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 넋두리..

... 조회수 : 3,222
작성일 : 2015-08-10 12:09:26

 

보통 가정을 꾸리고 돈을 모으면

가장 먼저 집을 사는게 일반적인 사람의 생각, 아닌가요?

 

우리 남편은 왜 집을 사지 않을까요?

네..지금 결혼 10년차. 처음엔 21평 아파트 전세로 시작했지요.

알뜰살뜰 살아서..전세금 제외하고 1억이 모인 날, 너무 기뻤어요.

남편과 내가, 함께 이뤄낸 큰 성과였으니까요...사실 돈 모으면서 그때가 제일 좋았던 거 같아요.

이렇게 저렇게 돈을 모아도 남편은 집을 살 생각이 없어요..

처음엔 남편 회사에서 전세자금이 나왔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 돈에 맞춰 25평 복도식 아파트에 살았지요.

왜냐하면 그 금액을 넘으면 그 전세자금을 못 쓰니까요..

회사 덕분에 주거비에 거의 돈을 들이지 않고, 십년정도를 살았어요.

그런데 이제는 그 돈으로 있을 수 있는 아파트가 없기 때문에 전세자금은 모두 돌려주고,

저희 돈으로 전세를 살아요.

 

그런데 아시다시피, 이젠 전세도 거의 없어지고, 집값도 많이 올랐죠.

한동네 오래살다보니,

예전 가격을 알면서 20년 가까이 되는 집을 사기에 저도 많이 부담스럽습니다.

그런데요..저도 남들처럼 새집은 아니더라도, 싹 수리된 내 집, 예쁘게 꾸며 놓고 살고 싶습니다.

그래요..빚이 있는 집도 많고, 저희보다 형편이 안 좋은 사람도 많겠지요..

 

제가 욕심이 많은 건가요?

지금 있는 자산은 약 6억원정도. 채권에 투자해 놓은 상태라서 비교적 안정적인 돈 불리기가 되고 있지만,

이젠 그 돈으로 집을 하나 사도 되지 않을까요? 지금 사는 곳이 그리 비싼 곳도 아니고요..

25평 계단식은 3억정도, 33평은 4억이면 살 수 있거든요..

 

어제 집때문에 한바탕하고 기분이 너무 좋지 않아, 이렇게 넋두리합니다.

부끄러워 이 글은 곧 지울지도 모르겠어요.

 

IP : 61.105.xxx.224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8.10 12:12 PM (223.62.xxx.37)

    전세난민으로 사실건가요. 남편은 죽을 때까지 내 집 없이 사실거래요? 채권보다 월세 받는게 더 이익 날 수도 있는데 잘 설득해보세요.

  • 2. 아니 왜?
    '15.8.10 12:13 PM (14.32.xxx.157)

    아니 남편분은 왜 집사는걸 반대하나요? 자금도 충분히 있는데.
    사치품을 사는것도 아니고, 비싼 여행을 하자는것도 아니고.
    내 경제력에 맞춰 오래된 아파트 사서 이쁘게 수리해서 살겠다는데.
    결혼 10년에 순수하게 모은돈이 6억이면 참 많으시네요.

  • 3. ㅇㅇ
    '15.8.10 12:20 PM (58.140.xxx.223)

    남자들중에 자기집 갖고 쓸고 딲고 가꾸면서 사는 기쁨을 이해못하는 성격좀 있죠
    집을 오로지 투자대상으로만 보니까 집살빠에야 채권이나 주식투자하는게 낫다 이런 성향들
    부인도 같은성향이면 문제 없는데 다르면 괴롭긴하죠

  • 4.
    '15.8.10 12:44 PM (124.50.xxx.70)

    아이는 있나요?
    보통 어지간히 집 안 사는 사람들도 집사는 때가 아이 학교들어갈때쯤이더군요.
    싸든 비싸든 그건 운이고...

  • 5. 이해함
    '15.8.10 12:53 PM (1.231.xxx.135)

    제가 딱 님네 스타일 ..^^;;
    버티다 올해초 급매 아주 좋은 가격에 샀어요.전 무지 사고 싶은데 남편은 계속 전세를 고집했던 상황인데 ...전세로 다시 가려니 전세가 하나도 없어서 산겁니다. 애들 학교때문에 움직일수가 없으니...
    그래도 이제껏 버티다 지금 샀기 때문에 그나마 이웃들보다는 손해 안봤지요.
    가격대 보니까 강북 우리동네랑 비슷하네요,그 기준으로 보면...
    이제껏 전세 사신거 손해 아닙니다.
    회사에서 주는 전세금 당연 이용해야하는거 맞구요.
    그거 끝나고 집 샀으면 지금 내가 아는 이웃들 짝 났을겁니다. 안그런가요?
    20 30 평대 몇년전에 샀으면 다 손해입니다. 지금도...
    33평 5억 갈때 산 사람들도 많은데 지금 4억 정도 하거든요.그나마 올라온 가격임.
    회사에서 준 전세금과 그 이후에 전세로 살았기 때문에 그나마 6억 모은거라고 봅니다
    저는 약간 년수가 있어 그보다 좀 더 모은 케이스구요
    근래 5년 동안 집값과 채권이자 비교해서 채권쪽이 그나마 안정적으로 돈 보전해줬기 때문에 남편도 집 안살겁니다.
    정~말 전세없고 아이들 때문에 정착해야 한다면 사시구요. 아니면 내년 후반이나 좀 고려해 보세요.
    편한 집이 좋아서 4억 깔고 있기엔 앞으로 아이들 교육비랑 너무 많이 들어가요.ㅠㅠ
    큰 경매전문 자산회사 원장이 내년초 이후엔 아파트 건드리지 말라고 하더라구요.
    남편도 금융계인데...음....아파트는 아니라고...ㅠㅠ
    전 정말 15년 전세 살아서 맘 알아요^^
    저도 인테리어 엄청 좋아하거든요.
    집이 돈을 모아준다고 하는 인식이 많은데 실제로 돈 벌 줄 아는 사람들은 주식이건 채권이건 상품이건..그만큼 돈 법니다.

