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현미밥을 했는데요...매번 이러네요

집밥현미선생 조회수 : 2,164
작성일 : 2015-10-21 14:32:50
뭐가 잘못 된거죠?

1.잘 씻은 현미를 저녁 11시부터 불려 오전 10시경에 밥했어요.(아침으로 할려다 밥은 있어서 오늘만 점심용으로.)
2.밥할때 찹쌀을 현미의 1/4정도 추가했어요.(이번엔 일반찹쌀이였음)
3.물양은 일반 밥할때의 물양으로 맞췄어요.
4.압력솥 김나고 센불 3분후 약약불 15-20분정도(오븐타이머가 알람이 일정치 않아서) 뜸들이기로 취사연속..

솥은 실리트압력솥이구요.
불은 가스불로 했구요.

이런 상황인데...
오늘은 밥이 진밥?이라고 하나요?그러면서 떡밥은 아닌...따로노는 현미덕인에 퍼진 밥인데...
10번이고 100번이고 씹을게 없는 정도인데...
이게 잘된 현미밥인지...아니면 더 고슬하게 해야할지요?..

대개는 아침 7시경에 밥불올려요.즉 8시간정도 불리는데 오늘 많이 불려서 그런탓인지?
지금 또 씻어서 저녁용으로 다시 해볼려는데 문제를 알고싶어서요.
 
IP : 114.204.xxx.72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5.10.21 2:36 PM (121.150.xxx.86) - 삭제된댓글

    저는 현미만으로 밥을 하는데요.
    현미를 전날저녁에 담그어서 밖에 둡니다.
    그리고 그걸로 아침에 쓰는데 일반미보다 조금더 물을 넣고 밥을 해요.
    구형 휘슬러 3단계 눈금올라오면 취사완료.
    촉촉한 밥좋아해서 늘 이렇게 해먹어요.

  • 2. 자주는아니고
    '15.10.21 2:36 PM (211.210.xxx.30)

    가끔씩 발아현미밥을 하는데요.
    일반밥과 같은양의 물을 넣으면 약간 떡밥이 되더라구요.
    저는 그런 찐득한 상태가 좋아서 그냥 먹지만 물을 좀 덜 넣어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뜸도 덜 들이고요.

  • 3. ...
    '15.10.21 2:37 PM (121.144.xxx.170) - 삭제된댓글

    저도 현미밥 10년째인데 찹쌀 섞어서 매일 저녁에 불리고 아침에 누르거든요
    그런데 저런현상은 없었던거 같은데?
    찹쌀 반반 할때도있고요

  • 4. ㅇㅇㅇ
    '15.10.21 2:43 PM (203.251.xxx.119)

    불린쌀은 물을 더 적게 해야해요

  • 5.
    '15.10.21 2:44 PM (112.155.xxx.165) - 삭제된댓글

    약불에 오래 올려두면 밥이 질어지는것 같아요
    중약불로 5분정도 돌고나면 불을 끄세요
    압력솥의 장점이 밥이 빨리 되는건데 원글님은 너무 오래 불에 두시는듯해요

  • 6.
    '15.10.21 2:44 PM (121.150.xxx.86)

    저는 현미만으로 밥을 하는데요.
    현미를 전날저녁에 담그어서 밖에 둡니다.
    그리고 그걸로 아침에 쓰는데 일반미보다 조금더 물을 넣고 밥을 해요.
    구형 휘슬러 3단계 눈금올라오면 취사완료.
    촉촉한 밥좋아해서 늘 이렇게 해먹어요.
    발아현미라면 물을 적게 넣어야 된다는데 저는 묵은 쌀이라 이렇게 해요.

  • 7. ...
    '15.10.21 2:50 PM (121.144.xxx.170) - 삭제된댓글

    아 불린쌀로 다시물 맞춘거네요
    그럼 물이 많은듯
    저는 그냥 물좀 많이맞추고 솥 통체로 불리고 아침에 바로 밥해요

  • 8. 원글이랍니다.
    '15.10.21 3:00 PM (114.204.xxx.72)

    아...저두 묵은쌀이구요.
    얼른 다 먹고치울려니 이렇게나 맛이 안나서리 도저히 해결이 안나서 ^^;;

    아까 밥맛보고서는 일단 12시정각에 쌀을 불렸거든요.
    물을 덜~뜸을 덜~해서 밥 다시 해볼께요.

