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령지에서만 200만 대군을 징집한 일본이었지만 반항심이 강한 조선인에 대한 징병제 시행은 영 내키지 않았다. 그러다 1944년 3월에 조선인 징병제 공포로 전면적 징병제가 시행된다. 바로 이때 전 일본군에 유포된 문서가 ‘조선인 병사 특별취급요령’이다. 여기에서는 “조선인은 머리를 때리지 말라”고 되어 있다. 습관적으로 머리를 치는 일본인과 달리 반항심이 자극되기 때문이다. 혼자 다니게 놔둬서도 안된다. 도망가면 가차 없이 사살하라는 지침도 있다. 일본인 관심병사에 대해서도 약병, 불량병, 이상병, 문제병, 요주의병으로 불렀다. 이들을 싸잡아 징벌로 교화하는 게 일본군의 집단문화였다.
22사단에서 사고가 나자 언론은 관심병사를 살인기계처럼 묘사한다. 과거 군국주의 일본과 같이 한우 등급 매기는 것처럼 관심병사를 A, B, C로 나누고 이들에 대한 수용 및 교화, 통제지침을 제시한다. 예전엔 ‘자살 방지조’라는 해괴한 조직이 1개 대대당 15명 정도 있어서 화장실에 갈 때도 감시병을 딸려 보냈다. 그러던 것이 지금은 비교적 관심병사, 문제병사란 순화된 용어로 불리지만 이것도 일제 때 그대로다.
분류 기준도 지휘관에 의한 자의적 판단에 의존함으로써 상담 실적을 채우기 위해 지휘관이 “너를 관심병사로 상담한 것으로 기록했으니 이해해 달라”고 멀쩡한 병사에게 당부하는 일도 벌어진다. 결국 병사의 일정 비율을 추출해 문제가 있는 것처럼 낙인을 찍는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상황이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지휘관이 문책을 피할 수 있는 방편이 바로 관심병사 상담기록이기도 하다. 한 달에 이병은 4번, 일병은 3번 상담기록을 유지한다는 식의 일률적 기준을 채워야만 사고가 나도 지휘관에 대해 정상이 참작되는 것이다. 관심병사로 취급받은 병사는 그 사실이 부대원에게 알려져 더 큰 수치심을 겪어야 한다.
22사단에서 사고가 나자 언론은 관심병사를 살인기계처럼 묘사한다. 과거 군국주의 일본과 같이 한우 등급 매기는 것처럼 관심병사를 A, B, C로 나누고 이들에 대한 수용 및 교화, 통제지침을 제시한다. 예전엔 ‘자살 방지조’라는 해괴한 조직이 1개 대대당 15명 정도 있어서 화장실에 갈 때도 감시병을 딸려 보냈다. 그러던 것이 지금은 비교적 관심병사, 문제병사란 순화된 용어로 불리지만 이것도 일제 때 그대로다.
분류 기준도 지휘관에 의한 자의적 판단에 의존함으로써 상담 실적을 채우기 위해 지휘관이 “너를 관심병사로 상담한 것으로 기록했으니 이해해 달라”고 멀쩡한 병사에게 당부하는 일도 벌어진다. 결국 병사의 일정 비율을 추출해 문제가 있는 것처럼 낙인을 찍는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상황이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지휘관이 문책을 피할 수 있는 방편이 바로 관심병사 상담기록이기도 하다. 한 달에 이병은 4번, 일병은 3번 상담기록을 유지한다는 식의 일률적 기준을 채워야만 사고가 나도 지휘관에 대해 정상이 참작되는 것이다. 관심병사로 취급받은 병사는 그 사실이 부대원에게 알려져 더 큰 수치심을 겪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