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염분없이 식사가 가능할까요?

저염식 조회수 : 2,856
작성일 : 2014-08-10 13:17:30

 

어떤 분이 염분없이 식사 하니까 몸에 붓기가 빠지고 피부도 좋아지더라는 글을 봤는데요

밖에서 사먹는 거 말고 집에서 식사를 준비한다고 했을 때

염분 없이 음식을 준비한다면 그건 도대체 어떻게 한다는 말일까요?

그렇게 해 보신 분 계세요?

가녕 샐러드를 먹는다면 저같은 경우 그리스식으로 먹거나 하면 소금도 조금 치고

페타 치즈나 소금기 있는 치즈도 먹는데 그럼 그것도 빼야 하고

발사믹도 안 뿌리고 그냥 완전 야채만 먹는다는 뜻일까요?

생선을 조립하거나 구어도 소금류나 간장 같은 거 하나도 안 넣고

익히기만 해서 먹고 고기도 구워서 소금양념장에 찍어 먹는 게 아니라 그냥

고기만 먹고 그런 걸까요?

감자나 밥 고구마 같은 탄수화물류는 그렇게 먹겠는데

그럼 김치도 안 먹어야 되고 그런 건지 감이 안 오는데 해 보신 분 있으면 얘기 좀

해 주세요. 

IP : 49.1.xxx.220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네.
    '14.8.10 1:21 PM (123.109.xxx.92)

    잘 알고 계시네요.
    양념을 안하고 먹는다는거죠.
    야채, 고기 영양성분에 기본적인 미량의 나트륨은 다 들어있고.

  • 2. 킹콩과곰돌이
    '14.8.10 1:26 PM (219.255.xxx.99)

    전 다이어트 초반에 무염식을 하다가 지금은 저염식을 하고 있는데요,
    말씀하신 대로 샐러드를 하면 양상추, 크래미, 참치, 토마토, 기타 채소, 파프리카, 구운 마늘 등을 올려서 그냥 먹고요(근데 소스 없어도 토마토 등과 같이 먹으면 간이 있는 것처럼 느껴져요.)
    생선은 조림은 안 먹고, 구워 먹을 때는 원래 소금 안 뿌렸고요.
    두부도 그냥 구워서, 계란 삶은 것도 소금 안 찍고,
    물론 김치도 안 먹었고요(지금은 조금씩 먹어요. 김치찌개 먹을 땐 김치만 건져먹고요 -예전엔 찌개국물에 밥을 비벼 먹었어요 ^^:)
    고기도 소금장 안 찍어 먹어요.

    지금은 아예 무염식은 못하는데요.
    일단 모든 장과 소스는 끊었어요.
    찌개는 건더기만, 김치는 아침 먹을 때만,
    소금장, 쌈장, 샐러드 소스 등등....
    이 정도만 해도 많이 좋아져요. ^^

  • 3. ....
    '14.8.10 1:44 PM (121.160.xxx.67)

    4년째 외식 빼곤 무염식 하고 있어요.
    거의 '요리' 개념 없이 살아요. 익힌다, 섞는다 정도?
    고구마 삶아 먹고, 과일 몇가지 먹고, 생채소 그냥 우걱우걱...
    외식 빼곤 '밥'은 안 먹구요.
    혼자 살아 가능한 일 같아요.
    식비 적게 들고 냉장고가 가뿐하네요.
    맛있는 것들 못 먹어 어쩌냐고 하지만 익숙해지니 재료 그 자체의 맛도 알게 되요.
    이제 익숙해지니 시중의 비빔밤은 양념장을 안넣어도 짜네요.

  • 4. 평생 저염식
    '14.8.10 2:00 PM (185.37.xxx.183)

    저는 신장이 안좋아 평소 저염식 하는데요. 샐러드 드레싱은 소금이나 간장 대신 식초같은 상콤한 것으로 대체 가능합니다. 생야채도 좋지만, 야채를 기름없이 살짝 구워 드시면 그 특유의 쫄깃, 짭짤 거리는 맛에 별다른 소스가 필요치 않을 거예요. 하지만 건강에 큰 문제가 없는 경우에 무염식까진 필요 없다고 봐요.. 왜냐,, 적당한 소금이 몸에 들어가주지 않으면, 오히려 피부는 더 안좋아집니다. 몸에 활력도 떨어지고요. 오랜 무염식 체험 결과입니다. 의학적으로 증명된 얘기는 아니지만, 임신했을 때 산모가 너무 싱겁게 먹으면 태아가 피부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도 해요.