    이전에 현미밥하면 발아되어 촉이 생긴 밥으로 맛나게 먹었는데 요즘은 발아되는 쌀을 만나볼 수가 없어요.
    불린다는 의미가 발아시킨다는 것같은데...
    저렇게 퍼진밥(그나마 떡밥은 아니고 진밥까지는 아니고..단어가 애매해요)이 나오니...
    식히면 먹을만한데...따뜻한밥을 식혀서 먹어야 되니...

    뜸을 20분가량 들인 이유는...여기 검색해서 뜸을 오래 들여보라고 해서 해본거랍니다.
    그나마 따로노는 현미밥이 아닌거라 감사해요.

  • 9. 현미광
    '15.10.21 3:06 PM (222.238.xxx.125) - 삭제된댓글

    현미만으로 밥 하는데요
    하룻밤 불려요
    그리고 칙칙칙 소리나면 불 최약불로 해서 13분.
    끝나면 30초정도 불 끄고 냅두고 바로 김 뺍니다. 오래 놔두면 떡밥 돼요.

    물은 백미할 때 양 정도해요. 조금 적게 하거나요.
    쌀은 갓도정한 쌀로 항상 구입해서 두달 안에 다 먹어요. 냉장고에 넣어두고.
    적당히 찰지고요 밥맛 좋아요.

  • 10. 저는
    '15.10.21 3:33 PM (183.97.xxx.148)

    현미8 현미찹쌀2 정도로 30분 미만으로 불려서 wmf에 밥하는데 정말 맛있게 되던데요
    오래 불릴 필요가 없어서 그냥 20-30분 불려요

  • 11. 물양
    '15.10.21 8:45 PM (115.161.xxx.105)

    물이 많아요. 냄비에 씻자마자 물맞춰놓고 불린후 바로 끓여버려요

  • 12. ...
    '15.10.21 9:46 PM (180.65.xxx.236)

    현미밥이 소화는 잘 되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3295 돼지고기 장조림도 맹물에 푹 끓여야하나요? 2 장조림 2015/10/23 1,066
493294 공기청정기.탈취기능도 있는거죠?? 6 .. 2015/10/23 1,633
493293 초6-2 과학 교과서 몇 단원까지인가요? 2 이상하네 2015/10/23 514
493292 "軍위안부에 사죄·배상하라"..日여성 1천50.. 탈핵 2015/10/23 316
493291 일본 황군 아베의 자위대가 한반도에 들어온대요. 5 나라뺏기겠네.. 2015/10/23 871
493290 용산 아이파크몰 - 구경 삼아 가볼만 한가요? 9 구경 2015/10/23 2,233
493289 sky대 작곡과 들어가기 힘든가요? 5 음악전공 2015/10/23 2,354
493288 막내 동생 선보고 상대남이 연락이 왔는데... 49 선보고 2015/10/23 16,499
493287 남편휴가인데 친정아버지 병문안가자고 했더니 6 ㅇㅇ 2015/10/23 2,609
493286 유통기한 6개월가량 경과한 치즈크림... 4 ... 2015/10/23 810
493285 2015년 10월 23일 경향신문,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5/10/23 527
493284 오늘 대전 전민동에서...하는 페스티발 아세요?? ^^ 2015/10/23 610
493283 영덕을 지키면 ‘탈핵’이 가능합니다 1 탈핵 2015/10/23 419
493282 수시발표인데 합격기준 3 .. 2015/10/23 1,746
493281 돈많은 놈들은 밤일도 자주할꺼라고 하는데... 7 ㅋㅋㅋㅋ 2015/10/23 4,676
493280 길거리에서 카드 가입 해도 괜찮나요? 2 카드 2015/10/23 905
493279 스가 관방장관 “일본, ‘적 기지’ 선제공격 가능”, 일 방위상.. 2 탈핵 2015/10/23 620
493278 사십중반이면 연예인도 무너지는 8 2015/10/23 5,245
493277 왜 패배주의 가르치나-정상적인 나라에서는역사교과서 국정화 안한다.. 4 집배원 2015/10/23 884
493276 김종대 편집장 얘기 들으니 ...... 2 에휴 2015/10/23 1,178
493275 43세에요같은또래맘들 자식들나이어케돼세요? 30 2015/10/23 4,620
493274 文 ˝朴대통령 역사인식 상식과 동떨어져…절벽같은 암담함˝ 49 세우실 2015/10/23 1,261
493273 여러분 삶의 여정에서 반전의 경험들을 소중하게 공유 해 봐요.... 5 여기에 2015/10/23 1,381
493272 문제해결의 길잡이란 책이요.. 4 원리냐심화냐.. 2015/10/23 2,021
493271 낫또를 먹고 있는데요 9 ........ 2015/10/23 2,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