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본인 연봉보다 신용카드 사용액이 더 많을경우

.. 조회수 : 4,534
작성일 : 2014-08-05 18:08:44
연말정산시 오히려 돈을 더 많이 물어야 된다고 들었는데..정말인가요?
제 명의 신용카드를 제 동생하고 같이 쓰는데, 자기가 쓴 금액만큼 동생에게 받기도 하구요..
그밖에 가족들이 쓰는 휴대폰이며 각종 요금을 제 카드로 긁거든요..
연봉보다 더 많이 나올거 같네요...;;;
이럴경우 세금문제는 어떻게 될런지 아시는 분 계시면 조언해주세요..
IP : 210.178.xxx.1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8.5 6:14 PM (118.36.xxx.253)

    금시초문의 황당한 이야기입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어차피 본인 소득금액의 일정 퍼센테이지까지만 공제받게 되어있어요

  • 2. 음~
    '14.8.5 6:29 PM (175.209.xxx.14)

    제가 그런 경우가 있었습니다. (제 급여보다 생활비를 많이 쓴다는 의미로 남편 월급이 일부 쓰는거지요)

    간단하게 설명하면 급여보다 카드사용대금이 많으면 세금을 더 공제받는 거지요 (세금을 덜 낸다는 의미)
    물론 윗님 말씀대로 급여에 따라 일정액(최대공제액)이 있습니다.

  • 3. --
    '14.8.5 6:37 PM (118.36.xxx.253)

    아무튼 쓴만큼 세액공제를 더 많이 받을순 있어도 돈을 더 낼일은 절대 없습니다.

  • 4. rafale
    '14.8.5 6:38 PM (121.130.xxx.196)

    그런건 없는데 가족중에 소득있으신 분이 있다면 나눠서 쓰는게 세액공제 더받습니다.

  • 5. ..
    '14.8.5 6:39 PM (61.43.xxx.154)

    연봉보다 신용카드 사용액이 많고 적은 것은 연말정산시 크게 상관없습니다. 더 물어야 된다는 거는 잘못된 얘기구요.

    연말정산시 신용카드 공제에 대해 대충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신용카드 사용액중 총급여의 25% 넘는 금액의 15%를 소득에서 제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많이 쓰면 그만큼 세금대상이 되는 소득이 줄어들게 되니 세금을 적게 내도 되겠죠.
    다만 무한정으로 줄여주는게 아니고 최대 500만원까지만 소득에서 빼주는 것이기 때문에 한계는 있구요 여기에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금액이 같이 들어가는건데 이건 또 퍼센티지가 다르기 때문에 이것까지 얘기하면 복잡해지니 이건 생략할게요..

  • 6. ^^
    '14.8.5 7:38 PM (210.178.xxx.13)

    제가 걱정하고 있었던 건 기우였군요..한시름 놓았네요,,조언주신 분들 넘 감사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6634 에일리의 여러분! 6 감정이입 2014/08/10 2,245
406633 요즘 어떤 피자가 젤 맛있나요? 23 피자 2014/08/10 4,552
406632 대학이란것도 일종의 사업아닐까요 9 we 2014/08/10 1,562
406631 제목 삭제 3 설레는 2014/08/10 1,059
406630 김치 맛있는곳 추천좀 해주세요 4 김치 2014/08/10 1,762
406629 예은이아버님 유경근님이 응급실 실려가셨답니다 32 제발 2014/08/10 5,307
406628 약사친구가 부럽네요 50 di 2014/08/10 23,145
406627 윷놀이 할때 모서리에 걸리면..?? ... 2014/08/10 932
406626 칫솔질? 복잡하게 할 것 없다! 2 맘이야기 2014/08/10 2,898
406625 베스트에 친구동생 결혼식 답정녀.. 14 나도.. 2014/08/10 5,012
406624 혼자 사시는 분들 3 ........ 2014/08/10 1,917
406623 산케이“국회 발언과 조선 칼럼 바탕으로 썼는데 명예훼손?” 2 무엇을 했을.. 2014/08/10 1,091
406622 저는 시어머니가 정말 좋아요. 39 운다 2014/08/10 9,949
406621 부산 코스트코 이전하는거 맞나요? 4 부산맘 2014/08/10 8,053
406620 인천에 괜찮은 일식집 추천해 주세요 5 땡글이 2014/08/10 1,399
406619 오늘 아빠어디가에서 빈이가 한 말 9 반성 2014/08/10 6,177
406618 말도 안되는 상상을 해 봐요 1 *_* 2014/08/10 816
406617 제사 시간 앞당겨서 지내시는 집안 32 궁금해 2014/08/10 18,321
406616 비대위원장이 다행히 제자리를 찾고 있습니다 9 박영선 2014/08/10 1,739
406615 여중생 보낼만한 식습관고치기 캠프 없을까요? 3 캠프 2014/08/10 1,322
406614 약속 어음을 받았는데, 궁금해요. 2 제발답변 2014/08/10 911
406613 사주에 정관 두개 정인 두개 6 highki.. 2014/08/10 7,329
406612 한시간 십분 동안 찌개 하나 반찬 세가지... 제가 손이 좀 빠.. 18 이정도면 2014/08/10 5,866
406611 골반 틀어짐때문에 고생하신 분 계세요? 5 사과 2014/08/10 3,611
406610 지금의 정치를 바라보며.. 8 .. 2014/08/10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