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머님들 옷 얼마나 자주 사세요?

어머님들 조회수 : 4,330
작성일 : 2014-06-15 21:36:54

두분이 연금+임대소득 해서 400인데 저축을 한푼도 못하시네요.

좀 큰돈 드는 병원이나 여행은 자식들 없이는 해결도 못하고요.

가만히 이유를 생각해보니 주범은 옷인거 같아요.

정말 계절마다 무슨 모임이 있을때 마다 볶여요.

바지가 없다 잠바가 없다 루즈가 없다 가방이 없다 신발이 없다.

1박 2일이라도 갈라치면 초 비상이에요.

돈을 쓰던 말던 당신들이 알아서하면 이런 계산조차 안하겠지만 그때마다 자식들을 들쑤시니 미치겠어요.

저는 3만원 넘는 바지는 사지도 않는데 30만원 바지 아니면 눈에도 안차고요.

어디가서 나이들어 추례하면 대접 못받느다지만 좀 심한거 같아 짜증이 나요.

도대체 그눔의 잠바는 있던적이 있기나 한지 딸들 중 서울 사는 제게 제일 심하세요.

내일도 옷사러 올라오신다는데 오지 말라고 할수도 없고 미치겠네요.

나이 드시면 좀 신경써야한다고 치면 다른 분들은 얼마나 자주 사시나요?

진정 궁금합니다.

 

IP : 211.108.xxx.182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노인들 옷 욕심
    '14.6.15 9:54 PM (103.244.xxx.34)

    우리 시어머님도 여든 넘으셨는데 지금도 명품 옷이니 가방 사들이세요.

  • 2. ...
    '14.6.15 9:56 PM (180.229.xxx.175)

    그옷이 그옷같다는게 함정~~
    이쁘지도 않던데 무지 비싸더라구요...

  • 3. 왜들
    '14.6.15 9:58 PM (49.1.xxx.220)

    그러실까. 자랑 같지만 저희 시어른들은 나이 드시니 있던 것도 정리 하시고
    단촐하게 뭐든 줄이시고 새거는 거의 사시지도 않으시던데요. 이거 사서 내가 얼마나
    입겠냐고 지금 있는 걸로도 충분 하다시고 소식 하면서 지내시던데 여든이 넘어서 명품이 뭐며
    전 솔직히 진짜 아주 솔직히 말해서 백화점에서 봤는데 나이 여든이라서 손에 검버섯까지 핀
    할머니 팔목에서 지나치게 빛나던 화려한 팔찌가 너무 안 어울리더만요. 저런 건 역시 젊을 때 껴야지
    화려하고 비싼 팔찌 땜에 오히려 늙고 쭈글한 팔이 더 강조되는구나 싶던데 참 인간들 허영이란.

  • 4.
    '14.6.15 10:03 PM (175.118.xxx.248) - 삭제된댓글

    나이드시면서 입던 옷도 다 못 입고 간다고 거의 안 사세요.

  • 5. 원글
    '14.6.15 10:13 PM (211.108.xxx.182)

    그렇게 마음 접으신게 몇살때이신가요?
    지금 칠순이신데 좀더 계시면 접어들까요?
    무엇보다 옷이 없다... 하실때 그 불쌍한듯한 억양이 환청처럼 들립니다.

  • 6. ...
    '14.6.15 10:24 PM (1.247.xxx.201)

    마음이 접어질 문제가 아니지 않나요? 나이들면 더하면 더했지.

  • 7. 부모님께
    '14.6.15 10:25 PM (182.211.xxx.88) - 삭제된댓글

    직접 말하세요...총 400이면 충분히 두분 생활되시니...지금 여기쓴글 그대로 저는 3만원 바지도 못산다고....

  • 8. ,,,
    '14.6.15 10:59 PM (203.229.xxx.62)

    사람 나름이예요.
    평생 그렇게 사셔서 몸에 밴 습관이예요.
    자식들이 죽는 소리 하고 돈 없다고 하고 아예 돈 필요 하다고 도와 달라고 하세요.

