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경제학과는 왜 문과인가요?

??? 조회수 : 9,708
작성일 : 2015-09-14 12:20:24

경영학도 그렇고 특히 경제학과,

가끔 통계학과도 문과로 들어가는 대학있지 않나요?

수학이 중요한것 같은 이 학과들이 왜 문과로 문류되는지 궁금해요

IP : 183.109.xxx.15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5.9.14 12:35 PM (49.142.xxx.181)

    수학적인게 포함될뿐 기본적으로는 경제나 경영을 배우는거니깐요.

  • 2. --
    '15.9.14 12:39 PM (220.118.xxx.144) - 삭제된댓글

    통계학과가 문과로 되어 있는 대표적인 학교는 고려대와 연세대인데요, 자연대학에 통계학과가 있는 서울대가 수학과 수준의 이론통계학에 중점을 둔 반면, 고려대 통계학과는 사회학과와 비슷한 성격을 띠고 있고 연세대의 경우 경제, 경영학과의 툴로서의 역할을 더 강조하는 편입니다. 다만 대학원에 가면 전체적인 방향성은 대체로 비슷해지긴 합니다.

  • 3.
    '15.9.14 12:42 PM (221.146.xxx.73)

    사회현상을 (어떠한 가설을 전제로) 설명하는 이론이니까요

  • 4.
    '15.9.14 12:42 PM (211.104.xxx.140)

    경영은 수학이 일부죠
    회계나 경제학과는 더 많기는 해요

  • 5. ..
    '15.9.14 12:44 PM (39.7.xxx.15)

    과학적 실험은 통제된 동일 조건 안에서 항상 동일한 결과가 발생해야지만 인정하지요.
    경제 경영안에서 인간, 인간의 욕망이라는 변수가
    그렇게 통제가능해 보이지 않아요

  • 6. .....
    '15.9.14 12:52 PM (121.161.xxx.1)

    요즘 경영학도 회계쪽 안하면 취직힘드니까 경영 경제 그냥 다 수학과라고 봐야죠. 특히 경제학... 문과생들이 공부하기엔 너무 어려워보여요.

  • 7. ㅇㅇ
    '15.9.14 1:04 PM (211.106.xxx.137) - 삭제된댓글

    기본적으로 사회 현상을 다루는 학문이니까요.
    문과 택하는 학생들 중 과학에 큰 관심 없지만 수학은 아주 잘 하는 아이들 생각보다 많아요.
    그런 학생들이 끌리는 학문이 경제학이나 통계학인 거죠.

  • 8. dsu
    '15.9.14 1:04 PM (130.102.xxx.13)

    제가 알기로는 일본 유명 사립 대학의 구성이 미국의 주립 대학 중 하나를 모태로 했는데, 한국은 초기에 그 구성을 그대로 배꼈고 그래서 현재 주요 대학에서 경제학이 사회과학대학 혹은 정치경제대학에 소속되어 있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국 주립의 경우 왜 이게 사회과학대학에 있냐고 물으신다면 경제학이 학문적으로 탄생한 초기 영국에서 경제 문제는 사회문제의 일부였기 때문이죠.

    물론 경제학이라는 학문이 연구 단계로 가면 대부분 경제학 내의 세부전공에서 그 언어 자체가 수학과 대학원 1-2년차를 마칠 정도의 소양(수학 전부야가 필요한 것은 아니고 수학전공 내의 일부 세부 분야)을 필요로 하는 언어를 사용해서 표현하기 때문에 수학이 중요하죠. 알파벳도 모르고 글을 읽을 수는 없으니까요? 세부분야에 따라 경제학 내에서도 응용쪽은 기본 통계와 프로그램만 사용할 줄 알면되구요.

    하지만 학부 수준에서의 교육은 수학은 완전히 기본적인 것만 제외하면 직관과 논리로만 설명하니 문과에 있어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어 보입니다. 다만 기본 소양으로 문과의 공통을 배우는게 효율적인지 아니면 이과의 공통을 배우는 게 효율적인지의 문제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문과에 있음으로해서 학부과정과 대학원 과정의 갭이 너무 큰데 그래도 큰 문제 없이 굴러가는 것처럼 보이네요. 그리고 경제학이 갖은 이과적 측면의 강조는 끊임없는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 9. 과학으로 분류될 거에요
    '15.9.14 1:18 PM (74.74.xxx.231)

    경제학자들이 자신을 "과학자"라 부르는 경우도 있어요, 사화과학이라는 말에서 사회라는 단어도 떼어버리고요.

    미국식 과목 구분법에 의하면 철학 영문학 같은 것이 humanity이고 경제학은 humanity가 아닌 social sicences에 들어가요. 접근법으로 보면 경제학은 수학 물리학 화학 등에 가깝고 humanity와는 거리가 멀다고 볼 수도 있는데요.

  • 10. 배우는
    '15.9.14 1:20 PM (14.52.xxx.171)

    수학도 문과범위에요

  • 11. 우리 나라의 이과 문과는
    '15.9.14 1:20 PM (74.74.xxx.231)

    연구 대상이 인간 사회냐 물질계냐로 구별하는 거고요. 그 구분법에 의하면 당연히 경제학은 문과죠.

