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가 너무 짠데..

김치찌개 조회수 : 1,599
작성일 : 2014-08-21 18:32:22

김치가 너무 짜요.

씻어서 찌개를 끓여도 짠데 (배추 자체에 배인 짠맛이 안 없어지는 듯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설탕이나 양파 등으로 중화시키는 거 말고요..(염분 섭취는 그대로일테니)

짠맛을 빼내는 방법 없을까요? 

IP : 118.37.xxx.19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8.21 6:36 PM (203.152.xxx.185)

    무를 큼직하게 잘라서 군데군데 박아두세요.
    무가 염분을 어느정도 흡수할거에요.

  • 2. 김흥임
    '14.8.21 6:36 PM (49.174.xxx.58) - 삭제된댓글

    안익은게 짜단말씀이신가요
    그렇다면 무우숭덩숭덩잘라 짱박아도되고
    쪽파 한덩이씩 돌돌말아 짱박아도됩니다

  • 3. 김치찌개
    '14.8.21 6:54 PM (118.37.xxx.190)

    익은김치...신김치에 가까운데 짜네요..
    암튼 무 시도해보겠습니다.

  • 4. ㅇㄹ
    '14.8.21 7:16 PM (211.237.xxx.35)

    신김치면 무박으면 맛이 더 이상해지죠;;;
    신데다 짜면 쌩으로 먹는건 한계가 있고..
    김치쌈이나 찌개 김칫국 볶음등으로 소비하셔야 할듯...

    씻어서 그냥 물에 좀 담궈두세요. 그럼 짠맛은 좀 빠집니다.
    담그는 물에 설탕 약간 타서 담그면 짠맛이 더 빨리 빠지고 맛도 많이 중화되고요.
    짠맛 좀 빠진후 김칫국 끓여드시거나 찌개, 볶음등 아님 김치쌈 해드세요..

  • 5. ....
    '14.8.21 7:38 PM (175.223.xxx.165)

    채칼로 무채 잔뜩 썰어서 같이 넣놨더니
    짜게 절여진 배추가 적절히 짠맛이 빠지고
    김치맛도 좋아졌어요
    근데 저는 김치 담그고 나서 얼마 안되서인데
    신김치라고 하시니
    그건 어떨지는 모르겠네요

    물에 담가서 짠기빼고
    등갈비나 돼지고기 넣고 고추장으로 찌개가 제일나을거같네요

  • 6. 4070
    '14.8.21 7:46 PM (222.64.xxx.188)

    옆집할머니가 주셨는데 너무 짜서 . 마침 또 옆집언니가 주셨는데 너무 싱거워서 .. 둘 합체 했더니 환상 이였어요 . 하나는 젓갈이 너무 많이들었고 하난 너무 양념을 애꼈고 ㅋㅋ
    암튼 주신거는 버리지 않고 맛나게 잘 먹었죠 ㅎㅎ

  • 7. ㅎㅎ
    '14.8.21 8:59 PM (118.37.xxx.190)

    여러 팁들 감사합니다.^^

  • 8. 그거 정답은
    '14.8.22 11:01 AM (121.143.xxx.106)

    물에 담가 놓으시면 아주 짠김치도 맹탕 되더라구요. 저 그래서 김치찜했는데 멸치넣어 하니 슴슴하게 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5719 임신한 배 자꾸 만지는.. 20 ... 2014/09/11 5,277
415718 강아지 피부병 낫게하신분들 도와주세요 26 도와주세욧 2014/09/11 6,195
415717 초등 고학년 치아 2 초등생 2014/09/11 766
415716 오십대중반에 골다공증 심해요 3 골다공즈 2014/09/11 2,684
415715 콩나물밥하고 요리하나 추천해주세요.. 11 친구 2014/09/11 1,266
415714 베란다에 놓을 브런치책상... 2 .. 2014/09/11 1,062
415713 미서부여행 여행사추천해주세요 2 사랑스러움 2014/09/11 1,367
415712 오늘이 무슨 날인지 아세요? 4 .. 2014/09/11 1,507
415711 얘기할 때 발로 치는 시어머니 25 발싫다! 2014/09/11 4,154
415710 아이허브에서 내가 추천한 추천인 어디서 볼수 있나요?? 아이허브 2014/09/11 582
415709 교통사고로 가족 잃은 모든 사람을 위한 특별법 만들어야... 2 이게정상. 2014/09/11 949
415708 쫄면이 밀가루인가요? 1 ,,, 2014/09/11 15,847
415707 어머님이 징그러워졌어요 15 보기싫다 2014/09/11 5,047
415706 집안에 엘리베이터가 있는 집에 다녀와서.. 45 ... 2014/09/11 17,774
415705 집안일 눈에 거슬려서 운동가는게 더 귀찮아요 ㅠㅠ 3 .. 2014/09/11 1,149
415704 미용실 창업 어떨까요... 3 미용실 2014/09/11 2,232
415703 해적 보셨나요? 9 .. 2014/09/11 1,397
415702 하객의상 조언부탁드립니다. 2 .. 2014/09/11 840
415701 다리 많이 달린 긴 벌레.. 이름이 뭐죠? 9 벌레 2014/09/11 1,921
415700 감수성 풍부한 사람들은 보통 어떤가요? 6 ........ 2014/09/11 11,137
415699 갑상선 검사, 내과에서 하나요? 3 심장이뛰어 2014/09/11 4,012
415698 아침드라마 모두다김치 보시는분 7 ㅇㅇ 2014/09/11 1,982
415697 가까이 하기엔 너무 뜨거운 남편 11 남편 2014/09/11 3,562
415696 경남 진주시에서 프랑스어 배울만한곳 1 프랑스어 2014/09/11 868
415695 지금전주 효자동에. 3 샌디 2014/09/11 2,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