  • 9. 너무 심하시네요
    '14.6.16 12:16 AM (58.236.xxx.207)

    400이면 두 분이서 약간 검소하게 사시면 병원비에 여행에 얼마든지 누리며 사실 수 있는 돈이네요

  • 10. 저희..
    '14.6.16 1:55 AM (115.143.xxx.174)

    시어머님처럼 옷사시는분이 또 있군요..
    외출복도 많이사지만..요즘은 또 등산을하셔서..케이투,노페, 코오롱..그런것만 사시대요..
    그리고 샌들에 핸드백은 젊은 딸이나 며느니보다 많구요..
    부럽기도하지만..좀 아꼈으면 하네요..
    자식들은 또 그자식들 가르치느라 여행은커녕 빽하나..티하나사기도힘든데..
    여행은 자꾸 가자고하시고..경비는 효자아들보고 내라고하시고..
    다행히 아직 병원은 안가시는데..

  • 11. ^^
    '14.6.16 5:28 AM (124.54.xxx.166)

    본인 이야기를 어머니께 좀 솔직히 하심이
    노인들 사이에서도
    우리딸이 사줬다고 어디 백화점다녀왔다고
    흘리면서 자랑해야 기가 사시는듯
    어머님 기살려드리려고
    생활비 출혈은 좀
    궁상은 아니어도 당신께 드는 돈의 가치가 어느정도인지 알게하실필요가 있네요

  • 12.
    '14.6.16 9:05 AM (123.228.xxx.40)

    웬만한 사인가족 생활비네요
    어떻게 저 수입으로 옷타령의나올수 있죠?

  • 13. 원글
    '14.6.16 10:18 AM (39.7.xxx.74)

    잠시 오해..
    제게 직접 사달라는건 아니고 당신들 수입을 거기다 쓰니 문제인거에요.
    물론 그로인해 저축 못하고 병원비 여행비는 자식들 부담으로 연결되지요.
    쇼핑하면 대여섯개 아이템 중 하나는 제가 사게 되더군요.ㅠㅜ

    문제는 옷욕심 끝도 없는데 하나 살때도 혼자서 조용히 사질 못하고 자식들 들쑤셔 없다 없다 브랜드 따지고 나이들면 어쩌구..
    지방이라도 크로커다일 레이디스 같은 중저가에서 조용히 못사고 하나살때마다 큰맘먹고 브랜드 사는거처럼 매번 저러시니 미치는거죠.
    지난번에 일반 잠바 샀으면 이번엔 사파리스타일이 없다. 다음엔 바람막이가 없다. 등산잠바가 없다 이런 식이에요.
    그리고 필요하다가 아니라 아줌마들 놀러가는데 입고 갈게 없다.. 남들은 다 갖췄는데 나는 없다 이런 부정적인 방식으로 접근하죠.
    그럼 등산복을 마련했으면 등산 다니며 운동을 하던지 또 수영하는데 자기만 한두개로 돌려입는다고..
    그럼 거기서 사시던지.. 왜 나한테 전화하냐고요.
    그냥 사시라하면 여긴 너무 비싸다..아 미쳐.
    어렸을때도 아버지 월급날 열흘 앞두면 울상으로 징징대던 모습만 생각나요.
    딸이 저만 있는것도 아닌데 다른 자매들은 귀찮으니 서울 누구한테 물어봐. 난 모르겠네.
    한바탕하고 싶네요.

  • 14.
    '14.6.16 4:31 PM (211.58.xxx.49)

    그나마 연금이라도 나오시네요.
    우리엄마도그래요. 최소 20만원 바지... 다른 바지는 엉덩이가 먹는다나...
    나는 그 브랜드만 입는다....
    용돈 매달 드리는거 없다구.. 그야말로 먹고자는거 다 해결해주고 휴대폰요금 내주고 다 하는데 매달 미용실가고, 한번씩 드라이 만원주고 하고 옷사고 돈 없다구... 어디 출근하는것도 아니구..
    전 싸구려도 도배를 하고 다니는데 젊어서는 그리 입어도 되는데 나이먹어서 후줄그레 하면 안된다.
    남들이 다 나를 세련되다고 한다...
    허상에 잡혀 있어요.
    그리고 말해봐야 소용없어요. 아마 저몰래 빚내서라도 살거같아요.

