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많은 경험을 해주는거 얼마나 중요할까요?

궁금 조회수 : 971
작성일 : 2014-11-09 21:35:45
5세 아이를 키우고 있어요
맞벌이다 보니 솔직히 주말에도 어디 나가기 힘들어서
대부분은 동네 산책이 다입니다..

애도 그냥 저희랑 집에서 노는걸 좋아하는듯해서
장난감이랑 책 갖고 많이 놀아주는데

제친구는 전업주부인데
주말마다 무슨 행사 데리고 다니고
고궁이니 미술관이니 다니고 하더라구요
집에서도 요리 체험 해준다며 같이 여리도 하고
그래서인지
애가 똘똘한듯해보였어요

다른 애들이 모르는것도 잘 알고
그림도 체계적으로 그리구오

그런거 보니 너무 애를 방치하는건가 좀 고민이 됩니다

정말 그렇게 많이 신경쓰고 하는게 큰 차이를 두게 될까요?
지금이라도 좀 편한 직장으로 옮기고 애한테 신경써야 하는건지... 어떻게 생각하세요?
IP : 211.246.xxx.17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글쎄요
    '14.11.9 10:43 PM (222.119.xxx.240)

    학교 들어가고 나서도 경험은 충분해요
    많이 안아주고 독서 많이 시키시고 대화 많이 하고 그러세요 애들 어릴때 뭐 해봤자 기억하는 애들도 있고 못하는 애들도 있는데..못하는 애들이 훨씬 많았어요
    확실한건 독서습관만 잡아주고 흥미가지게 하면 정말 계속 편하더군요 경험자들이 많아요^^
    주말에라도 전시회나 체험은 할수 있으니까 하시고요

  • 2. 아이가 똘똘한거
    '14.11.9 10:45 PM (112.165.xxx.25)

    재능적인 부분이잖아요 재능 이란게 타고 나는 거 있긴 있어요 그거 무시할 순 없고
    내 아이 재능을 얼마나 타고 났는지는 이미 태어 났으니 패스하고
    그 후 환경적인 부분만 말하자면요
    제가 아이 어렸을 때 친구분 처럼 많이 보여 주러 다니고 책도 읽어주고
    맛집도 다니고 여하튼 제가 할 수 있는 건 다 해주었답니다

    지금 아이가 열살인데요 한개도 기억을 못해요
    본인은 다닌 적이 없다고 막 우겨요
    하지만 전 알아요 이 아이가 하는 말 , 생각, 표현은 거저 나온 게 아니라는 것을
    지나가는 말로 무엇을 봤었고 본인 느낌을 말하면 저 속으로 놀래요
    그게 언제 인지 기억을 하니? 라고 말하면 그건 모르겠대요
    그게 아마 아이가 3살인가 4살 때 였을 때 인데요
    본인은 기억을 못한다지만 무의식 중에 이미 뇌에 박힌 기억을 꺼내 말하는거죠
    안좋은 기어들도 다 말해요 엄마 아빠 싸웠고 그런거요
    그리고 책을 많이 읽어 주었어요 외출을 못할 시에는요
    아이 발달사항에 항상 적혀 있는 말이
    '학생이 창의적이며 ...' 이 말이 꼭 나와요
    물론 제 아이가 타고난 부분 덕분 일 수도 있지만
    저는 그것이 지난 시간 제가 노력하며 보여준 것, 들려준 것, 읽어준 것이 이제사 나오는 게 아닐까 싶어요
    지금껏 그 부분들을 게을리 해 본적이 없거든요
    같은 또래들 중에 제 아이들 보다 똘똘한 아이들 많이 봅니다만
    창의적이다 라고 생각한 아이는 거의 없었어요
    제가 노력했던 부분이 컸다 라고 저는 믿습니다
    음식도 제가 어려서부터 다른나라 음식을 집에서 많이 만들어 먹였어요
    지금도 아이는 타나라 음식에 거부감이 없이 뭐든지 잘 먹어요
    이건 식성이 타고난 것이라기 보다는 그것 역시 어려서 오픈되어 훈련된 결과라고 생각해요

