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관심병사'는 일제 군국주의 잔재

관심병사 조회수 : 1,443
작성일 : 2014-06-24 06:29:26
http://m.khan.co.kr/view.html?category=2&med_id=khan&artid=201406232045505&co...

점령지에서만 200만 대군을 징집한 일본이었지만 반항심이 강한 조선인에 대한 징병제 시행은 영 내키지 않았다. 그러다 1944년 3월에 조선인 징병제 공포로 전면적 징병제가 시행된다. 바로 이때 전 일본군에 유포된 문서가 ‘조선인 병사 특별취급요령’이다. 여기에서는 “조선인은 머리를 때리지 말라”고 되어 있다. 습관적으로 머리를 치는 일본인과 달리 반항심이 자극되기 때문이다. 혼자 다니게 놔둬서도 안된다. 도망가면 가차 없이 사살하라는 지침도 있다. 일본인 관심병사에 대해서도 약병, 불량병, 이상병, 문제병, 요주의병으로 불렀다. 이들을 싸잡아 징벌로 교화하는 게 일본군의 집단문화였다.

22사단에서 사고가 나자 언론은 관심병사를 살인기계처럼 묘사한다. 과거 군국주의 일본과 같이 한우 등급 매기는 것처럼 관심병사를 A, B, C로 나누고 이들에 대한 수용 및 교화, 통제지침을 제시한다. 예전엔 ‘자살 방지조’라는 해괴한 조직이 1개 대대당 15명 정도 있어서 화장실에 갈 때도 감시병을 딸려 보냈다. 그러던 것이 지금은 비교적 관심병사, 문제병사란 순화된 용어로 불리지만 이것도 일제 때 그대로다.

분류 기준도 지휘관에 의한 자의적 판단에 의존함으로써 상담 실적을 채우기 위해 지휘관이 “너를 관심병사로 상담한 것으로 기록했으니 이해해 달라”고 멀쩡한 병사에게 당부하는 일도 벌어진다. 결국 병사의 일정 비율을 추출해 문제가 있는 것처럼 낙인을 찍는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상황이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지휘관이 문책을 피할 수 있는 방편이 바로 관심병사 상담기록이기도 하다. 한 달에 이병은 4번, 일병은 3번 상담기록을 유지한다는 식의 일률적 기준을 채워야만 사고가 나도 지휘관에 대해 정상이 참작되는 것이다. 관심병사로 취급받은 병사는 그 사실이 부대원에게 알려져 더 큰 수치심을 겪어야 한다.

2011년 강화도 해병 2사단의 총기사건도 비슷한 경우다. 당시 해병 2사단에는 총 11개의 대대가 있었는데 이 중 9개가 전방경계에 투입되었다. 육군이 3개 대대가 번갈아 6개월씩 전방 경계에 투입되는 것과 달리 해병부대는 교대 개념 자체가 없었다. 여기에다 해병대가 2000명에 달하는 서북도서사령부 창설로 2사단에서 인원을 차출해가니까 시스템이 붕괴되기 시작했다. 해병 부대원의 여객기 오인 사격에 이어 총기난사 사고가 터지고, 뒤이어 간부가 사무실에서 자살하는 참혹한 사건이 이어진 것이다. 조직의 붕괴는 인간의 잠재된 야수성을 일깨우며 극단적 범죄로 표출되었다. 이런 환경요인을 거세하고 문제의 원인이 관심병사 개인에게 원래 내재된 것처럼 책임을 전가하는 건 정책 실패를 은폐하려는 국방부의 얄팍한 노림수다. 권위적 통제문화를 애국심으로 포장해온 국방부의 편리한 사고방식이다. 거기서 서식한 징벌과 교화라는 군국주의의 유산이 살인기계가 아니고 무엇이란 말인가?
IP : 211.177.xxx.197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3992 기말 시험 ᆢ범위가 너무많아요 1 무계획 2014/07/02 1,124
    393991 세탁기 물이 하수구로 바로 안 들어가고 베란다로 다 나와요 4 물바다 2014/07/02 5,576
    393990 '청와대, 세월호 사고직후 해수부장관에 아무 연락 없었다' 12 국정조사 2014/07/02 1,683
    393989 이래서 다들 집을 사는군요... 4 집구하자! 2014/07/02 4,133
    393988 인물론으로 승부한다더니 인물이 없다 세우실 2014/07/02 887
    393987 이곳에서 본거같은데 아시는분 꼭 좀 도와주세요. 4 재활용 2014/07/02 1,073
    393986 mbn쓰레기네요 3 쓰레기 2014/07/02 1,609
    393985 상해 한나절 시내 구경 추천해주세요. 2 여행 2014/07/02 1,299
    393984 ‘제2의 길환영’ 만들기로 가는 KBS 1 샬랄라 2014/07/02 1,571
    393983 가족 비행기 티켓을 예약했는데 전액 환불 가능한가요? 2 지름신 2014/07/02 5,530
    393982 2주간의 방학동안 유치원 아이들과 할 수 있는 것들 3 방학이닷!!.. 2014/07/02 1,070
    393981 간단오이지 (단시미님 레시피) 보관할때 물엿넣고 해도 되나요? 4 오이지보관 2014/07/02 2,227
    393980 맞벌이 가사 분담 (짜증나요) 34 지겨워 2014/07/02 5,415
    393979 수지쪽 브런치나 점심먹으려구요.추천부탁드려요~ 3 식탐이 2014/07/02 1,537
    393978 목디스크수술은 입원을 며칠정도 하나요? 3 대략적으로요.. 2014/07/02 2,337
    393977 이런게 속이 편한건가요? .. 2014/07/02 1,062
    393976 오일 풀링방법 조언부탁합니다 1 건강제일 2014/07/02 2,301
    393975 크로커다일 레이디 76,79가 55.66인가요 6 사이즈 2014/07/02 3,153
    393974 끊임없는 경쟁에서 못 벗어나는건지.. 11 왜들 2014/07/02 2,623
    393973 유족 “세월호 국조, 질의응답 짜고 치나” 세우실 2014/07/02 1,475
    393972 도움을 구하고자 합니다! 1 제트 2014/07/02 1,048
    393971 일본 집단자위권.. 미국은 환영, 중국은 위협, 한국은 묵인 3 한중미일 2014/07/02 1,336
    393970 5만원선에서 부부모임 상품 5 카푤라니 2014/07/02 1,078
    393969 시아버님 9 50살 2014/07/02 2,369
    393968 세월호 국정조사 기관보고(해양경찰청) 7 시작했어요 2014/07/02 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