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본이 붕괴된 이유./지식채널e

강추요 조회수 : 2,891
작성일 : 2014-10-15 23:52:09

겁나네요. 진심.
이 나라가 비슷하게 가는 것 같아서 .....

-------------

일본이 붕괴된 이유.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2&mbsIdx=1255614&cpage=...
IP : 110.70.xxx.13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0.15 11:55 PM (125.186.xxx.76)

    금리낮아지는거보니까 자꾸 닮아가는거같네요.

  • 2. 닉넴
    '14.10.16 12:03 AM (124.213.xxx.38)

    상대할 가치를 못느끼는 논리

  • 3. 정말
    '14.10.16 12:07 AM (118.219.xxx.146)

    금리낮아지는거보니까 자꾸 닮아가는거같네요.222222222222222

  • 4. 은없는데
    '14.10.16 12:14 AM (220.76.xxx.199)

    흠...닮은점도 있으나 아닌점도 있다 보여집니다.
    닮은점은 거품을 유지하기 위해 토목건설로 버블버블 정책을 피워
    호미로 막을걸 삽으로 막을까 말까한 미친짓을 펼친 꼴이 되었어요.
    세계최대 규모의 댐건설 한다며 신나게 공사하며 기념주화까지 만들고 완공 코앞을 두고
    중단을 한 이유..뭐 깨어있는 시민의 힘? 그리고 자연앞에선 아이고 의미없다.
    요기서 흡사한 닮은점이 보이죠?명박이의 군부대까지 동원시켜 먹튀를 가득 품고
    기를 쓰며 완공하려 했던,,입찰했던 것부터..설명회 그 모든것이 담합..
    보여주기 위한 쇼로...참...눈막고 귀막고...에휴..두통이 옵니다.
    여기서 다른점은..이미 우리나르이 집값은 참여정부 시절 최고점이 됐습니다.
    이건 집값 안정을 위한 정책을 조금 더 검토에 검토를 거듭하여 신중했다면 좋았을텐데..
    발표할 때마다 상승을 부추기는 결과를 낳은거죠.
    근데 그렇게 흘러가나 싶었는데...미국에서 리먼브러더스 사태가 발생하지요.
    우리나라는 그나마 타격이 덜한 이유는 외환보유도 보유지만
    미국처럼 무자비하게 무담보 대출을 해주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한번의 고비는 넘겼으나..
    대신 무리한 대출은 집가진 거지란 단어를 등장하게 되지요.
    사람들이 하나만 봤거든요.
    자신의 소득대비 대출상환 능력이 금리가 올랐을 때
    생활과 맞물려 들었을 때 어떤 결과가 오는지를 몸소 깨달았던 거죠.
    그땐 집값이 오르고 거래가 돼니 빚내도 괜찮아가 통했다면
    이젠 현실을 인정하게 된거에요.

  • 5. 은없는데
    '14.10.16 12:39 AM (220.76.xxx.199)

