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남편 직업으로는 뭐가괜찮나요?

pingjo 조회수 : 4,840
작성일 : 2014-07-03 12:07:14
요즘 대기업다니는 남자들 괜찮나요? 대기업다니는 남자는 집안안좋으면 볼거없고 45살에 치킨집사장으로 승진한다고 주변언니들은 그러드라구요
현차는 뭐 초봉이 5000이라던데 현대백화점이라던가 두산 뭐이런 대기업맨들 결혼감으로 선호되나요?
의사나 검사 .. 사짜 남자들이 역시 최고인가여?
IP : 175.223.xxx.191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뭘 걱정하세요?
    '14.7.3 12:20 PM (61.106.xxx.207)

    괜찮은 직업을 가진 신랑감은 거기에 맞는 신부감을 원합니다.
    남자분 의사도 중요하니 미리 걱정할 필요 없을 듯 하네요.

  • 2. ??
    '14.7.3 12:20 PM (175.209.xxx.94)

    글쓴이 여자분이신가요? 남편감이 어떤게 괜찮을지는 - 여자가 어떠냐에 따라 달렸죠. 원글님은 뭐 하는 사람이신데요?ㅎㅎ

  • 3. ??
    '14.7.3 12:21 PM (175.209.xxx.94)

    결혼정보회사에 본인 스펙 + 사진 주고 물어보세요. 정확히 매칭해서 말해줍니다 ㅎㅎㅎ

  • 4. @@
    '14.7.3 12:26 PM (124.49.xxx.19) - 삭제된댓글

    요즘은 비슷한 레벨의 직업군끼리 결혼하는게 대부분입니다.
    님 직업이 별볼일없으면 남편감도 특별하진 않겠죠..

  • 5. ....
    '14.7.3 12:39 PM (180.228.xxx.9)

    행정고시 파스한 공무원으로 골라 보세요. 그 중에서 재경직..
    단, 남자 집이 가난하면 안되고 키도 177cm 이상은 돼야죠.
    그런데 의사, 판사, 검사들은 쫌 성격이 외골수인 사람이 많아서 안전하지는 못해요. 신랑감으로는..

  • 6. .....
    '14.7.3 12:41 PM (125.133.xxx.25)

    요즘은 비슷한 레벨의 직업군끼리 결혼하는게 대부분입니다. 2222222222
    스펙 차이가 너무 나는 경우는, 결혼전 양가 중 한 쪽의 반대도 심하고,
    결혼해서도 서로 양가 문화가 너무 달라 삐그덕 대는 경우도 많더군요.
    더 문제는, 애초에 스펙 차이가 너무 나면 성사 자체가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

  • 7. ㅎㅎ
    '14.7.3 12:41 PM (121.162.xxx.53)

    남편이 검사였던 언니는 아버지가 판사였구요. 남편이 회계사인 언니는 학교때 선후배였고
    남편이 외국계회사 부사장인 친구는 건축학과 교수 아버지가 선 놓은거에요.
    대부분 비슷한 배경에서 만남도 이뤄지고 ㅎㅎ 선택할만한 입장인 사람들은 소수에요.

  • 8. 이런글
    '14.7.3 12:43 PM (211.213.xxx.72)

    왜이렇게 한심한지...........

    안타까운 인생.....쯧쯧쯧............

  • 9. ~~
    '14.7.3 12:43 PM (58.140.xxx.162)

    엊그제부터 맹~한 글들이 줄줄이 사탕...

  • 10. ㅎㅎ
    '14.7.3 12:50 PM (125.132.xxx.28)

    치킨집 사장으로 승진

  • 11. ...
    '14.7.3 1:09 PM (210.104.xxx.130)

    남동생이 원글님 같은 사람 만날까봐 걱정됩니다.
    직업은 부차적인 것이고요
    성격, 인품, 가치관 이런거 먼저 보세요

  • 12. ...
    '14.7.3 1:09 PM (223.62.xxx.85)

    당장 회사가 중요한게 아니라 나이먹을수록 가치올라가는 직업들요...제 친구 남편이 엔지니어링회사 다니는 기술사인데 젊을때는 좀 별로 같더니 40넘으니까 괜찮네요...급여도 긴 정년도~

  • 13. 네모돌이
    '14.7.3 1:23 PM (39.7.xxx.81)

    빌딩 주인??

  • 14. 제 생각엔
    '14.7.3 1:55 PM (112.166.xxx.100)

    농부가 최고입니다.

