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디댁..이라고 할때는 여자고향마을?을 따는거 아닌가요?

.. 조회수 : 2,133
작성일 : 2014-07-11 21:00:29
조정래 소설봐도 어디댁 어디댁이라고 말할때
기혼여성의 출신지 고향 친정을 넣어서 ~댁 이렇게 부르던데요.. 이게 맞는거 아닌가요??

제 고향이 경산인데 지역맘카페를 가봐도
서울에서 시집 온 분도, 대전에서 온 분도 전부들
자기가 경산댁이라고 하는거보고 뜨악한적이 있었거든요..
구분도 안되고 의미도 없는걸 왜 그리 부르는지?

이효리가 자꾸 소길댁. 소길댁 이라고 기사가 나오니
이상해서요...
IP : 115.140.xxx.133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7.11 9:04 PM (58.140.xxx.162)

    서양에서 결혼하면 남편 성 쓰듯이 새로운 아이덴티티인가? 했어요.

  • 2. 그냥
    '14.7.11 9:04 PM (218.147.xxx.159)

    블로그에서 쓰는 애칭같은건데 ,진지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 3. 그리고
    '14.7.11 9:05 PM (58.140.xxx.162)

    어렸을 때 @@동 이모, 과천이모.. 그런 것도 비슷한 쓰임 아닐까요?

  • 4. 맞아요
    '14.7.11 9:07 PM (14.52.xxx.59)

    자기 친정동네 붙이는거죠
    오늘도 또 집얘기가 올라왔더구만요 ㅠ
    효리 첫집인가요 ㅎ

  • 5. 원글이
    '14.7.11 9:08 PM (115.140.xxx.133)

    제 친정엄마가 쓰시는걸봐도 지인의 자라온 고향을 넣어서 출신지를 알려주는 의미로?? ~댁 이라고 하더라고요...근데 최근엔 지금 사는 곳을 따서 부르니
    이상하네요..

  • 6. 베이지
    '14.7.11 9:14 PM (115.126.xxx.100)

    저희 시어머니와 고향 어르신들 보면 그게 명확하게 출신지로만 한다~정해진건 아닌듯해요
    저희 시어머니는 고향이 전라도인데 저희 시골에선 산청댁으로 불리시거든요
    시집오시기 전에 산청에 잠시 머무르셨는데 그런 이야기가 돌면서 그냥 산청댁이 되었다고 하네요
    그리고 다른 어르신 몇분도 고향과 상관없는 지명으로 불리셨어요
    시집오신 후에 마을에서 새색시 이야기를 하다가 연관이 되는 지명이 있으면 그리 불려지기도 하는거 같았어요

  • 7. 어쩄든
    '14.7.11 9:16 PM (14.52.xxx.59)

    지금 자기 사는 동네가 아니라 결혼전 사는 동네지요
    남편 성씨 따라가는 호칭으로는 박씨한테 시집가면 박실이.김씨한테 시집가면 김실이..라고 부르던 풍습도 있어요

  • 8. 삼산댁
    '14.7.11 9:32 PM (222.232.xxx.70)

    울친정이 삼산이라 제가 삼산댁

  • 9. ...
    '14.7.11 9:46 PM (175.197.xxx.6)

    맞아요. 여자 고향을 따서 (택호를 딴다고 하죠) 부르고
    아들들도 엄마 고향을 따서 한밭댁 도련님 혹은 서방님이라고 불렀죠.
    혼불에 그렇게 나오던데요. 사는 곳을 따는 것은 족보에도 없는 방식.

  • 10. 낳고자란지역
    '14.7.11 9:56 PM (115.140.xxx.74)

    을따서 ㅇㅇ댁 이렇게부르는걸로 아는데..

    저도 소길댁? 이상해요.
    젊어서 모르는거같아요.

  • 11. 원글이
    '14.7.11 10:48 PM (115.140.xxx.133)

    꼭 고향이 아니더라도 특징이 될수있는 장소를 붙이는건 이해가 가요...
    그 카페는 훨씬 이전부터 그랬고,
    서로 다들 경산댁이니 이건 구분도 안되고 이해도
    되지 않았던구요..
    효리까지 똑똑한 기자들이 소길댁이라 부르니
    왠지 거슬려서 내가 잘못아는게 있는지 여쭤봤어요..
    소길댁이 특별한 의미는 될수있겠네싶네요...

  • 12. .....
    '14.7.11 11:43 PM (59.0.xxx.217)

    전 왜 소갈댁으로 여태 읽었을까요.....ㅡ,.ㅡ;;;;;

    이름도 특이한 곳이네 하면서 ......ㅠ.ㅠ

  • 13. 법칙은아니고
    '14.7.12 1:40 AM (112.154.xxx.217)

    대개는 자기 친정동네를 붙어셔 ~宅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건 시집간 동네가 시댁동네라 그렇습니다. 가랑 김씨가 모여 사는 동네로 시집을 가면 구분되는 게 친정동네니까 친정 지명을 붙여서 부릅니다. (가령 김씨 동네에 박씨 여성이 시집왔는데 기존에 박씨여성이 있으면 부르기 애매하니까 종로댁-종로에서시집온 박씨여성, 구로댁-구로에서시집온박씨여성으로 부르죠.)