  • 5. 김희애씨가
    '14.8.10 2:05 PM (211.207.xxx.203)

    운동뿐 아니라 초저염식을 할거라는 어떤 분의 글에 자극받아 저염식 하는데요.
    김치는 물김치 쪼금 먹고, 다른분들말씀대로 다 재료만 먹어요.
    찌게 안 먹고 소스 안 먹고.
    두부, 토마토, 감자구이, 단호박찜 이런식으로요,
    휴롬으로 당근이나 샐러리즙도 만들어 틈틈이 마시고요.

  • 6.
    '14.8.10 3:39 PM (112.152.xxx.173)

    고혈압 환자에겐 지나친 저염식은 오히려 고염식보다 안좋다고 하더라구요
    몇주전에 신문기사에서 봤네요

  • 7. ..
    '14.8.10 4:37 PM (223.62.xxx.67)

    저염식 음식에 관련된
    까페 혹시 알고계신 분
    계신가요?

  • 8. 무염식
    '14.8.10 4:54 PM (221.138.xxx.39)

    설렁탕, 곰탕도 소금간 전혀 안하고 두부도 삶아서 그냥 먹어요. 고기도 그렇고 브로콜리도 삶은거 소스 이런거 하나 없이 먹고 순대도 그냥 먹어요. 무염식 그만 둔 지금도 이건 다 지키고 샐러드도 그냥 소스없이 먹거나 발사믹 식초 약간에 올리브오일도 조금 해서 먹구요. 소스가 나트륨과 칼로리 덩어리에 음식 본연의 맛을 감춰서 거의 안먹어요. 양배추나 브로콜리 등 채소에 아무것도 간 안하고 먹어보면 진짜 맛이 이거구나, 맛있다를 알게 됩니다

  • 9. 저염식 안좋아요.....
    '14.8.11 12:10 AM (119.149.xxx.169)

    고염식도 안 좋겠지만

    초저염식은 좋지 않아요........탈수 옵니다........

    좀 덜짜게 먹는 정도가 좋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9738 제일평화ㅣ장 옷값 어느정도 하나요? 5 나도 옷.. 2014/10/25 2,380
429737 부활 새 보컬 김현식 닮았어요. 9 와~~ 2014/10/25 2,168
429736 아이반 엄마와의 기브앤테이크.. 어떤가요 15 계속 맘쓰여.. 2014/10/25 4,024
429735 대봉감을 사왔는데 단단하네요...언제까지 기다려야 할까요? 4 참말로 2014/10/25 1,629
429734 혹시 add(애드)라는 브랜드 아시는분 계세요 ? 3 동지 2014/10/25 1,282
429733 이번 분기에도 경제 성장률 0%대래요ㅠㅠ 5 아기사랑중 2014/10/25 1,591
429732 친구가 저한테 이런거 서운할까요? 3 ........ 2014/10/25 1,325
429731 화장품에 쓰는 돈도 의미없나요? 32 화장품 2014/10/25 11,280
429730 집에 오면 비행기모드를 사용하는 이유? 4 ... 2014/10/25 5,327
429729 원룸에 음식냄새.. 6 냄새포비아 2014/10/25 6,977
429728 이사갑니다 2 포기 2014/10/25 960
429727 개키우시는분들 개도 삐지나요? 16 아웅... 2014/10/25 8,597
429726 "마마" 송윤아가 어떻게 그런내용의 드라마를.. 7 찾아보기 2014/10/25 3,496
429725 외신 뉴스를 봐야 하는 이유, 다이빙 벨을 봐야 하는 이유, 2 뉴스 2014/10/25 606
429724 오마이베이비 김소현,리키 집 쇼파 어디껀지 아시나요? 1 쇼파 2014/10/25 2,674
429723 가르켜주세요... 1 신빛 2014/10/25 646
429722 한약 다이어트 어떤가요? 13 80키로 2014/10/25 2,788
429721 삼겹살 굽는 거랑 김치찌개 끓이는 거 뭐가 냄새 덜 나나요? 5 급질 2014/10/25 1,366
429720 전작권 환수 또다시 연기..국가의 주권을 포기한 박근혜 17 매국노들 2014/10/25 1,090
429719 부모님 생사 여부 5 misfh 2014/10/25 1,714
429718 석션마사지기 사용해보신분 계세요? 84 2014/10/25 2,104
429717 쇼핑할때 너무 좋지 않나요? 22 저는 2014/10/25 4,523
429716 길냥이 질문이요 10 야옹 야옹 2014/10/25 1,008
429715 우울증 만성이신분 계신가요... 10 ... 2014/10/25 6,644
429714 친정어머니 7 슬픈날 2014/10/25 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