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곧 나이 50이 되는데요, 바이올린이나 피아노를 배우고 싶어요

............. 조회수 : 4,799
작성일 : 2014-06-03 02:08:16

피아노는 고1까지 체르니40번 앞한 10번까지쳤나 그렇구요, 바이올린은 어렸을때 만돌린 배운게 현악기 전부예요,

바이올린도 집에 있고 피아노도 있는데 사실은 바이올린을 좀 더 배우고 싶은데

아이배우는것 보니 소리내는게 너무 오래걸려서 -그 영혼을 갉아먹는소리에 -피아노를 다시하는게 나을까요?

전공자나 배우신분 조언해주세요

IP : 27.1.xxx.11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ㅁ
    '14.6.3 2:20 AM (58.236.xxx.69)

    저도 조카가 피아노 배우는데...조카가 살짝 가르쳐주는데 배우고 싶더라고요. 음감이 좀 있어서..

  • 2. 멋있으시네요
    '14.6.3 3:21 AM (182.226.xxx.38)

    바이올린 하세요
    더 하고싶은 걸 하세요
    밥벌이 때문에 전공을 전망보고 결정해야 할 상황도 아니고
    마침 악기도 다 있고...
    레슨비는 차이나겠지만요
    더 하고싶은게 바이올린이라면
    다른걸해도 결국 바이올린 할까말까하는 고민은 안 사라져요
    일단 해보고 아니다 싶으면 피아노로 바꾸세요

  • 3. ..
    '14.6.3 3:32 AM (180.230.xxx.83)

    저와 나이도 비슷 하시네요
    전 작년부터 바이올린 배우고 있어요
    노년을 위해서. ㅋ
    문화센타에 1주일에 1번씩 다니고 있어요
    악기는 첨이고요
    원글님은 피아노도 하셨다니 훨씬 잘 하시겠네요

  • 4. ~~
    '14.6.3 5:06 AM (58.140.xxx.106)

    비이올린 소리가 부담되시면 첼로는 어떠세요? 처음에는 그리 비싼 악기 아니어도 될텐데요. 빌려주는 데가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저도 나이 먹을수록 저음악기가 좋더군요^^

  • 5. ....
    '14.6.3 6:56 AM (203.90.xxx.140)

    국악기는 어떠세요? 가야금 배우는데 잼있어요. 노년엔 국악기가 더 잘어울릴거같아요~

  • 6. ...
    '14.6.3 7:03 AM (24.86.xxx.67)

    영원을 갉아먹는 소리. ㅎㅎㅎ 넘 재미있으신. 멋지세요. 하시고 싶은 걸고 배우시라고 추천해드리고 싶어요 =) 초등학교 (저 땐 국민학교) 때 현악부 제1 바이올린 이였는데, 생각 만큼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을꺼에요. 피아노도 하셨고 좀 음감 있으시면요. 화이팅~

  • 7. 조심스럽게
    '14.6.3 7:14 AM (124.50.xxx.26)

    10년간 돈과 시간을 들일 것 아니면 웬만하면 바이올린은 시작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냥 들었을 때 '괜찮네' 정도 소리를 내기 위하여 그 정도 걸립니다. ㅜㅜ
    저도 피아노는 3, 4년 만에 대강 CD에 나오는 것 흉내도 내고 했어요(진도가 빨랐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바이올린은 들어줄 만한 소리 내는 것만도 정말 너무 힘듭니다 ㅠㅠ


    이상 20년+ 바이올린을 취미로 하는 경험자

  • 8. 조심스럽게
    '14.6.3 7:14 AM (124.50.xxx.26)

    참, 악기도 피아노보다 훨씬 더 비싸요. 그리고 악기 에 따른 소리 차이가 극명합니다.

  • 9. 으흠
    '14.6.3 7:49 AM (175.223.xxx.30)

    전 바이올린 한표요..
    성인되어서 시작했는데 남에게 들려줄 정도의 실력갖추기가 어려운건 맞지만 스스로의 만족과 행복감이 커요..어려운만큼 성장의 기쁨을 오래 느낄 수 있기도 하구요. 2년 가까이 되어가는데 꾸준히 제 인생의 기쁨입니다

  • 10. ...
    '14.6.3 7:59 AM (203.90.xxx.140)

    나이들어 하는 악기는 그야말로 취미자나요...?
    집중할수있고..악기를 배우므로써 얻어지는것도 상당히 많아요.
    새로운 세계에 눈을 뜬다고나할까..?
    10여년이 걸리던..그런거 신경쓰지말고 해보세요.
    처음엔 조금 투자해서 배우세요. 주법이 중요하더라구요. 처음에 잘 배워놓아야 나중에 고칠 일 없어요.
    그리고나서는 사람들 사귀면서 배우세요. 문화센터,이런데도 좋구요. 화이팅!
    그런데 국악기가 더 좋은데...ㅎㅎ

  • 11. morning
    '14.6.3 8:07 AM (119.203.xxx.233)

    저도 고2까지 피아노 배우다가 그만 두고, 거의 30년 만에 다시 피아노 배우기 시작했는데 너무 좋아요 (올해 49세입니다). 30년이 엊그제 같다면 좀 과장이겠지만 옛날 생각도 나고, 연습도 신나서 하고요. 피아노를 배운다는 것 외에도 여러가지 정서적 안정과 기쁨을 가져다 주는 것 같습니다.
    꼭 권해드려요!

