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사를 합친다는거? 이거 어떻해 하나요?

제사 조회수 : 5,967
작성일 : 2015-09-23 20:38:16

시부모님 두부다 제사가 설명절,추석명절 3-5일전이에요

그러다보니 음식도 계속 제사음식 처리도 하기전에 명절이 오네요

일단 제사는 남편이 외동이고 시누이가 있는데 제사때 안오세요

그냥 오롯이 가족하고만 지내는데  갈수록 고민이 되네요

그래서 명절때 제사를 합친다는 말 많이 들었는데 정확히 어떻해 하는건지요??

일단 요새분위기상 제사를 합친다는데 남편에게 의향을 물어보니 전적으로 저의생각을 따르겠다고 하네요

그래서 명절에 그냥 제사를 지냈으면 하는데

정확한 어떤 법칙이 있는지요?  알려주세요 82언니들


IP : 218.238.xxx.184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건
    '15.9.23 8:42 PM (221.149.xxx.234) - 삭제된댓글

    처리는 사람 맘대로 하는거지
    어떤 격식이 따로 있는게 아니에요.
    며칠 차이면 음식을 죄다 소분 냉동실 넣옸다 꺼내 차리고 또차리고 하면 돼죠.현대과학의 발전덕을 보면 되죠.
    생일도 땡겨 하고 제사 음식도 고인이 좋아했다면 넣기도 하고
    살아 있는 사람들 맘대로 하는게 바로 제사죠....

  • 2. 그건
    '15.9.23 8:43 PM (221.149.xxx.234) - 삭제된댓글

    차리는 사람 맘대로 하는거지
    어떤 격식이 따로 있는게 아니에요.
    며칠 차이면 음식을 죄다 소분 냉동실 넣옸다 꺼내 차리고 또차리고 하면 돼죠.현대과학의 발전덕을 보면 되죠.
    생일도 땡겨 하고 제사 음식도 고인이 좋아했다면 넣기도 하고
    살아 있는 사람들 맘대로 하는게 바로 제사죠....

  • 3. 그건
    '15.9.23 8:43 PM (221.149.xxx.234) - 삭제된댓글

    차리는 사람 맘대로 하는거지
    어떤 격식이 따로 있는게 아니에요.
    며칠 차이면 음식을 죄다 소분 냉동실 넣었다 꺼내 차리고 또차리고 하면 돼죠.현대과학의 발전덕을 보면 되죠.
    생일도 땡겨 하고 제사 음식도 고인이 좋아했다면 넣기도 하고
    살아 있는 사람들 맘대로 하는게 바로 제사죠....

  • 4. 은현이
    '15.9.23 8:46 PM (112.109.xxx.249)

    친정 부모님이 보름 상간 제사 였는데 따로 3년모시고 3년째에 엄마에게 아버지와 제사 합한다고 고 하고 아버지 제사로 합해 제사를 모시고 있어요.
    시댁도 조부모님 제사를 이런식으로 합제사 한지2년 되었는데 어머니 정말 좋아하세요.

  • 5. 그런 상황이라면
    '15.9.23 8:47 PM (39.118.xxx.118) - 삭제된댓글

    보통 부모님 제사는 한번으로 합치는 경우가 많고, 명절 앞이면 명절 당일 차례는 따로 안하기도 해요.
    하지만 원글님 상황이라면 전 제사 없앨 거예요.
    1년에 한두번 날 좋을 때 성묘가구요.
    저는 앞으로 그렇게 할 생각이에요. 원글님 상황이 된다면.

  • 6. .
    '15.9.23 8:49 PM (115.140.xxx.74) - 삭제된댓글

    어차피 제사형식이란거
    산사람들이 만든거잖아요.
    기제사 모두 없애고, 일년에 명절두번
    으로 하는집들도 봤어요.
    원글님집은 기제사가 명절 코앞이고
    시누이도 안오고, 남편이 님 의견 따른다고..
    조건이 매우 좋은대요.
    그냥 명절차례 두번으로 하세요.
    형식은 사람이 만드는거죠.

  • 7.
    '15.9.23 8:50 PM (175.120.xxx.91)

    조부모님 제사를 조부님 제사에 합쳐서 하기로 했습니다. 줄이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저는 아버님 어머님 제사도 한번으로 합칠 생각이에요. 아들한테는 물려줄 마음 없구요. 맞벌이를 가정하에요. 차례도 신정 가볍게 지내고 싶고... 모르겠어요, 남편이 오케이 안할거 같긴 한데 우리 세대(3-40대)가 나이들면 지금보다 훨씬 많이 간소화되지 않겠어요?!

  • 8. ////////
    '15.9.23 8:51 PM (175.197.xxx.99)

    어떻해 -> 어떻게??