    이건 약간 다른 말인데 제가 이렇게 했던 이유는요
    제가 결혼 전 회사에 있을 때 면접을 보면요
    보수적인 집안에서 엄하게 자란 사람들은요 순하게 시키는 일은 성실하게 자랐는데
    생각하는 면이나 기타 등등 이 뭐랄까 답답하고 꽉 막힌 기분이 들었어요
    하나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더군요
    그런 모습을 보면서 저는 다양한 경험과 개방적인 집안 속에서 자라면
    좀 다르게 자랄 수 있을 것이라 믿었어요
    부모가 어떤 말을 하고 생활을 하고 어떤 방식의 교육을 하고
    그 모든것이 아이에게 도움이 될 것이란 믿음이 있었어요
    제가 그렇게 정성을 들이는 이유가 바로 그거랍니다
    타고난 부분은 어쩔 수 없지만 후천적으로 내가 긍정적으로 바라는 인간형에
    근접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양육하고 있지요

  • 3. ,,,
    '14.11.9 10:53 PM (14.138.xxx.144)

    많이 경험해줬는데 5살이전에 다닌 연극 공연 미술관 하나도 기억 못하네요.
    완전 돈 낭비인 거죠.
    윗님처럼 그런 게 숨어있다가 발현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밖에서 뛰어놀릴걸 그랬어요.
    대신 오히려 책 많이 읽은 것은 기억하고요.
    7세부터 부지런히 다니셔도 되는데
    아이가 좋아하지 않거나 관심없으면 안하셔도 되요.

    전 제가 미술관 좋아해서 그렇게 아이를 데리고 다녔건만
    지금 젤 싫어하는 게 미술관 관람이에요.ㅠㅠ
    좋아하는 게 위주로 차근차근 데리고 다니세요.

  • 4. ...
    '14.11.9 11:26 PM (124.5.xxx.39)

    별 도움 안됩니다

    그냥 집에서 아이랑 놀아주세요 ㅎ

  • 5. 소피친구
    '14.11.10 3:25 AM (115.140.xxx.29)

    연극 공연 미술관은 다니던 아이들이 더 좋아해요. 잘 안가고 어쩌다 학교체험으로 가는 아이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다니던 아이들은 관람태도도 좋고 집중도 잘 하던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6891 손담비 얼굴은 왜그래요? 19 춥다 2014/11/17 19,392
436890 날씨가 추워지니 집에서도 따뜻한 양말 신고 싶은데 5 옛날 버선 2014/11/17 1,305
436889 Macy's 백화점 직구해보신분이요 5 직구 2014/11/17 2,183
436888 햄 저렴한거 먹으니 냄새 나네요 2 .. 2014/11/17 856
436887 회사퇴사시에 어떻해 나와야 하는게 인간관계의 정석인지 알려주세요.. 3 정석 2014/11/17 1,411
436886 친정엄마가 남편한테 이런 말을 했는데 9 음소거 2014/11/17 3,169
436885 수능 본 고3들 방학때까지 등교하나요? 7 2014/11/17 1,495
436884 택배 분실사고..ㅠㅠ 7 ㄱㄱㄱ 2014/11/17 1,698
436883 침구 베게 종류 알고싶어요. 1 알려주세요^.. 2014/11/17 951
436882 요번 수능친 아들과 여행 가려는데요 3 여행 2014/11/17 1,401
436881 부인복 아울렛매장 알려주세요 (꾸벅) aeneid.. 2014/11/17 1,038
436880 인간관계에 질려서 요즘 밖에 잘 안나가게 되는데 외롭네요... 9 ... 2014/11/17 4,301
436879 집에서 식사량이 얼마나 되세요? 7 과일과 야채.. 2014/11/17 1,581
436878 박근혜가 대통령이 되고 싶었던 이유 지지율 2014/11/17 854
436877 회사선배 장인의 장례식.. 5 달빛담은미소.. 2014/11/17 2,510
436876 무한도전은..대기업같아요. 14 1234 2014/11/17 4,626
436875 연극 라이어 1탄 4 질문 2014/11/17 1,184
436874 세종시 ㅇㅇ 2014/11/17 686
436873 여행자보험 회사 크게 상관있나요? 1 ... 2014/11/17 1,002
436872 대구의 맛있는 백반집? 밥집? 추천 좀 해주세요. 5 연가 2014/11/17 1,997
436871 광장시장갈려면 어디에 주차를 해야할까요.. 2 간만에 효녀.. 2014/11/17 2,962
436870 혹시 20개월 아기 검은콩 줘도 될까요? 5 2014/11/17 1,142
436869 부츠 색상 추천해주세요~ 5 룰루난 2014/11/17 1,563
436868 포장 이사 했는데 분실과 파손이 있네요. 3 ... 2014/11/17 1,373
436867 패션 테러리스트 3 ㅇㅇ 2014/11/17 1,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