  • 12. ..
    '14.6.3 8:30 AM (116.121.xxx.197)

    피아노는 다시하면 한달내로 다시 예전의 감을 잡으실거에요.

  • 13. ...
    '14.6.3 8:33 AM (180.229.xxx.175)

    저도 조만간 다시 시작하려구요...

  • 14. ...
    '14.6.3 9:04 AM (183.109.xxx.150)

    피아노나 첼로하세요
    바이얼린은 서서 해야하고 팔도 아파보이고
    나이가 있으신분들은 피아노나 첼로가 오래할수 있는것 같아요

  • 15. 우쿠렐레
    '14.6.3 9:19 AM (14.40.xxx.1)

    47살에 우쿠렐레 문화센터에서 9개월째 배우고 있어요.. 악기도 작고 배우기 쉬워서 이제 쉬운 가요는 반주 가능하구요 조금씩 어려운 곡 치고 있어 너무 재미나요.. 현악기의 매력 그대로 가지면서 소리도 그리 크지 않아 집에서 연습하기도 무리 없고 좋네요... 유투브 들어가서 동영상으로 연주하는 것들 찾아 보세요, 아주 매력적인 악기에요..

  • 16. 샬랄라
    '14.6.3 10:34 AM (121.124.xxx.163)

    파가니니: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

    사월에 개봉한 영화에요. 지금은 안할 것 같은데 dvd 나오면 한 번 보세요.

  • 17. 오...
    '14.6.3 4:01 PM (218.234.xxx.109)

    저하고 비슷하셔서 그냥 댓글 남겨요. 저도 어릴 때 피아노 한 4년 배우고 대학교 때 만돌린 동아리를 했어요.
    (열심히는 안했지만..)

    그리고 바이올린 배우고 싶어하는 낼 모레글피에 50되는 아줌마에요. = 만돌린하고 바이올린이 현의 코드가 같으니까 좀 빨리 되지 않을까 싶네요.
    (만돌린을 다시 할까도 생각해봤는데 이젠 배가 많이 나와서 만돌린이 튕겨나갈 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7063 남한강변따라 자전거길 정말 환상적이네요. 4 자전거 2014/06/06 2,693
387062 며칠방황하다 여기오니 힐링돼요 5 힘내자 2014/06/06 1,290
387061 무효표가 많은 이유중 하나 알았어요! 7 bluebe.. 2014/06/06 3,440
387060 김어준 kfc11회 박원순 조희연은 출연안했나요? 3 kfc 2014/06/06 3,215
387059 미디어 토크(6/6) - "朴 대통령, KBS 김용진.. lowsim.. 2014/06/06 1,346
387058 글 내렸습니다. 10 ... 2014/06/06 1,484
387057 요즘 안희정님이 hot!하네요 3 2014/06/06 3,153
387056 일본은 앞으로 얼마나많은 소아암환자가 발생하길레... 8 。。 2014/06/06 3,121
387055 저 몽즙 분류기 멈추게 한 여자에요. 80 //// 2014/06/06 12,412
387054 이윤성..홍지호 29 질문 2014/06/06 21,986
387053 댓글에 가슴이 벌렁벌렁 합니다. 34 ... 2014/06/06 6,838
387052 내가 아는 이광재에 대해... 18 어느가을날 2014/06/06 3,672
387051 지갑잃어버린꿈 그것도 연달아 3 겨울 2014/06/06 2,514
387050 이럴 경우 어떻게 하는게 현명할까요. 4 ㅊ초5 2014/06/06 1,309
387049 결혼 정보회사의 재혼남? 7 고민 2014/06/06 3,535
387048 장롱(가구)에 지폐를 붙이는 행위는 어떤 이유로 하는건가요? 1 미신 2014/06/06 1,391
387047 서른 후반.. 평생을 할 운동이 뭐가 좋을까요? 17 운동 2014/06/06 6,313
387046 보수에 가까운 내가 진보교육감을 뽑은 이유 /펌 9 진짜있었을듯.. 2014/06/06 2,417
387045 언론개혁프로젝트가 많이 힘드네요... 7 추억만이 2014/06/06 1,184
387044 마른오징어 물에 몇시간 정도 불리나요? 2 부침개 2014/06/06 2,053
387043 일반글) 남편에게 맞은 기억은 지워지지 않나요? 13 언제쯤 2014/06/06 3,376
387042 전년 대비 국세 수입 실적- 법인세 2조천 , 근로소득세 +2조.. 참맛 2014/06/06 1,172
387041 마트에서 파는 자장면 맛있는거 추천요! 17 그네하야 2014/06/06 3,713
387040 퇴직연금제도 잘 아시는 분 조언 부탁드려요! 2 노후가 중요.. 2014/06/06 1,266
387039 안양시장 재검해서 새누리됫다는데 경기 부산 뭐하나요 3 새누리는가능.. 2014/06/06 2,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