    축산업도 좋지요~~하고 제 생각 이야기 해도 이게 뭐지~? 하실것 같은데요 ㅎㅎㅎ

    제 신랑 정말 농부입니다

    일년에 하루도 휴가는 없지만, 집 가까이에 일터가 있고, 매일 낮에도 얼굴 보고 수다 떨 수 있고

    참 좋아요

  • 15. ...
    '14.7.3 2:25 PM (223.62.xxx.77)

    전업하게 해주는 전문직이 최고죠~ 집안일만 하면 돈이 한달에 최소 천만원씩 펑펑 나오는~

  • 16.
    '14.7.3 2:29 PM (182.209.xxx.49) - 삭제된댓글

    주변에여러케이스가있는데 전문직이라도 부모경제력능력없는집은 을 명문대출신대기업회사원이며 부모재력빵빵하게지원되는집이 갑이죠 전문직이라도부모재력없으면 근근하게 살아가요 아주특이하게 잘나가는케이스아니면

  • 17. ㅋㅋㅋ
    '14.7.3 3:40 PM (175.223.xxx.79)

    ㅋㅋㅋㅋㅋㅋㅋㅋ미치겠다

  • 18. ...
    '14.7.3 10:04 PM (119.199.xxx.241)

    전문직 남자들을 남편으로 고를 위치에 있는 분들이 윗글 보니 많네요... 집안 별로인 전문직이 을이라구 말하는 님은 도대체 뭐하는 분이신지???진짜 허세도 정도껏..
    전문직 남성들은 당신을 전혀 전혀 염두에도 두고 있지 않으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6640 발레학원비, 발레콩쿨비가 원래 이정도 인가요? 13 ,,, 2014/07/10 26,259
396639 브라질이 독일에게 대패한 이유가 25 ㅇㅇ 2014/07/10 8,215
396638 지적이고 고급영어를 말하고 쓰는데 제 나이 마흔한살이 늦은걸까요.. 15 다시시작 2014/07/10 3,797
396637 이과 과학 선행은 필수인가요? 5 도움 2014/07/10 2,887
396636 착하게 생기고 분위기가 착하다.. 7 정말8 2014/07/10 2,572
396635 카톡프로필 세월호 사진보고 친구가... 12 ㅇㅇㅇ 2014/07/10 2,777
396634 스마트폰 사진 촬영 찰칵 소리 없앨 수 없나요? 13 갤럭시노트 2014/07/10 7,557
396633 생수 딸때 훅하고 올라오는 역한 플라스틱냄새 3 생수 2014/07/10 2,093
396632 중2 홍삼. 지금 신청하려해요. 4 아이 2014/07/10 1,331
396631 시사통 김종배입니다[07/10am] 김명수는 끝났다 lowsim.. 2014/07/10 1,107
396630 국어 성적이 잘 안나오는 아이 8 중딩 2014/07/10 2,424
396629 질문))음의 대치현상은? 2 꼬마천사맘 2014/07/10 820
396628 (닥아웃) 82쿡님 일상글 앞머리에 저 비슷한 문구 다시... .. 4 .... 2014/07/10 674
396627 어휴!! 진짜..! 현직 은행원들이 해명을 해주셔야 할것 같아요.. 29 그지같은나라.. 2014/07/10 13,390
396626 스마트폰 와이파이 사용시 요금 문의...? 10 통신비비싸... 2014/07/10 1,616
396625 한반도의 젖줄인 4대강이 급속도로 죽어가는 것 같아요 7 .... 2014/07/10 1,424
396624 이렇게 농산물이 싼 시기에도 너무해요. 12 에휴... 2014/07/10 2,921
396623 오십에 남자가 일을 그만두면 3 Oldmad.. 2014/07/10 2,277
396622 김명수, 보고서 채택 먹구름…與일부까지 '회의론' 2 세우실 2014/07/10 1,484
396621 원문 지울께요 35 SOS 2014/07/10 4,781
396620 [잊지않겠습니다] 고백 받았어요*^^* 10 청명하늘 2014/07/10 2,405
396619 조그만 자영업 준비하다가 포기 3 사업 2014/07/10 2,590
396618 세월호, 이 대화 읽어보세요. 적나라합니다. 33 비단안개 2014/07/10 5,563
396617 2014년 7월 10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1 세우실 2014/07/10 1,150
396616 깐 도라지 그냥 먹어도 되나요? 5 .. 2014/07/10 2,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