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검찰, '김준기 비자금' 수사 2013년 5월 수사 착수하고도 '쉬쉬'

동부비자금 조회수 : 981
작성일 : 2015-01-06 16:05:52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63816

 

 

[단독 확인] 검찰, '김준기 비자금' 수사2013년 5월 수사 착수하고도 '쉬쉬'…시사저널, 검찰 내부 문건 단독 입수

 

 

 

검찰이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의 비자금 조성 혐의에 대해 수사에 착수한 사실이 시사저널 취재 결과 단독 확인됐다. 그러나 검찰은 1년 8개월여 동안 수사를 진행하면서 이를 숨겨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시사저널이 단독 입수한 검찰 내부 문건에 따르면, 검찰은 김 회장에 대한 수사 사실이 언론에 알려져 공론화되는 것을 경계했다. ‘재벌 총수 봐주기 수사’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는 대목이다. 

 

FIU 자료 받고도 김준기 회장 조사 안 해

 

금융정보분석원(FIU)은 박근혜정부가 출범한 지 얼마 안 된 2013년 5월 동부그룹의 수상한 자금 흐름을 포착해 이를 검찰에 통보했다. FIU 자료를 접수받은 검찰은 이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2부(부장 김범기)에 배당하고, 지금까지 계좌 추적 및 회계분석을 실시했다. 검찰은 김 회장이 2005~14년 동부제철 등 계열사 임직원에 대한 급여 지급을 가장해 수십억 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수사에 착수한 지 2년이 가까워오지만 관련자 소환 등 실질적인 수사는 답보 상태다. 동부그룹 관계자는 “김 회장에 대해 검찰이 수사에 착수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지금까지 검찰이 회사 측에 수사와 관련해 별도로 요청한 것도 없다. 당연히 김 회장은 물론 회사 임직원들에 대한 소환조사도 없었다”고 밝혔다.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 © 연합뉴스

 

이 사건과 관련해 시사저널은 서울중앙지검에서 상부 보고용으로 최근 작성한 내부 문건을 단독 입수했다. 해당 문건에는 김 회장에 대한 수사를 ‘동부그룹 비자금 의혹 사건’으로 명명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진행된 수사 상황이 간략하게 정리돼 있다.

주목해야 할 점은 대외 대응 방침이다. 검찰은 우선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므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답변할 수 없다’는 내부 방침을 세웠다. 검찰은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 ‘동부그룹 수사 중인 사실을 언론에 확인해준 적이 있는지 확인 요망. 없을 경우 답변 기조 재검토’라고 적시하고 있다. 또한 문건에는 ‘동부그룹은 현재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므로 이번 수사가 대상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방침도 첨부돼 있다.

검찰의 이와 같은 대응 방침은 엄정해야 할 수사가 특정 재벌 앞에서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FIU가 관련 자료를 검찰에 넘긴 것은 2013년 5월이다. 당시만 해도 검찰은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민주화’ 공약에 맞춰 대기업 수사에 주력했다. CJ·효성·동양·STX·롯데홈쇼핑·웅진그룹 등 국내 굴지의 기업들이 검찰의 칼날을 피하지 못했다. 수사는 일사천리로 진행됐고, 수사 상황은 언론에 대서특필됐다.   

그러나 동부그룹에 대한 수사는 예외였다. 특히, 검찰은 그룹 오너인 김준기 회장이 비자금을 조성한 구체적인 정황을 파악했음에도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했다. 문건에 따르면, 검찰은 동부그룹 횡령 사건의 관련자로 김 회장을 특정했으며, 비자금을 조성한 수법까지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그럼에도 동부그룹의 구조조정을 이유로 수사 내용을 철저히 함구에 붙이며, 대외 대응 기조를 재검토할 필요성까지 제기했다. “재벌 기업 대주주의 비리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고 철저하게 수사하겠다”는 검찰의 기존 입장과는 배치되는 모습이다.

검찰의 이와 같은 태도에 대해서는 검찰 내에서도 “의아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재경 지검의 한 검사는 “FIU에서 자세한 자료가 넘어온 것으로 보이고, 이를 바탕으로 수사에 착수했다면 이렇게 오래 걸릴 이유가 없다. 수사를 진행하다가 충분히 소명이 됐다면 사건을 종결했을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본격적인 수사에 들어갔어야 맞다. 특히 대기업 총수에 대한 수사는 국민적 관심이 높기 때문에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는 것이 원칙이다. 2013년에 시작한 수사가 아직까지 (언론에) 공개되지 않은 점도 놀랍다”고 말했다.

