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출없이 산집이라도 값 떨어지면 아깝지 않나요?

... 조회수 : 2,835
작성일 : 2014-11-06 11:21:14

 

대출만 없이 집사면 된다.. 라는 식의 글을 보게 되는데요..

물론 감가상각으로 떨어지는 것 말고요.

부동산 폭락으로 그보다 더 떨어지면... 만약 그게 3000~4000만원이라도 내집이니까 그려려니 할 수 있으세요?

말이 3000이지 그돈 벌라면 저같은 경우 1년을 완전 긴축재정으로 아껴가며 벌어야 하거든요...

 

팔고 다른집으로 이사갈 때 이사갈 집도 값이 떨어졌으니까 괜찮다고 생각하시는건지..

요즘 주변에 집 산다는 분들이 많은데...

그냥 제 느낌에 다들 그 집에 아주 오래 살 것처럼... 생각하시더라구요.

다시말해 팔 때 생각은 안한다는.... 뭐 10년, 20년 뒤의 일을 지금 예측해봤자... 이럴수도 있지요.

 

샀다가 집값 떨어질까 두려워하는건 저밖에 없나요...ㅠㅠ

IP : 203.244.xxx.28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0프로
    '14.11.6 11:22 AM (207.244.xxx.5)

    등락정도는 왔다갔다해서 감흥없고요. 20프로 이상 떨어지면 흐드드할것같아요.

  • 2. 차나 전자제품 중고가는 어떠세요?
    '14.11.6 11:26 AM (175.223.xxx.134)

    집도 들어가서 살기 시작하면 중고죠.
    고층아파트라면 지분도 그닥 많지 않으니 그야말로 시멘트 덩어리 중고품일 뿐입니다.
    중고는 값이 떨어지는 게 당연하죠.

  • 3. ...
    '14.11.6 11:27 AM (220.72.xxx.168)

    당연히 싫고 두렵죠.
    그렇지만 세상에 중고 가격이 안떨어지는 물건이 어디있던가요?
    집도 살다보면 계속 중고품되는 거나 마찬가지인데, 여태까지 집값오른게 이상한거죠.
    오래오래 살면서 안정적으로 즐겁고 행복하게 살았던 비용으로 생각하고 말아요.

  • 4.  
    '14.11.6 11:29 AM (121.167.xxx.152)

    223 // 더 안 떨어지길 바라시겠죠.

  • 5. 집값
    '14.11.6 11:29 AM (211.209.xxx.27)

    서울 주요 집값 여기서 더는 안떨어집니다.

  • 6. 안 떨어지는 게 좋기는 하죠
    '14.11.6 11:34 AM (175.223.xxx.134)

    한국 경제를 받치는 주요기둥 중에 하나가 부동산이니까요.
    사실 집값이 좀 비싸더라도 안정적인 게 가장 좋기는 합니다.
    하지만 부동산 투기에 동원된 엄청난 가계부채.
    대출금 갚아나가고 있는 서민들이 언제까지 버텨줄지 모르겠네요.

  • 7. ...
    '14.11.6 11:39 AM (203.244.xxx.28)

    저는 사실 이전에는 집을 살 돈도 없었고, 지금도 대출없이 살정도도 안됩니다만...
    그런데 애가 3살...정도 되니 몇년후에는 집을 사야겠거니 싶거든요.

    그런데 부동산 시장이나 한국 경제가 완전 스릴러라...
    난감하네요... 벌어도 벌어도 집값은 모은 것 보다 더 뛰고... 쩝..

  • 8. 근데
    '14.11.6 11:39 AM (1.240.xxx.194)

    집과 다른 전자제품을 같이 높고 비교하는 건 무리지 싶네요.
    전자제품이야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는 거지만
    집은 한정된 거잖아요.
    일단 도시에 집지을 수 있는 땅이 한정돼 있으니까요.

  • 9. 집 사실 땐
    '14.11.6 11:44 AM (14.36.xxx.208) - 삭제된댓글

    오래오래 산다고 생각하고 사시는 게 맞는 것 같애요.
    3-4년 후에 팔고 또 옮기고 이럴 거면 집값 등락 때문에 맘 편할 날이 있겠나요?
    예전처럼 집으로 돈 버는 시대는 이제 지난 거 같구요.
    저는 집 산 지 딱 십년 됐는데 세월 금방이더라구요.
    그 때 새 집 입주한 거라서 여기저기 손봐 가면서 평생 여기서 살 생각이에요.

  • 10. 응응응
    '14.11.6 11:51 AM (211.36.xxx.75)

    집 살때 실거래가 발표된지라 내가 사고픈 아파트 5년을 평균거래가를 구해보고
    그 가격보다 밑돌았을때 아파트를 샀는데 지금 가격이 내가 산 가격입니다(등락을 오가더니)
    하지만 돈 아깝거나 속쓰리거나 하지 않아요
    왜냐구요 이 집에서 10년은 더 살거니까요 ㅎㅎㅎㅎ

  • 11. 당연
    '14.11.6 11:54 AM (182.210.xxx.147)

    아깝죠.
    그래서 집 팔고 전세 살면서 현금 챙기는 사람들 많아요.
    그렇다고 집 하나 팔아 뭔 영화를 누리겠나 싶어
    저는
    중고자동차 같이 아파트도 감가상각되는 소비재라는 생각으로 살아요.
    낡아가는 만큼 값은 빠지지만 그동안 우리 가족이 편안하게 사니까요.