  • 12. ㅇㅇ
    '15.9.14 1:30 PM (211.106.xxx.137) - 삭제된댓글

    social sciences 는 현재 분류상으로 문과쟎아요.
    비단 경제학만이 아니라 사회학 심리학 등도 방법론적으로 수학이나 통계학을 활용하는 경우 많죠.
    humanities와는 당연히 차이가 나겠고요.
    경제학은 사실 가치관의 문제가 중요하게 개입되는 학문이라서 자연과학이랑은 다르죠.
    스스로를 과학자라고 부르는 경제학자들 혹은 다른 사회과학자들은
    그런 면을 지워 버리려고 하는 건데 개인적으론 좀 위험한 발상이 아닌가 싶습니다.

  • 13.
    '15.9.14 4:53 P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경제학은,,,,정치학, 사회학 등이 맞물려 있어서요.
    단순히 수리, 통계적인 것만 공부하는게 아니거든요.

    그래서 예전에는 단과대도 정경대학으로 분류되었어요.

  • 14. 경제학과
    '15.9.14 8:13 PM (219.250.xxx.119) - 삭제된댓글

    저희 아이가 경제과 나왔는데
    미적분합니다. 통계는 물론이고요.

  • 15. 맞물려 있는 거는
    '15.9.15 2:46 AM (129.21.xxx.180)

    수학 물리 화학 생물 다 철학하고도 맞물려 있고 그래요. 그걸 이유로 화학이 문과라고 할 수는 없지요.

    경제학이 문과인 것은 철학과 맞물려 있어서가 아니라 우리 나라 이과 문과 구분법은 연구 대상이 인간 사회냐 물질계냐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문과인 것입니다. 미국식의 humanity라는 단어하고 우리식 문과라는 단어는 또 뜻이 완전 다르고요.

  • 16. 다수의 학생이 수학을 깊이 안 배운다는 것도
    '15.9.15 2:47 AM (129.21.xxx.180)

    경제학이 문과인 이유가 아니에요. 생물학과에 가 보면 수학을 깊이 안 배우는 학생과 교수 많지만 그걸 이유로 생물이 문과라고 하지 않습니다.

  • 17. 다수의 학생이 수학을 깊이 안 배운다는 것도
    '15.9.15 2:48 AM (129.21.xxx.180)

    전산과에도 수학 많이 안 배우는 학생 많지만 전산과, 컴퓨터싸이언스 같은 것이 문과라고 하지 않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2737 교수 그만두고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을까요? 21 Jh 2015/09/16 5,406
482736 국내 수입 금지된 비타민제를 외국여행가는 친구에게 사달라고 해도.. 3 jmjm12.. 2015/09/16 957
482735 전기장판 다들 키셨죠? ㅎㅎ 22 ㅇㅇ 2015/09/16 4,581
482734 영어 잘하시는 분들 번역 한문장 도와주세요 2 영어 2015/09/16 906
482733 차를 팔았는데 오늘 자동차세가 나왔어요 7 ??? 2015/09/16 2,509
482732 덴마크 15세 소녀 엄마 무참히 살해 6 무서워 2015/09/16 4,467
482731 호주산 쇠고기 냄새 없애는 법 10 dork3 2015/09/16 3,369
482730 윗집누수로 핀 안방곰팡이 제거는 누가해야 할까요?ㅜ 4 2015/09/16 1,342
482729 새정치, 혁신안 중앙위원회 통과 24 국민공천 2015/09/16 1,287
482728 이런 지인... 4 .... 2015/09/16 1,250
482727 난소제거하신 분들 계신가요? 조언 듣고자해요 10 난소수술 2015/09/16 3,863
482726 토요일 먹을 김치 언제 담아야 제일 좋을지요? 2 ... 2015/09/16 1,281
482725 옥돔 12마리 6만원대 어때요? 7 gs홈쇼핑 2015/09/16 1,680
482724 모든 면에서 앞이 안보여요.... 2 어둠의터널 2015/09/16 1,068
482723 쿠쿠 압력밥솥, 밥통만 교체 가능할까요? 5 궁금 2015/09/16 2,729
482722 비타민B 알 작거나 씹어먹을 수 있는 것 추천좀 해주세요 7 . 2015/09/16 1,817
482721 태블릿도 전화 기능 되나요? 6 급질 2015/09/16 2,782
482720 베이비가사시터 3 궁금이 2015/09/16 1,282
482719 롯데리아 햄버거 맛있게 먹었는데,,5시정도되니..배가 고파서 4 이젠 밥 2015/09/16 1,718
482718 남편이 뇌mri찍었는데 정밀 검사를 받아보라는데 좋은 병원 없나.. 48 병원 2015/09/16 3,550
482717 저도 잠버릇인데 한번 봐주세요 2015/09/16 561
482716 짜증나고 몹시 지칠 때 뭐하면 좋을까요 5 잊어라 2015/09/16 1,853
482715 마트 와인 좀 추천해주세요.. 15 ... 2015/09/16 2,130
482714 우엉차? 차 뭐가 좋을까요? 3 차 뭐드세요.. 2015/09/16 1,770
482713 석탄공사 자원외교 손실 100억대..엔알디주식 9배 뛰어 3 테마주먹튀 2015/09/16 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