    근데 꼭 그런 것도 아닌게,
    가령 은행나무골에 시집온 두 여성이 있는데 한 여성은 집에 느티나무가있으면 느티낵, 밤나무가있으면 율이댁(밤 율자를 쓰는거)가 됩니다. 이 경우는 사는 집 특징을 붙이는거죠.

    반대로 박씨 자매에게 종로에서 온 김씨 남성- 구로에서 온 오씨 남성이 장가를 듭니다.(여성동네로 이주하는거죠) 그럼 종로댁, 구로댁이 됩니다.
    여성 호칭은 성이 아닌 다른 걸로 구분을 위한건데,
    조선시대에 여자가 남자동네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서 여자가 온 동네(친정동네)가 대표적인 것이 된거지 꼭 친정 지명을 쓰라는법은 없다는거죠. 그냥 구분만 가능하면 됩니다.
    현재주거지, 친정동네, 남편고향,.. 뭐 그런거죠.

    딴거로 ~室이 있는데 이건 남편성을 붙여서 친정에서 부르는 호칭입니다. 따지면 ~네 집사람?정도 의의미요.
    김씨여성이 박씨남성과 결혼했을 때는 친정동네에서 朴室이로 부릅니다(박씨네 집사람)
    근데 이 여성이 시댁 동네에 가면 김실이(金室이)로 불러요. 거긴 다 박씨네 아내뿐이니 본래 있는 성으로 부르면서 김씨인데 집사람이된 사람.. 뭐 그정도 의미로 부르는거죠. 한사람을 누가부르냐에 따라 호칭이 달라집니다.

    그러니 이효리가 소길댁으로 부르는(불리는?)것도 현재사는 지명을 따서 부르는거면 별 문제가 없습니다.

  • 14. ..
    '14.7.12 3:29 AM (116.120.xxx.59)

    윗님 댓글 잘 읽었습니다^^
    밤나무많았던 곳에서 시집오셨던 돌아가신 우리 할머니택호 율곡댁이 생각나네요^^

  • 15. 원글이
    '14.7.12 8:02 AM (115.140.xxx.133)

    훌륭한 댓글 감사드려요
    역시 82에요~

  • 16. 우와~
    '14.7.12 12:08 PM (121.190.xxx.197)

    저 역시 원글님 정도로만 알고 있던 여성 호칭의 의미를 이렇게 자세히 알려주시니 정말 감사해요.
    덕분에 시야가 좀 더 넓어졌어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3100 내 아이를 여우누이로 키우는 부모들 11 ........ 2014/08/01 5,169
403099 윤일병 죽인놈들 5 악마 2014/08/01 5,141
403098 오른손 검지 손가락이 안굽혀져요ㅜ 3 꽃그늘 2014/08/01 2,487
403097 녹색당은 어떤곳인가요...? 3 ... 2014/08/01 735
403096 여자들 생리휴가 쓸수있음 좋겠어요 10 어쭈 2014/08/01 2,034
403095 1년동안 번 돈 빚 갚고나니 빈털털이지만 빚은 여전히 ㅠㅠ 3 ... 2014/08/01 1,872
403094 뭐든 굼뜨고 느린 아이 8 ... 2014/08/01 1,960
403093 아이 남편 두고 하루 다녀오려구요. 미치겠어요. 8 하루 2014/08/01 2,048
403092 ..공부생각없는 초등아들.. 7 ㅠㅠ 2014/08/01 1,495
403091 연애 상담 합니다. 4 상담 2014/08/01 1,373
403090 여수 유치원 교사 학대 동영상 보셨어요? 5 ㅡ.ㅡ 2014/08/01 3,275
403089 엔제리너스 좋아하시는분 위메프가서 쿠폰챙기세염 3 절씨구 2014/08/01 1,579
403088 행동 으로 보입시다. 4 간드락 2014/08/01 673
403087 다큰 자식이 미워요.. 11 미워정말 2014/08/01 4,983
403086 돈 3억이 아무것도 아니네요 31 동글 2014/08/01 19,550
403085 아구찜과 어울리는 음식은? 2 엄마 2014/08/01 3,071
403084 혹시 일룸책상 쓰시는 분요.. 8 깨끗하고파 2014/08/01 2,132
403083 중2남학생과의 여행 전주vs군산 2 궁금 2014/08/01 1,042
403082 T.G.I 와규스테이크 맛있나요?? 2 코발트블루2.. 2014/08/01 1,714
403081 공부를 많이 한 사람들의 생각이 ‘일개 택시기사’보다 못할 때가.. 3 Pink 2014/08/01 1,333
403080 즉석에서 선식 갈아주는 곳을 찾고있어요 5 인서울 2014/08/01 1,841
403079 허리에 강한 통증을 느끼고 주저앉았어요 4 ㅠㅠ 2014/08/01 1,793
403078 군에 있는 아들 걱정이... 너무 되네요.. 17 정말 2014/08/01 2,825
403077 전세를 직거래 하고 싶은데... 2 토당동 2014/08/01 978
403076 82에서 많이 보는 재택 알바, 전문직 23 전문직은? 2014/08/01 5,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