 

 

  김진태 검찰총장(왼쪽)과 김수남 서울중앙지검장 © 시사저널 임준선

 

검찰 “내사 중이고 수사 중단한 적 없어”

 

이와 관련해 서울중앙지검 고위 관계자는 “내사 중이던 사건이라 수사에 방해를 받지 않게 하기 위해 공표하지 않았던 것일 뿐이지 사건을 덮으려 했던 것이 아니다. 여전히 내사가 진행 중인 사건이고 수사가 중단되거나 한 적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검찰의 재벌 봐주기 수사 의혹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본지는 ‘신세계 총수 일가 계좌로 30억 흘러들어갔다’(2014년 11월13일자 참조)는 기사를 통해 신세계 비자금 조성 의혹 내사 사건을 단독 보도한 바 있다. 이 사건 역시 FIU의 특정금융거래 정보로부터 출발했다. FIU는 2011년 12월부터 2013년 6월까지 60억원가량이 (주)신세계 명의의 당좌계좌에서 빠져나간 사실을 확인해, 2014년 2월28일 이를 검찰에 통보했다.

그러나 검찰은 FIU 자료를 건네받아 내사에 착수한 지 9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정식 수사로 전환하지 않았다. 그룹 총수 일가의 계좌에 수상한 자금이 들어간 정황까지 파악했지만, 이 돈의 사용처와 성격에 대한 추가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신세계 관계자에 따르면, 검찰 내사가 진행된 후 총수 일가는 물론 신세계 직원 누구도 소환조사를 받지 않았다고 한다. 현재 이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김후곤)에 배당돼 있다.

검찰이 신세계그룹 총수 일가가 수사선상에 올랐다는 것을 감추기 위해 ‘물 타기’를 시도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이 사건이 언론에 처음 알려진 지난해 5월께만 해도 거의 모든 언론은 검찰 관계자를 인용해 이번 사건을 이른바 ‘상품권깡’(상품권을 대량으로 구입한 후 일정액의 수수료를 떼고 현금화하는 수법)으로 보도했다. 신세계백화점 일부 임직원들에게 관련 업체에서 구입한 신세계백화점 상품권이 대량으로 흘러들어갔으며, 이 과정에서 거액의 회사 돈이 빼돌려졌다는 혐의였다. 신세계 총수 일가 비자금 조성 혐의는 전혀 보도되지 않았다.

그러나 시사저널이 입수한 문건에 따르면, 검찰은 상품권깡에 대한 수사를 애초부터 진행하지 않았다. 문건에 따르면 검찰은 이 사건의 혐의 사실에 대해 ‘신세계 명의 당좌계좌에 입금된 자금을 당좌수표로 인출한 직후 현금으로 교환하는 방법 등으로 자금 조성하여 횡령’이라고 적시하고 있을 뿐, 어디에도 상품권깡에 대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문건에는 상품권깡과 관련한 언론 보도에 대해 ‘(서울)중앙지검에서 수사 중인 것을 확인해주었는지 (확인 바람)’라고 되묻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중앙지검 고위 관계자는 “신세계 건은 수사가 진행 중에 있고, (지연되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게 아니라 수사 일정에 따라 속도가 달라질 뿐”이라고 밝혔다.

김진태 검찰총장은 지난해 12월2일 취임 1주년을 맞았다. 김 총장은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남보다 많은 지식·부를 가진 사람들의 범죄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굵직굵직한 재벌 수사를 진행했던 채동욱 전임 총장 때와는 달리 김진태호가 출범하면서 검찰의 대기업 수사는 사실상 끝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는 재계를 대하는 청와대의 입장이 달라진 것과 맥이 닿아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중앙지방검찰청사 © 시사저널 포토

 

“김진태호는 ‘정권 모범생’으로 전락”

 

박근혜정부는 최근 ‘경제 살리기’에 올인하면서 정권 초기와 달리 대기업들에 화해의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최근 여당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기업인 가석방 논의도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동부그룹이나 신세계그룹에 대한 검찰 수사를 보면 가석방을 논하기 이전에 재벌 총수의 불법 행위에 대한 수사 의지가 있는지조차 의문이다. 이와 관련해 서보학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소장은 “검찰이 대통령의 ‘심리 경호’에만 몰두하고 있다. 검찰의 존재감이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대기업에 대한 (FIU 등의) 비리 첩보가 있었다면 검찰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동부그룹에 대한 검찰의 지지부진한 수사는 ‘외풍’ 때문이라는 의혹이 강하게 든다. 그렇지 않다면 검찰이 알아서 처신하지 않았겠느냐”며 “김진태호는 (채동욱 전 총장 때와는 달리) 청와대의 입맛에 맞는 수사만 진행하는 ‘정권 모범생’으로 전락했다. 김진태호가 대기업 수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것은 박근혜정부가 추진하는 경제 살리기 정책에 보조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위기의 동부그룹…임직원에 주식 매입 강요도