  • 6. 자신감
    '15.8.10 12:57 PM (183.101.xxx.180)

    남편분이 능력있고 부동산외의 재테크에 자신있는분 아닐까 추측해봅니다만...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이 이성적이지 않은면이 강하니까
    집을 재테크수단으로만 보면 안사는게 맞을수도 있지만
    내집이 주는 안정감이라는것도 무시할 수 없죠.

    수익성 기대할 수 있는 집을 잘 찾아보셔서 (요즘은 힘들죠 ㅠㅠ) 설득하시거나
    내집이 주는 정서적 장점을 찬찬히 어필해보세요.
    비교육적일 수 있지만 애들을 살짝 부추겨보시는 방법도 있구요.
    요새는 애들도 자가,전세, 평수 이런거 알더라구요.

  • 7. ..
    '15.8.10 1:04 PM (112.149.xxx.26) - 삭제된댓글

    지금은 지켜봐야할 시기지 집살 시기는 아닙니다.
    윗분 말대로 2-3년 지켜보세요.
    벌써 슬슬 미분양 늘기시작했어요.

  • 8. ..
    '15.8.10 1:19 PM (115.145.xxx.61)

    미분양되는 곳은 입지가 좋은 곳은 아니겠죠? 학군이나 교통이 괜찮은 곳은 여전히 수요가 있을 거 같아요.

  • 9. 아이가 있으면..
    '15.8.10 1:49 PM (218.234.xxx.133)

    아이가 있고 학교에 들어가면 전세로는 버티기가 좀 그래요.
    물론 집주인을 잘 만나서 시세에 맞춰 전세값만 올려주면 된다/올라가는 전세값 맞출 능력은 된다고 하시면
    상관없는데, 보통 집주인들이 그렇진 않잖아요. 월세로 돌리거나, 어느 정도 집값 올라가면 팔아서 현금 챙기고 싶어하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2507 임플란트 2개 견적.... 5 임플란트 2015/08/10 2,543
472506 지멘스 3구 전기렌지 같이 구매하실 분 계실까요? 10 지멘스 2015/08/10 2,196
472505 동생이 월세 안내서 명도소송 ... 후기 2 동생후기 2015/08/10 3,740
472504 국정원, 특수 장치로 '임씨 전화 자료' 삭제? 1 의혹계속 2015/08/10 654
472503 몸이랑 체력이 약한 분들 주변에 민폐 말이에요.. 12 .... 2015/08/10 3,435
472502 두유 좀 추천해 주세요. 10 Turnin.. 2015/08/10 2,377
472501 고속버스터미널에서 가장 가까운 영화관은 어디일까요? 5 ㅎㅎ 2015/08/10 1,338
472500 20대는 더치페이 많이 한답니다(기사펌) 20 ㅋㅌㅊㅍ 2015/08/10 3,016
472499 사역동사 haver의 수동태요 6 ㅇㅇ 2015/08/10 1,163
472498 발목이 가늘면 잘 넘어지나요? 12 꽈당꽈당 2015/08/10 2,419
472497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박지지율 40프로 근접! 3 ㅇㅇㅇ 2015/08/10 970
472496 커피생두구입 어디서 하세요? 6 생두 2015/08/10 1,334
472495 더치페이의 기준이 어디까지인가요? 10 더치페이 2015/08/10 1,599
472494 조선경기에 영향을 받는 거제도.. 원룸 매입여부 고견듣고싶습니다.. 1 verand.. 2015/08/10 3,183
472493 거실 바닥 누수도 윗층에서 새는경우도 있나요 6 ᆞᆞᆞ 2015/08/10 2,078
472492 서운한 것들... 이게 정상일까요 3 ...ㅡ 2015/08/10 1,455
472491 오션월드 예약할때요... 1 여니 2015/08/10 1,155
472490 더치페이 원하는 남자는 무조건 피하시길 바랍니다 15 ... 2015/08/10 8,584
472489 머리가 너무 좋은 사람과의 대화...피할 수 없다면... 14 베베 2015/08/10 5,438
472488 새로산 가죽소파 뭘로 닦아야할까요? 3 .. 2015/08/10 1,458
472487 어지럼증 정확한 진단 받으려면 어느 과로 가면 되나요? 6 병원 2015/08/10 1,632
472486 속초 한화와 대명 델피노중에 2 추석 2015/08/10 3,532
472485 지하철에서 샌드위치 먹는 사람 어떻게 생각하세요 24 지하철 2015/08/10 4,713
472484 제 통장으로 아들이름 체크카드 만들 수 있나요? 5 은향 2015/08/10 1,485
472483 중딩 남자아이가 볼 영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영화추천 2015/08/10 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