  • 9. 합친다는건
    '15.9.23 9:32 PM (218.236.xxx.45) - 삭제된댓글

    부부 기일을 남편 기일날 합쳐서 지내는걸 말합니다
    시부모 제사를 합친다면 시아버지 제삿날 두분제사 모시면 되고
    기 제사를 없애 버리고 설,명절 차례로 지낼수도 있어요
    일단은 남편분에게 다시한번 의논해 보세요

  • 10. 종갓집
    '15.9.23 9:41 PM (220.76.xxx.12)

    시부모님이 두분다 돌아가시면 시아버지 제사날에 시어머니밥도 떠놓으면 돼요
    그런데 제사합치기전 할일이 잇어요 몇일후면 추석이잖아요 추석에 산소에가서
    시아버지 산소와 시어머니산소에 가서고하세요 다음부터는 시부모님 제사를
    이렇게합치니 그리아시라고 꼭추석에 하는거예요 추석전에 제사라면 하던데로하고
    추석에 고할때 내년부터는 이렇게 해드린다 하세요 제사없엘 때에도 이렇게 고하고
    없에는거에요 결혼한 시누이한테는 말할필요없어요 제사에도안오니까

  • 11. ㄷㄴㄱㄴ
    '15.9.23 9:41 PM (1.241.xxx.169) - 삭제된댓글

    요즘 제사 줄이고 없애거나 약식으로 가는 분위기에요
    전 부모님 기일즈음에 성묘가서 꽃다발, 떡조금사고 술한잔 올리고 인사하고 와요
    이렇게 하기가 부족하다 싶으면 종교대로 절에 가시거나 교회 가시거나 하고 이후 명절 제사 지내면 되죠
    어치피 우리 자식세대는 물려줄 수 없으니 우리세대에서
    조금씩 정리해야하지 않을까요?

  • 12. 저희집
    '15.9.23 9:56 PM (39.119.xxx.171) - 삭제된댓글

    추석 즈음에 돌아가신 시아버지, 한식 즈음에 돌아가신 시어머니
    시아버지는 제사 따로 안지내고 추석차례로 대신.
    어머니는 한식으로 대신.
    그렇게 해요.

  • 13. ...
    '15.9.23 10:40 PM (108.29.xxx.104)

    차례와 기제사는 다른 건데요.

  • 14. 저흰
    '15.9.23 11:00 PM (121.145.xxx.9)

    시어머니 제사가 시아버지 제사보다 3일 빨라요.
    시어머닌 돌아가신지가 30년이 넘었고 시아버지는 돌아가시고 제사를 두번 지낸 상황인데 시부모님중 제사가 빠른분 위주로 합치는거 아닌가요?
    돌아 가신지얼마 안된 시아버지 제사로 합쳐야 할까요?
    저도 이번 추석에 고해야 하는데...

  • 15. 제사
    '15.9.23 11:09 PM (121.167.xxx.129)

    제사합치는것 저장합니다

  • 16. ...
    '15.9.23 11:24 PM (175.253.xxx.76)

    저희님.
    제 친정엄마는 할머니제사가 가을이고 할아버지제사가 장마철이라서 음식이 금방쉬어서 고생많았는데. 할마니 돌아가시고 그 다음해에 할머니제사에 합쳤어요.
    할아버지 제사를 장마철에 50년을 고생했는데 이제 살것같다고 하시네요

  • 17. ...님
    '15.9.23 11:32 PM (121.145.xxx.9)

    늦은시간인데도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할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7179 네이비색 쟈켓에는 이너랑 바지 어떤게어울리죠? 5 코디부탁요 2015/10/02 2,563
487178 어제 퍼즐 받을때 박서준 연기 괜찮지 않았나요? 그녀는 예뻤.. 2015/10/02 1,301
487177 아침에 일어나면 침구 정리는 어떻게하시나요? 5 새벽 2015/10/02 2,756
487176 67일차 보육교사입니다 10 ... 2015/10/02 3,988
487175 아...지금 병원에서 대기하고 있는데... 10 ... 2015/10/02 2,203
487174 박원순을 옹호하는 사람들은 왜 치아문제에는 입을 다물까 47 길벗1 2015/10/02 2,237
487173 자녀 없는 집은 어디까지 경조사를 챙기시나요? 8 궁금 2015/10/02 1,349
487172 남친, 남편에게 엄마를 바라는 여자 47 2015/10/02 1,811
487171 폐경자궁검사, 이명 치료 병원 추천해주세요 3 ㅇㅇㅇ 2015/10/02 2,243
487170 밥하는 아줌마 4 2015/10/02 1,562
487169 등이 굽는 엄마(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척추후만증 2015/10/02 2,456
487168 김밥쌀때 김, 지도표 성경김 좋네요 7 .. 2015/10/02 3,068
487167 빌라에서 아이키우기 정말 안좋을까요? 47 .... 2015/10/02 4,236
487166 오늘 노무현재단에서 하는 만찬 가시는 분 계신가요? 12 시월애 2015/10/02 1,197
487165 최근 카톡이나 문자 수신이 몇시간 뒤에 오는 경우가 잦은데.. 5 핸드폰 2015/10/02 2,497
487164 목동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에 영어 수학 해 가야 하나요 --; 6 이사준비 2015/10/02 1,810
487163 초5딸 왕따 조짐? 조언부탁해요.. 7 .. 2015/10/02 2,173
487162 무능한것보다 부패해도 유능한 새누리라면서... 10 ㅇㅇ 2015/10/02 854
487161 남편들 제수씨 칭찬 많이 하나요? 19 대노 2015/10/02 3,494
487160 저만 오늘 알았나요? 1 휴우 2015/10/02 1,583
487159 카톡 질문요.. 2 ㅁㅇ 2015/10/02 583
487158 친구 딸 결혼식에 다들 뭐 입고 가세요? 20 ... 2015/10/02 4,571
487157 이사를 가야 하는데. 3 걱정입니다... 2015/10/02 901
487156 겨울 대비 나만의 완소 아이템 있으세요? 14 gg 2015/10/02 4,666
487155 전세 묵시적 갱신 이후 중도에 이사가는 경우 복비 문제 10 ... 2015/10/02 4,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