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빚 갚기가 빠듯한 한계가구가 급속히 늘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한계가구란 DSR이 40%가 넘고, 금융자산보다 금융부채가 많은 가구를 말한다. 김 의원은 이같은 한계가구를 약 14%로 추정했다. 즉 10곳의 가계 중 1.5곳은 저축은커녕 빚을 갚기도 어렵다는 뜻이다.
저소득층의 빚 부담은 보다 심각했다. 소득 1분위 저소득층의 DSR은 68.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들의 가처분소득은 733만원에서 738만원으로 겨우 0.8% 늘었지만, 금융부채는 3636만원에서 3866만원으로 6.4%나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원리금 상환액도 309만원에서 507만원으로 64% 급증했다. 따라서 이들은 빚이 빚을 낳는 구조에 빠져 부채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게 김 의원측 설명이다.
실제로 소득1분위 가구들은 부채상환(11.3%)과 생활비 마련(29.9%)을 위해 신용대출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 “빚이 있는 저소득가구는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500%가 넘고, 쓸 돈의 70%를 원리금 상환에 투입하고 있다”며 “정상적인 경제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데도 정부는 취약층의 부채 증가속도가 완화됐다며 자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소득층의 빚 부담은 보다 심각했다. 소득 1분위 저소득층의 DSR은 68.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들의 가처분소득은 733만원에서 738만원으로 겨우 0.8% 늘었지만, 금융부채는 3636만원에서 3866만원으로 6.4%나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원리금 상환액도 309만원에서 507만원으로 64% 급증했다. 따라서 이들은 빚이 빚을 낳는 구조에 빠져 부채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게 김 의원측 설명이다.
실제로 소득1분위 가구들은 부채상환(11.3%)과 생활비 마련(29.9%)을 위해 신용대출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 “빚이 있는 저소득가구는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500%가 넘고, 쓸 돈의 70%를 원리금 상환에 투입하고 있다”며 “정상적인 경제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데도 정부는 취약층의 부채 증가속도가 완화됐다며 자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서민들이 아니기에....
빚내서 집사고 소비하라고 떠들고 각종 창조세로 서민들 죽이는 정책이 큰 문제 입니다.
가진 자들이 정치를 하고 정책을 결정하니 서민들의 삶이 더 나아질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