동부그룹은 현재 극심한 유동성 위기에 시달리고 있다. 동부그룹은 계열사가 60여 개에 이르는 중견 재벌이다. 그러나 재무 구조 악화로 인해 2013년 11월 자산 매각을 통해 3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확보해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자구 계획을 발표했다. 이 와중에 핵심 계열사의 700억원대 유상증자를 추진하면서 임직원들에게 주식 매입을 강요한 사실이 밝혀져 물의를 빚기도 했다. (시사저널 2014년 4월5일자 ‘동부그룹, 직원들에게 자사주 매입 강요’ 기사 참조)

동부발전당진은 시장 예상가의 절반 수준인 2100억원에 SK가스에 매각됐고, 동부익스프레스 경영권도 3100억원에 재무적 투자자(FI)에게 넘어갔다. 그룹의 모태인 동부건설은 지난해 12월31일 법정관리를 신청했고, 주력 계열사인 동부제철 경영권 역시 채권단에 넘어간 상황이다. 이에 따라 동부그룹은 금융 중심 그룹으로 사실상 재편됐다. 매년 10조원 이상의 보험료 수익을 올리고 있는 동부화재는 그룹 전체 매출 중 75% 이상을 차지한다. 

동부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건설업계 전반에 상당한 악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동부건설은 2014년 9월 말 기준으로 국내 건설사 중 시공 능력 평가 순위 25위에 올랐다. 금융 당국에 따르면, 동부건설의 협력업체 상거래 채무는 1713개사, 3179억원에 이른다. 이 중 대기업은 16개사 172억원, 중소기업은 1697개사 2107억원이다. 중소기업들의 줄도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IP : 209.58.xxx.13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9268 하남 혹은 일산 어디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좋을까요?? 11 ........ 2015/09/01 3,383
    479267 페약사나 페닥들도 해고당할때 2 ss 2015/09/01 1,808
    479266 저도 상사 뒷담화한거 상대가 알아버렸는데.. 7 .. 2015/09/01 3,076
    479265 실손화재보험료 35 %인상이 정상인가요? 12 mk 2015/09/01 2,447
    479264 상대방이 말을 너무 잘해도 짜증나네요;; 2 ㅇㅇ 2015/09/01 1,882
    479263 결혼한 아줌마끼리도 잘살거나 그럼 질투하나요? 13 윙윙 2015/09/01 7,182
    479262 문장 좀 봐주세요~ 멈추다vs멈춰지다 7 나의나 2015/09/01 1,363
    479261 세월호504일)아홉분외 미수습자님들이 가족분들 꼭 만나게 되시기.. 6 bluebe.. 2015/09/01 560
    479260 이제 부페 못가겠어요 ㅜ.ㅜ 7 노화 ?? 2015/09/01 5,798
    479259 내일 추적60분 낙동강 (4대강)관련 내용 나와요! 3 .. 2015/09/01 780
    479258 친구가 하는 말이 2 절친 2015/09/01 1,175
    479257 무나물 소금간 하는 거 아닌가요?? 9 무나물 2015/09/01 2,815
    479256 스타우브 무쇠냄비 22cm 검정 원래 내부코팅 안되었나요? 꼬마 2015/09/01 1,454
    479255 롤빗드라이기 써보신분? 5 2015/09/01 1,865
    479254 상사 뒷담화 하는걸 들킨거 같아요 그만둬야 할까요 2 ... 2015/09/01 2,134
    479253 씽크대 선반 하나 사는 것도 이렇게 고민을 하네요 1 ㅇㅇ 2015/09/01 1,733
    479252 타로점 잘 맞나요? 7 성냥갑 2015/09/01 4,988
    479251 두피에 사마귀? 3 파란 2015/09/01 2,779
    479250 .. 7 .. 2015/09/01 1,174
    479249 과식 안하는 비법 좀 알려 4 주세요 2015/09/01 2,764
    479248 동안인 사람들 공통점 발견했어요 35 2015/09/01 32,795
    479247 원래 서른 넘기면 체력이 급감하나요? 9 고민 2015/09/01 2,645
    479246 '고맙습니다'는 높임말인 거죠? 7 어려워 2015/09/01 1,941
    479245 학교선정 땜에 고민인데요 수시 2015/09/01 850
    479244 포도껍질은 음식쓰레기이죠? 4 나우 2015/09/01 3,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