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가 뇌전증일까..걱정되요ㅠ

뽕남매맘 조회수 : 3,608
작성일 : 2014-09-27 07:31:27
20개월아이.
한달전. 갑자기 몽롱해보이고 한쪽으로 넘어지려하고 비틀대고 어지러워 하는 듯 보여 빈혈검사 했는데 이상 없었고
그뒤 괜찮아져서 잘 지냈어요.
어제 아침 조금 비틀대는것 같았고...정오쯤
아이가 비틀대고 자꾸 넘어지니 스스로 걷지못하고 기어오더라구요.
안고 이름을 부르며 얼굴을 보니 아이가 몽롱해보이고..내려놓지 못할정도로..비틀댔습니다.
빈혈검사 할때 심해지면 이비인후과 가보라고 해서 급히 이비인후과에 갔고. 귀쪽으로는 이상 없다며 큰병원 소아신경과로 가보라며 소견서를 써주셔서 대학병원에 갔습니다.
그사이 아이는 평소처럼 괜찮아졌고.
아이를 본 의사는 아이가 지속적으로 비틀대는게 아니라 큰문제 되보이지는 않는데. 일단 뇌파검사와 mri촬영을 해보자하셔서
검사날짜만 잡고 왔네요. 누가 그러더라구요. 아이가 잠깐씩 몽롱해지는 증상도 뇌전증일수도 있다고..
지금은 평소처럼 잘 뛰어노는 아이를 보니 수면제까지 먹이며 검사를 해야하나 싶기도 하다가도 아이의 그 표정이 잊혀지지 않아
두렵고 무서워요. 옆에 있는 사람들도..저번보다 더 안좋아보였다고 놀랬거든요.(참고로 전 아이와 어린이집에 다니고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그런모습을 보여 다른교사들과 함께 본거예요)
걱정되서 잠도 못잤네요..
IP : 121.159.xxx.10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4.9.27 7:55 AM (211.237.xxx.35)

    당연히 엄마 입장에선 걱정이 되죠..
    그래도 마음 가라앉히고, 만에 하나 어떤 병명이 나온다 해도 치료받으면 됩니다.
    마음 가라앉히시고요. 저는 아이 다 키운 엄마(아이는 고3)지만 작년에, 다 큰 저희 아이도
    어떤 계기로 아이가 큰 병에 걸렸다는걸 알았어요.
    정말 절망적이였고, 아이에겐 제대로 말도 못해주고, 제가 더 절망하고 그랬었어요.
    아이도 어느정도 알만한건 다 알 나이라 속이는것도 한계가 있어서 금방 알게 됐죠.
    근데요. 의술이 정말 발달해서 그때그때 처치를 해주니 그냥 일상생활이 가능하고
    보통아이처럼 생활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고3인데도요. 밤늦게까지 독서실도 다녀오고 공부도하고요.

    병명이 밝혀져도 다행이고, 아무것도 아닌 그냥 걱정이였다면 더 다행이고요.
    다만 제가 이제와서 후회하는건 재작년에도 언뜻언뜻 뭔가 마음에 걸리는 어떤 증상들이
    살짝씩 있었거든요. 전 그걸 아무것도 아니라고 합리화 했었고요. 그때 좀 더 빨리 병원에가볼껄
    후회가 됐습니다. 물론 저희아이는 그때 병원에 갔다고 해도 지금하고 크게 달라질건 없었겠지만
    그래도 너무 늦게 알게 됐다는것에 자책감이 들었거든요.

    아무튼 병원에 가서 검사 받을수 있는건 다 받아보시고요. 어떤 문제가 있다고 해도 치료받으면 돼고
    아무 문제가 없으면 더 다행이고 그래요.
    아이는 평생 부모의 걱정거리인것 같아요. 이제 시작이니 마음 좀 편히 가지고 병원에 가보세요.

  • 2. ..
    '14.9.27 7:59 AM (115.140.xxx.74)

    뇌에 이상있는건 ㅣ확실한거같네요.
    제가 이년전 한일년넘게 길가다 비틀거리고
    쓰러지고 ,넘어지고 기울게걷고..
    그러다 괜찮아지고를 반복했는데..

    mri결과 뇌에 이상있어 수술했어요.
    물론 지금은 건강하구요
    이상있으면 병원서 다 치료해줍니다.
    염려마시구요

  • 3. ...
    '14.9.27 10:46 AM (118.221.xxx.62)

    그 정도면 검사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수면제 보단 병이 더 걱정되요

  • 4.
    '14.9.27 11:18 AM (14.52.xxx.207)

    그까이꺼 수면제 따위로
    초기에 잡을 수 있는 중질환을 놓치지 말기바래요
    별거 아니라면 한시름 놓겠지만
    일찍 발견할수 있는 기회를 놓친다면
    완전 정상으로 돌리는 기회도 놓치는거예요
    그거 별거 아니예요 의료진이 잘지켜볼거예요

  • 5. 이 엄마는 아직도 수면제타령
    '14.9.27 4:39 PM (211.219.xxx.151)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아직도 우선순위가 뭔지 파악 못한 미련한 엄마네......자녀가 고생하겠어요.

