. ..
    '15.12.3 3:23 PM (223.33.xxx.92) - 삭제된댓글

    시누이에게 전화해봤더니 오늘은 애들을 안데리고 가고
    내일 데리고 갈거라고 하네요.
    주말부부라 전 지방에 살고 남편은 안산에 있어요.
    장례식장은 상계동인데..안데리고 가려고 맘을 굳히고 있는 중이었는데 고민이 됩니다.

  • 13. ..
    '15.12.3 5:43 PM (118.222.xxx.211)

    댓글 작성 중에 글이 올라온걸 못봤어요.
    댓글 남겨주셔서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모두들 올 겨울에 감기 안걸리고 건강한 겨울 나실거에요~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6931 전세 세입자인데요.. 옥외 철계단 미끄럼 방지 요청해도 될까요?.. 8 전세 2015/12/04 1,735
506930 패션지 아이템이 2 이건 또 2015/12/04 780
506929 한살림과 자연드림 케이크 다 드셔보신 분 9 생크림 2015/12/04 3,725
506928 엇그제 목욕탕 가서 때밀었는데요 10 목욕탕 2015/12/04 3,980
506927 캡슐커피머신 추천해주세요 9 문의 2015/12/04 1,539
506926 절임배추--- 롯데마트or 이마트 2 궁금 2015/12/04 1,298
506925 돌체구스토 쓰는데 캡슐값이 ;; 1 시네향 2015/12/04 1,519
506924 방산시장 가야하는데 그냥 뭉게고 있네요. 2 111 2015/12/04 932
506923 백내장인데 수술 안받으신 분들은..... 4 강동구처녀 2015/12/04 2,201
506922 알러지 때문에 눈, 코가 괴로운 분들은 이렇게 해 보세요. 7 따뜻 2015/12/04 1,971
506921 흔한 김밥 특별히 맛있는 팁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23 김밥 2015/12/04 4,472
506920 꽁치젓갈 담글때 꽁치젓 담글.. 2015/12/04 736
506919 로스쿨생 잘못 아니라 국가정책을 잘못한거죠 똑바로 2015/12/04 518
506918 전업이라도 다 같은 전업이 아니네요 부잣집 전업은 증여도 잘도 .. 18 마법가루 2015/12/04 6,808
506917 연말정산시 세액 공제받는 정치후원금 하셨나요? 2 잘살고프다 2015/12/04 812
506916 프랑스 극우정당 마리 르펭에 대한 예술가들의 공개서한 1 마리르팽 2015/12/04 602
506915 1월에 가기 좋은 여행지 추천해주세요 6 여행 2015/12/04 2,120
506914 교토 날씨 어떤가요? 여행 2015/12/04 787
506913 대한민국이 '헬조선'인 60가지 이유를 알려드립니다 3 세우실 2015/12/04 1,105
506912 위닉스 에어워셔 전혀 가습이 안되는거같은데요 으아 2015/12/04 1,842
506911 별정통신사 쓰는 분들 네비게이션은 어떻게 사용하세요? 바꿔보려는데.. 2015/12/04 615
506910 전업이라도 살림과 애들 케어 둘 다 잘하기 힘들지 않나요? 16 아무리 2015/12/04 4,540
506909 20-30대랑 학원을 다녀보니... 5 000 2015/12/04 2,279
506908 인사드리는데요 2 고민 2015/12/04 646
506907 어리굴젓 담을때 질문입니다 1 모모 2015/12/04 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