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인 유방암 급증하는 원인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급속도로 증가 조회수 : 6,491
작성일 : 2014-10-17 00:52:14

동아시아 국가중 유방암 환자 1위.

방사선 종양외과 전문의 돈 많이 벌겠네/. 유방암 환자 분들 덕택에....

 

 

세가지 중 어떤거라고 생각하세요??

 

육류섭취로 몰아가는 언론기레기... 유방암 증가는 생활속의 유해불질이 내분비계를 교란하기 때문이다. 콘크리트,아스팔트 방사능, 생선방사능, 유해농약범벅 가짜 친환경식품, 싱크대,붙박이장,마루 등에서 뿜어져 나오는 포름알데히트 맹독들.... 이러니...여자들이 살겠냐? 뭔 고기타령이야? 0

 

 

의대 본4입니다. 유방암의 가장은 위험요인은 에스트로겐 노출 기간인데, 서구식생활과 발육속도의 증가, 그리고 빨라진 사춘기 등으로 인해 초경 연령이 감소하였고, 결혼 연령과 초산 나이가 증가했습니다. 따라서 초경부터 초산까지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유방암의 발생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있습니다

 

 

육류는 곧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을 의미하는데 우리가 무심코 마시는 우유는 액체고기 입니다
몸에 좋지않은 포화지방이 50%나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암과의 상수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최근
연구자료가 넘쳐남니다. 우유는 질병유발 식품이며 우유성분인 IGF-1(인슐린 유사성장인자)가
유방암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고 장기간 마시면 골다공증에 걸립니다.
특히 어린이는 제1형 당뇨병을 유발시킬수 있고, 남성은 전립선암, 신장결석등의 위험에 노출됩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우유는 강산성, 우리몸은 약알카리성...너무 안맞는 궁합이죠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41016222312898

 

 

IP : 218.236.xxx.239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고기탓 하지 마라
    '14.10.17 12:52 AM (218.236.xxx.239)

    최근 한국인의 유방암 발생률이 가파르게 증가해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육류 소비량이 늘어나는 것과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입니다.



    육류를 즐기는 20대 여성.

    마블링이 좋아서 입에서 살살 녹는 고기를 선호합니다.

    이런 고기는 지방이 많습니다.

    유찬미(25살/직장인) : "아! 최고예요. 황제다이어트가 유명하다는 이야기를 들어가지고, 그 영향 때문인지 평소 고기를 좋아해서 일주일에 2-3번을 먹는 편이고요."

    국민건강영양 조사 결과 우리나라 여성의 육류 소비는 15년 새 60%나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유방암 환자도 4.5배 늘어 일본을 제치고 동아시아에서 발병률 1위에 올랐습니다.

    육류 소비량과 유방암발생 빈도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이틀 전 유방암 수술을 받은 30대 여성도 평소 육류를 즐겼다고 말합니다.

    유방암(환자/38살) : "식생활에서도 고기 위주로 구워서 먹고 기름진 것, 같이 먹으면서..."

    세계보건기구도 최근 동물성 지방을 다량 섭취하면 유방암 확률이 30%나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내놨습니다.

    송병주(서울성모병원 유방센터장) : "체내 지방세포가 많이 증가합니다. 체내 지방세포에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많이 합성해서 혈중에 보내고요. 이런 에스트로겐이 암세포나 암이 될 세포들을 자극하여..."

    유방암 원인을 육류만으로 단정할 수는 없지만 연관성이 드러난 만큼 기름진 고기를 덜 먹고 과일과 채소를 가까이 하는 게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2. 애엄마
    '14.10.17 1:05 AM (157.160.xxx.208)

    전 의학적 지식이 전혀 없고요...그냥 물으시니까 제 생각을 말씀 드릴께요. 마구 무시 하셔도 되어요.

    제 생각에는 암은 종기 처럼 누구에게나 있다가 없어지다가 그런다고 생각 해요. 근데, 건강이 안 좋으면 몸이 약하면 암이 커지면서 암이 사람을 이겨 버리는게 아닌가 생각 해요.