  • 15. 에효
    '14.6.17 3:19 AM (178.190.xxx.161)

    할매들이 명품 들어봤자 쭈그렁 할머니지 ㅉㅉㅉ.
    어떤 할머니는 블로그까지 하면서 명품 옷 산거 자랑하는데
    입은 사진 보면 너무 평범해요.
    본인 눈에는 고급스러워 보일지 몰라도 그냥 등산복 입은 아줌마랑 똑같은 분위기인데...

  • 16. 제가보기엔
    '14.6.17 7:03 AM (114.200.xxx.150)

    원글님에게 하나라도 사달라고 오시는 것 같은데 이참에 끊으시지요.
    아님 같이 우는 소리 해 보세요. 저좀 사달라. 나는 잠바도 없다. 뭐도 없다 그러시고요.
    밑빠진 독에 물붙기 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2659 홍명보가 아니라 축협을 해체해야 하겠구만요. 이런 2014/06/27 1,246
392658 초4남아 입니다. 7 틱이 있습니.. 2014/06/27 1,524
392657 정수기(사무실용)렌탈관련 아시는 분계신가요? 2 섬아씨 2014/06/27 1,093
392656 꼭대기층 집에서 맨날 물을 뿌리는데 이걸 어찌 해야 할까요? 8 답답 2014/06/27 1,797
392655 회사 그만둘건데 가장 고소한 복수방법좀 알려주세요. 34 ... 2014/06/27 22,367
392654 총리인사파동…朴 권위 추락, 국가개조 약속 실종 위기 1 세우실 2014/06/27 1,380
392653 direct, display 단어의 강세가 항상 뒤에 있나요? 1 dd 2014/06/27 1,069
392652 여자아이인데 태권도 시켜도 괜찮을까요? 11 워킹 2014/06/27 3,244
392651 동창땜시 1 밴드 2014/06/27 1,500
392650 인터넷 사진 인화 어디서 하세요? 10 호홋 2014/06/27 1,937
392649 오늘 약수터에서 본 진상녀 68 ........ 2014/06/27 14,503
392648 리코타 치즈와 생모짜렐라 치즈는 같은건가요? 4 궁금 2014/06/27 1,725
392647 냉장고에 2주넘은 수박 버려야할까요? 7 수박 2014/06/27 3,779
392646 아버지 사망 후 자식에게 유산 하나도 안주나요? 30 2014/06/27 11,190
392645 익명의 해양전문가.레이다분석했다네요. 5 .... 2014/06/27 2,937
392644 영악하고 실속있게 사회생활하는 케이스 34 생각이많네 2014/06/27 9,840
392643 여태 겪은 바로는 '시간약속' ... 2014/06/27 1,348
392642 가방뚜껑?에 달리는 말이 있는건 어느 브랜드일까요? 11 궁금 2014/06/27 2,683
392641 우울증 증상인가요? 2 ,,,, 2014/06/27 1,602
392640 김용민 조간브리핑[06.27]"코미디하는 건가".. lowsim.. 2014/06/27 1,215
392639 지금ebs 엄살보는데 1 미치겠다 2014/06/27 1,544
392638 집 매매시 매입자가 보통 몇번 정도까지 집을 보이나요? 7 .... 2014/06/27 2,245
392637 70대 듣는 라디오? 1 궁금 2014/06/27 1,182
392636 김현미 “청와대, ‘세월호 국조’ 자료제출 거부 지침 내려” 6 어처구니 2014/06/27 1,377
392635 양발에 티눈이 있어요 10 어느병원? 2014/06/27 3,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