  • 12. 인구가 줄어들고 있으니
    '14.11.6 12:03 PM (175.223.xxx.134)

    아파트 더 지을 땅 걱정은 안해도 될 둣 헙니다.

  • 13. 그냥
    '14.11.6 12:40 PM (182.224.xxx.209) - 삭제된댓글

    실거주 한채는 오르던 내리던 신경 안 쓰고 사는게 속편해요.. 올라서 판다해도 다른데도 다 오르니 갈데 마땅찮고 떨어져도 다 같이 떨어지면 상관없죠..

  • 14. *****
    '14.11.6 1:18 PM (175.196.xxx.69)

    그냥 내가 10년 전에 산 가격보다는 아직은 플러스라 버티며 삽니다.
    그런데 더 내려 갈거 같아요.
    어쩌겠어요?
    식구들 사는 집이고 그 동안 살아 왔으니..

    사실 젊은 사람들이 결혼도 안 하고 아이도 안 낳는데 이런 구닥다리 아파트에 살 능력도 또 마음도 없을 거 같아요.
    벌써 전체 가구의 1/3이 1인가구라는데..
    집값은 더 빠질거 같은데 빠져도 저는 그냥 삽니다.

  • 15. 저는
    '14.11.6 1:35 PM (218.144.xxx.205)

    조그만 신축빌라 비싸게 주고 샀어요..ㅠㅠ
    위치도 좋고 엘리베이터도 있고 뭐 이런 저런 조건 때문에 샀는데..
    산 순간 5천은 떨어졌다 각오했습니다..
    그냥 여기서 마냥 살다가 저희 집 같은 빌라 또 나오면 사서 이사가려구요..
    그런데 지금은 여기만큼 좋은 데가 또 있을까 싶어요..
    뭐 저도 이 집이 전재산이지만 집값 신경 안써요..
    지금 우리집이 얼마인지도 몰라요..^^

  • 16. ..
    '14.11.6 2:49 PM (124.50.xxx.65)

    당연히 해가 지날수록 떨어지는게 맞아요. 일본 사는 사람들 도 이제 집값 매년 감가삼각 적용되는걸 당연히 생각합니다. 한때 일본도 부동산 거품 엄청 났었잖아요. 그동안 가족들이 편하게 산 댓가 지불한 거에요. 자동차처럼~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6858 새댁인데 시어머니한테 할말 다했어요. 에휴. 57 biscui.. 2014/11/17 20,977
436857 국제중 내년부터 추첨이면 의미가 있을까요? 2 귀아라 2014/11/17 2,051
436856 82하는거 주변 분 들 아세요? 3 ..... 2014/11/17 990
436855 이재명 "해먹어봐서 안다. MB식 망국기술" 샬랄라 2014/11/17 1,103
436854 입천장이 까져서 껍질이 벗겨졌는데요.. 3 아파요 2014/11/17 1,843
436853 숭늉 맛있게 끓이는 법 알려주세요~~ 2 다노 2014/11/17 1,564
436852 겨울 실내용 슬리퍼 추천 좀 해주세요. 3 ... 2014/11/17 1,231
436851 요며칠 교묘하게 전업까는 글들 올라와요. 6 ... 2014/11/17 1,046
436850 개 키우시는분들께 궁금점 문의합니다 14 궁금 2014/11/17 1,466
436849 화순 적벽을 다녀와서 5 적벽 2014/11/17 1,404
436848 읽고나서 좋아서 권해주고 싶은책있으세요? 6 좋은책 2014/11/17 1,628
436847 반얀트리 와있는데 1 나나나 2014/11/17 2,932
436846 감자장복하면 신장안좋아지나요? 5 ㄱㄱ 2014/11/17 4,436
436845 술먹고 자는것도 주사에 속하나요? 7 아라곤777.. 2014/11/17 3,834
436844 또 다시 주말부부를 하게 되었네요,,, ㅜ.ㅜ 11 주니 2014/11/17 3,392
436843 운동 계획을 어떻게 세워야 할까요? 6 운동초보 2014/11/17 1,211
436842 요즘 참조기 맛있던데 위험해서 잘 안사드시나요? 9 참조기 2014/11/17 1,525
436841 6 엄마 2014/11/17 1,013
436840 커피뽑는 유리잔 같은 그 기계 이름이 뭔가요? 5 무무 2014/11/17 2,172
436839 건보료 안내는 주택 5채이상 소유자 16만여명 3 샬랄라 2014/11/17 846
436838 변기에서 거품이 역류해요. 정리의여왕 2014/11/17 6,879
436837 근데..에이치..그분은 왜 8 ... 2014/11/17 5,748
436836 부부모임에서 남편의 술약함, 취한후 태도....제가 예민한건가요.. 15 남편술주사 2014/11/17 3,190
436835 주택청약 통장은 반드시 국민은행에서만 1 가입하나요?.. 2014/11/17 1,744
436834 개는 정말 사람이 다 해줘야 살수 있는거에요? 42 아...키우.. 2014/11/17 4,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