    근데, 요즘 워낙 검진을 많이 하잖아요? 그래서 초기에 잡으려고.... 근데, 초기에 안잡아도 되는 걸 잡는게 문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곤 해요. 가만 놔 두면 그냥 없어지기도 할 텐데... 굳이 알면 신경 쓰고 그래서 스트레스 폭발...악화... 뭐 이럴 수 있지 않을까 싶구요. 잘 사는 나라 일 수록 병원 가서 진단도 잘 받으니까... 뭐 초기에 잘 잡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보고요.

    또 유방암은 예전에 비하면 애도 적게 낳고 모유도 덜 먹이고 뭐 그게 원인일 수도 있겟죠?

  • 3. ...
    '14.10.17 1:09 AM (74.101.xxx.22)

    병원의 놀음에 놀아나고 있다고 해도 뭐 그닥 틀린 말은 아닐 겁니다.
    초기 발견 하면서.. 병원가서 매일 찍어대지 마세요
    없던 암도 생깁니다.

  • 4. 유방암 조직을 떼
    '14.10.17 1:52 AM (58.143.xxx.178)

    검사해보니 파라벤성분이 있었다 들었던것 같네요.
    뭐든 환경적인 부분과 스트레스 아닐까요?

  • 5. 트윙클
    '14.10.17 2:02 AM (222.98.xxx.34)

    음...
    인공수정이 늘어난것도 큰 원인이 아닐까요?

  • 6. 트윙클
    '14.10.17 2:07 AM (222.98.xxx.34)

    젊은 나이에 인공 수정 불임 치료 받으면 '유방암' 발병 위험 높아..
    http://cafe.naver.com/uvacenter/10507

    실제로 저는 주변에서 이 케이스를 두번이나 봤어요.ㅠㅠ

  • 7. 저 아는 언니 30대에
    '14.10.17 2:17 AM (58.143.xxx.178)

    유방암 수술 재발로 초등 딸하나 놓고ㅠ
    남편으로 인한 스트레스였죠.
    이혼남이었는데 시작부터 아니였음
    원래 바람둥이...하는 일마다 저질러놓고..무능하기까지..

  • 8. 2003수술
    '14.10.17 5:35 AM (116.121.xxx.111)

    제 경우는 100% 스트레스라고 생각됩니다.
    가족력없고 모유수유, 채식식성 건강체질 흡연 음주안함,
    어느곳에도 해당되지않으나, 가정경제로 맘고생 많았었거든요.

  • 9. qpqp
    '14.10.17 8:21 AM (121.146.xxx.212) - 삭제된댓글

    갑상선처럼 검진을 너무 많이해서 그렇죠..

  • 10. 이유중 하나는
    '14.10.17 8:51 AM (175.210.xxx.243)

    과잉진료에 있죠.
    방사선, 초음파 자주해서 좋을게 뭐가 있나요?
    또 혹이나 염증은 있다가도 없어지는데 안해도 될걸굳이 치료하고 스트레스 받고.... 그야말로 혹떼려다 혹 붙이는 격.
    조기 발견이 꼭 좋은 점만 있는건 아닐듯요..

  • 11. fly
    '14.10.17 9:23 AM (211.36.xxx.191)

    스트레스라고 봐요
    전 지인이 유방암걸렸는데 본인입으로 그러더라고요
    예민한성격과 스트레스였다고

  • 12. 지금은 잘 지내시는데
    '14.10.17 9:35 AM (114.205.xxx.106)

    사촌언니가 운전을 잘못해서
    남편이 죽었어요. 옆자리에 앉았다가 혼자 사망.
    몇년뒤 언니 유방암 판정 받았지요...
    스트레스로 잠을 잘 못 주무시지 않았나 생각해요.
    아이들도 어려서 혼자 키워야했고.

  • 13. 지금은 잘 지내시는데
    '14.10.17 9:38 AM (114.205.xxx.106)

    그런데 고기먹어서 걸린다면
    중국여자들은.....
    거긴 거의 매끼 고기예요.
    한국사람들로선 상상을 초월함.

  • 14. 제 경우
    '14.10.17 10:02 AM (118.220.xxx.76)

    갑작스런 체중증가와 새벽에 자는 습관때문인듯합니다.
    과잉진료는 없었구요. 오히려 병원에 자주 가지 않아 걱정일 정도였구요.
    참, 가족력도 있네요. 친척중에 유방암 환자가 계셨고 친정어머니도 유방에 혹이 있으셨구요.

