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등 역사 교과서-근현대사 비중준다

박근혜 쩐다 조회수 : 698
작성일 : 2014-11-10 11:54:44

교육부, 2018학년도 적용 한국사 교과서 개발 추진
 

(세종=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생이 되는 2018학년도부터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 이념 논란의 소지가 많은 근현대사 부분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9일 교육부의 역사 교육과정 시안 개발계획에 따르면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2018학년도부터 적용되는 한국사 교과서에서 전근대사와 근현대사의 분량 비중이 7대 3으로 조정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돼 올해 보급된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서는 근현대사의 분량이 전체 6단원 중 3단원인 점을 감안하면 새 교과서에서 근현대사 분량이 현재보다 40% 줄어드는 셈이다. 
이는 한국사 교과서의 절반을 개항 이후 150여년 남짓한 역사로 채우는 것은 과도하다는 의견을 반영한 조치다. 

지난 교육과정 개정 때 역사 분야의 '국사'와 '근현대사' 두 과목이 '한국사'로 합쳐지는 과정에서 근·현대사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아졌다. 

'국사' 과목만 있었던 시기에 전근대사와 근현대사의 비중은 7대 3 정도였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근현대사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가 높고 근현대사의 이해가 역사의식 함양에 중요하다며 근현대사 비중을 줄여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교육부는 아울러 전근대와 근현대의 서술방식을 차별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전근대사는 정치사 위주의 통사로, 근현대사는 시대상이 나타나도록 종합적으로 서술, 전반적으로 배워야 할 내용을 줄인다는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2017학년도부터 국사가 수능 필수과목이 돼 학생들의 학습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서술 내용을 간략하게 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중학교 역사 교과서도 새롭게 개편된다. 

현행과 같이 역사 ①, ②로 나뉘어 개발하되 한국사와 세계사를 병렬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이 둘의 연계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역사①은 개항 이전까지 한국사를 중심으로 서술하면서 한국사와 연관된 세계사는 주제 중심으로 구성하고, 역사②는 앞부분에서 서양의 고대사에서 제국주의 전까지를, 제국주의 이후는 한국사를 중심으로 세계사 내용을 통합적으로 서술한다

IP : 119.197.xxx.130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링크
    '14.11.10 11:54 AM (119.197.xxx.130)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11/07/0200000000AKR2014110712000000...

  • 2. 이념논란같은 소리 하고
    '14.11.10 11:57 AM (119.197.xxx.130)

    있네. 역사를 왜곡하는 박그네 너한테 불리한 근현대사니까 지우는거지.

    아주 차근차근 잘도 준비하네. 완벽한 노예를 길러내려는 치밀하고도 완벽한 시나리오.

  • 3. 박근혜 뉴라이트 축하문 연설
    '14.11.10 11:58 AM (119.197.xxx.130)

    http://www.youtube.com/watch?v=QCo3jQakJEU

  • 4. 뭐가 무서워서
    '14.11.10 12:26 PM (59.86.xxx.101)

    감추려고 하는걸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4591 친정에 부모님 모시는 문제 30 이런상황 2014/11/10 6,379
434590 해남사시는 분들.. ... 2014/11/10 1,196
434589 강씨 사건..병원관계자들이 나와주면 좋겠지만 3 이번에 2014/11/10 1,216
434588 물걸레청소기 아너스나 오토비스 10 선택 2014/11/10 3,857
434587 백부상으로 서류문의드려요 3 . 2014/11/10 8,039
434586 새벽에 분명히 모기물렸는데 아침에 일어나보니 흔적도 없네요 ... 2014/11/10 646
434585 율무 끓여먹으면 부작용 있나요 2 .. 2014/11/10 2,232
434584 자식이 마음아프게 할때 어찌들 푸시나요 17 푸름 2014/11/10 4,475
434583 김치 냉장고 조언 좀 해주세요~ 15 ... 2014/11/10 1,696
434582 김장할때 진젓과 액젓의 양대비 같은가요? 1 파랑 2014/11/10 1,464
434581 주@백... 살려고 하는데 어떤가요? 6 마귀할멈 2014/11/10 2,426
434580 법원, 2년 계약직도 기간만료 이유로 함부로 해고못해 세우실 2014/11/10 908
434579 결혼했고 집 한채 있고 저도 회사 다녀요. 노후대책? 7 아이 하나 2014/11/10 3,434
434578 점점 더 없어져가요. 4 가을 2014/11/10 2,108
434577 배란/생리 때마다 질 내가 쓰라린데.. 제발 도와주세요.. 프리티카 2014/11/10 970
434576 그냥 무 인데 총각무 김치처럼 담가도 될까요? 5 무청달린 작.. 2014/11/10 1,092
434575 서울 근교 가족여행할만한 데가 있을까요? 4 고민 2014/11/10 1,553
434574 절임배추 사다가도 김치담기 어려울까요? 12 정녕 2014/11/10 2,514
434573 늙어가는 부모님과 커가는 아이들을 보다가 답답해지는 기분을 느꼈.. 4 등불 2014/11/10 1,820
434572 윈도우 XP를 윈도우 7으로 6 어떻게 하나.. 2014/11/10 1,405
434571 카카오톡 왜이러죠? 9 별라리 2014/11/10 2,432
434570 이 영어문장에 숨은 뜻이 있나요? 2 ..... 2014/11/10 971
434569 시장에서 파는 흙없는 고구마는 중국산인가요? 13 고구마 2014/11/10 4,036
434568 모달내의 지금 2014/11/10 819
434567 전기요 추천해주세요 전기요 2014/11/10 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