    머리는 냉정하게, 가슴을 뜨겁게...미련하게 자식 문제라서 머리 냉정하게 판단 안된다는 변명 마세요. 중요한 자식 문제니까 더 냉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본인이 노력해야하는 겁니다. 그래서 제3자에게 문의하는 거 아닌가요? 수면제가 걱정되면 의사랑 상담해서 해결하면서 접근하면 되지 계속 애에게 수면제 투여할까봐 두렵다고 애 뇌검사를 미루는 건 정말 핑계임. 뇌관련 병명을 진단받을 거 같아서 부모로써 부담되니까 무의식적으로 회피하려고 하는 변명. 자기 면피하려는 변명.

  • 6. 뽕남매맘
    '14.9.27 5:59 PM (223.33.xxx.84)

    댓글. 감 사드립니다.
    위에 썼듯이 의사가 큰문제가 없어 보인다 해서
    정말 검사를 해야하나 싶었던 겁니다. 물론 결과에 대해
    겁도. 나고 두렵지만 회피 하고싶은 마음 없습니다.
    오늘 평소 다니는 소아과에 감기로 진료 받으며 여쭤보니
    뇌전증이 다양한 방법으로도 나타나니 검사를 해보는게. 낫다고 하더라구요. 지금 마음이 무지 심난 한데...댓글보고 용기내어 맘 굳게 먹을께요.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3853 퀸사이즈 이불솜을 싱글에 넣어도 될까요? 3 .. 2014/10/05 881
423852 조금은 짜증나는... 에휴 2014/10/05 476
423851 너무 답답합니다 ᆢ자식이 웬수 같아요 6 눈물 2014/10/05 3,231
423850 이런 사람과 결혼 어떤지요? 20 .. 2014/10/05 4,122
423849 40대후반 남성선물 골프공 선물 괜찮을까요?^^ 3 40대후반남.. 2014/10/05 1,292
423848 이런분한테 자녀분들 영어 과외시키시나요? 초등생과 홈스쿨하며 .. 10 영어과외질문.. 2014/10/05 1,529
423847 목선 쇄골라인 알아주는 여자 연예인들 누구누구 있나요? 5 ㅇㅇ 2014/10/05 2,882
423846 잔멸치가 짜요.. 어떻게 하죠? 3 쯎쯎 2014/10/05 954
423845 중학생 책상의자 어떤제품으로 사주시나요?? 8 자동차 2014/10/05 3,315
423844 [OBS]다큐스페셜에서 우유 호불호가 다른 20세 이상의 형제 .. ciemil.. 2014/10/05 980
423843 바람 잘드는 고층은 뒷베란다에서 빨래 잘 마르나요? 4 ... 2014/10/05 1,620
423842 남편과 시어머니를 쏙 빼닮은 자식 13 하필 2014/10/05 8,064
423841 한국가서 살고싶어요. 외국인으로서 직장구하려면 5 learnt.. 2014/10/05 2,029
423840 신라호텔 일식당 가격아시는분 계세요? 1 신라 2014/10/05 3,913
423839 이거..생리전 증상 맞나요? 3 힘든데 2014/10/05 1,427
423838 요즘 가장 스트레스 받는 게 뭐세요? 26 abc 2014/10/05 4,157
423837 맥된장 가격이 궁금해요~ 1 코스트코 2014/10/05 3,442
423836 립제품 추천해주세요 !! ........ 2014/10/05 557
423835 오페라의 유령, 내한 공연은 언제쯤 할까요? 5 뮤지컬 2014/10/05 1,077
423834 김여진의 눈물 1 세월호 2014/10/05 1,061
423833 비빔밥재료 표고버섯 물에 데쳐야하나요? 2 양념 방법 2014/10/05 1,572
423832 44년 만에 알게 된 놀라운 사실 71 태양 2014/10/05 26,543
423831 롱제비* 라고 들어보셨나요? 1 다단계식품 2014/10/05 941
423830 일본영화중 지금 만나러 갑니다. 4 여주 2014/10/05 1,231
423829 시부모 용심이고 갑질이라 생각했던게 9 .. 2014/10/05 4,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