    핫..아직 마무리 안됐는데..에고 마우스 잘못 만져서...^^;;
    그런데 명박이때...대놓고 바람을 잡습니다.
    뉴타운?들어 보셨죠...하지만 지금의 결과를 보시면 아실거에요...
    물가상승은 있으나 임금상승은 없는 문제가 있지만
    참여정부 말, 명박이 초기,그리고 틈만나면 다 그 당시즘 요동치던 집값..
    비정상적으로 폭등한 곳은 어느정도 정리가 다 되었거나 되어가는 중이라고 보여집니다.
    제가 주도면밀하게 다 알 수 없고 일반화하기 어렵지만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던 특정지역들을 보면
    비정상적인 폭등할 시기를 빼고 시세가 완만한 선을 유지하고 있더라구요.
    아무튼 지금의 금리인하는 누군가에겐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분명한건 집값이 오르니 구입을 하라는게 아닙니다.
    인구감소,집값하락 등..많은 말들이 많은데요...
    그 감소의 혜택...여러분들이 살아계시는 동안 그 혜택 못 받아요.
    집값하락...내가 어렵게 대출금 갚고 있는데 하락하면 허무 허탈 미치지요..
    하지만..화폐가치의 평가는 내가 그 집을 현금화 하기전까진 절대 장담 못합니다.
    그리고 주거공간을 목적으로 구매 또는 소유한 1가구 1주택분들 고금리일 때
    다 같이 망하는 건 맞습니다만..현실적으로 고금리는 어렵다고 보구요..
    실거주자분들은 너무 많은 신경을 쓰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어디서 사실건가요?
    전세요?전세가 안전하니 낫다고 뭘보고 자신할 수 있지요?
    주인이 파산신청 돼면 경매로 채권단이 1순위기 때문에 전세금 100% 온전하지 못해요.
    안전빵을 원한다면...전세가 아닌 월세 내고 살아야만 하는 방법 말곤 없다고 보여집니다.
    경제가 좋건 나쁘건 개인의 무리한 대출 능력은 답이 없습니다.
    상환 능력이 있다면 분위기에 휩쓸리지 마시고 신중히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이제부터 주택에도 양극화가 생기기 시작했어요.
    여기 오르니 다 오르내가 아닌 여긴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들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학교시설,주변 편의시설,교통..세계 어디서나 통할 거주 조건의 최적화 된곳들은
    비슷하게 유지될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7002 gap바지 badford 와 cord 차이? 2 직구 2014/10/17 567
427001 판교 사고, 남경필 지사 판교테크노밸리 사고 수습위해 급거 귀국.. ..... 2014/10/17 1,779
427000 고등시절 학교 정화조에 빠질뻔 한일 3 . . 2014/10/17 1,220
426999 jtbc 뉴스만 사고 소식 계속 보여주네요 8 심플라이프 2014/10/17 2,814
426998 자궁암 3 .. 2014/10/17 1,993
426997 암수술 한사람 녹즙 안좋은가요? 16 머리아파 2014/10/17 3,822
426996 전직판사라고 하는데 사실인지 확인해보는 방법은 뭘까요? 3 전직판사 2014/10/17 1,220
426995 전업주부인 제가 무료하게 시간 보낸다 생각하는 남편 9 hj000 2014/10/17 4,326
426994 남편복이 사주에 나오면 진짜 있나요? 5 highki.. 2014/10/17 5,978
426993 일상이 돼 버린 SBS의 '노무현 전 대통령 비하 사진들' 3 샬랄라 2014/10/17 1,066
426992 양말과 걸레는 어떻게 빨아야 하나요 10 초짜엄마 2014/10/17 2,420
426991 홍콩 여행 고등학생 해양공원과 디즈니랜드중 어느 것이 더 유익하.. 2 ... 2014/10/17 794
426990 급질 ㅡ분당제생병원내에 1 ㅡㅡㅡㅡㅡ 2014/10/17 865
426989 문자알림 받아볼수 있는 메일계정 혹시 있을까요?? 4 qweras.. 2014/10/17 471
426988 30개월임 에디슨젓가락1단계 시작할수있을까요?? 3 .. 2014/10/17 537
426987 코재수술 7 조언 2014/10/17 1,397
426986 학교엄마들의 왕따놀이 10 .. 2014/10/17 7,895
426985 우울증약 먹고 있는데 음주해도 될까요? 7 음주 2014/10/17 2,833
426984 법원, 최초로 원전 인근 암환자 배상 판결 샬랄라 2014/10/17 303
426983 교대 근무가 만성피로와 스트레스로 발병 ... 2014/10/17 549
426982 임신중인데 무릎 통증 어찌 해결하면 좋을까요? 1 무릎 2014/10/17 709
426981 밀폐공간에서 코가 막히고 침이 안넘어가서 죽을거같아요 1 가을 2014/10/17 788
426980 중학생 수학 90점을 못넘겨요. 6 수학 2014/10/17 2,727
426979 안철수:: '전대 불출마' "당 밖 미래세력과도 함께할.. 탱자 2014/10/17 546
426978 이재명 성남(판교)시장 " 8대 성남 안전 정책 발표&.. 24 말로만..... 2014/10/17 3,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