  • 15. ...
    '14.10.17 10:53 AM (114.201.xxx.102)

    양배추 먹는 습관이 도움이 된다하던데 유방암 걱정되시는 분들 많이 드셔보세요. 피클 같은 거 담궈서.

  • 16. 수면장애
    '14.10.17 4:10 PM (110.70.xxx.239)

    저희 어머니 육식, 우유 등 동물성단백질 섭취 거의 없음에도 유방암 발병한거보면, 식습관보다 수면장애 문제인걸로 보여요. 성장기때 낮과 밤이 바뀌어 생활한게 여태까지 수면장애가 있으신데 수면장애, 면역력약화, 여기에 스트레스가 더함 암, 특히 유방암 발병가능성이 높아지는듯해요. 직업군 중 스튜어디스들 유방암 발병이 높단 보도도 본적 있구요. 대표적인 수면시간이 불규칙한 직군이죠.낮과 밤 바뀐 생활 금물로 보입니다. 병원에선 의외로 우리나라 가족력은 크지않다고 해요.

  • 17. ///
    '14.10.17 8:43 PM (1.233.xxx.144) - 삭제된댓글

    여기저기 우리주변에 둘러쌓여있는 환경요인등 크게는 술 담배포함 각종 환경호르몬 교란물질들(파라벤포함)이라고 생각하구요 그런 합성물질들은 인체내에서 유사 에스트로겐으로 활동하지요

    가장 결정적인요인은 극심한 스트레스---->결국 병을 일으킨다봅니다.
    제경우는 두분불출해서 더 심해졌는데요 비타민D부족도 한 원인이라고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7866 부평으로 이사가게됐어요 ㅠ 25 이사 2014/10/20 5,231
427865 여기서.. 위로받을수 있을까 싶어서요. 14 10년차 2014/10/20 2,459
427864 유기농 양배추환 어디서 구입하지요? 1 클로버23 2014/10/20 1,501
427863 커튼 봉집형으로 하신 분 계시나요? 1 가을이 2014/10/20 981
427862 패션고수님들~하운드 체크 유행 다 지나갔나요? 3 옷잘입고싶어.. 2014/10/20 1,030
427861 위로가 필요해요. 3 크리스티나 2014/10/20 686
427860 스마트폰에 mp3 음악 선물 어떻게 하는 건가요? 2G 2014/10/20 2,188
427859 고2남자 아이 등어리에 여드름이 너무 심해서... 8 콩이랑빵이랑.. 2014/10/20 2,566
427858 미국여행 다녀오면서 꼭 사와야 할것.. 6 미국 여행 2014/10/20 3,750
427857 갑자기? 생긴 2 억 의 돈..어떻게 할까요? 11 재테크 2014/10/20 12,709
427856 찬미 맞네요 9 모모 2014/10/20 2,222
427855 세월호188일) 겨울되기전 우리 실종자님들이 꼭 돌아오시기를.... 16 bluebe.. 2014/10/20 383
427854 얼굴뼈깎고 세우는 세상에 길이는 왜 안될까요? 9 키수술 2014/10/20 2,071
427853 중국산 우엉 차로 마셔도 될까요? 2 박서영 2014/10/20 5,801
427852 거절하기가 힘든..친구의 부탁..저는 어떡할까요??? 110 친구야.ㅠㅠ.. 2014/10/20 20,930
427851 그 신목을 베어서 김유신 사당에 놓는다구요?? 9 2014/10/20 1,659
427850 손석희 뉴스 불편한 정부… JTBC 광고 차별, 비판보도 옥죄기.. 1 샬랄라 2014/10/20 859
427849 무쇠솥 커피 로스팅좀 가르쳐주세요. 1 시벨의일요일.. 2014/10/20 933
427848 중1 책읽기..ㅜ .. 2014/10/20 461
427847 여성수축제나 에센스 효과가 있나요 5 궁금해서요 2014/10/20 1,821
427846 늦깎이 이직 사원 회식 요령좀 알려주세요. 2 저요 2014/10/20 725
427845 삐라 살포는 환경사범으로 처단해야 1 깨끗이 2014/10/20 368
427844 서울 한정식집 질문이요~~ 4 벚꽃 2014/10/20 1,744
427843 미생 웹툰 7 다나와 2014/10/20 2,100
427842 아이가 전학 가는걸 극구 반대하면 안되겠죠.. 3 전학 2014/10/20 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