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통진당 사태 글 물어보셨던 초보맘님!, 여전히 계세요?

에고 조회수 : 484
작성일 : 2014-05-29 10:30:32
님이 궁금해 하셨던 부분에 대한 거의 수필 수준의 글을 썼는데 
혹시 아직도 궁금하시면 알려주세요.
아마 황당한 첫 댓글 때문에 쑥쓰러우셔서 지우신 것 같은데 말이죠.
IP : 173.52.xxx.2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초보맘
    '14.5.29 10:40 AM (211.36.xxx.213) - 삭제된댓글

    찾아서 읽어보겠습니다.^^
    탱자님이 댓글을 주셔서 지웠어요.ㅜㅜ

  • 2. ..
    '14.5.29 10:43 AM (121.160.xxx.196)

    제3자지만 저도 읽어보고 싶습니다

  • 3. 에고
    '14.5.29 10:44 AM (173.52.xxx.28)

    그냥 생각나고 기억나는 대로 적어보았습니다.

    -------

    아시다시피 우리 역사가 참 힘들었잖아요?
    우선 70년 전태일 열사의 분신과 80년 광주민중항쟁이 지식인들에게는 큰 영향을 끼칩니다.
    전태일 열사가 그 일본식 한자가 섞인데다 이해하기 어렵게 해 놓은 근로기준법을 국졸인 분이
    독파하는 데 얼마나 힘들었겠습니까? 그래서 열사의 일기에 '대학생 친구가 있었으면'하셨겠죠.
    열사의 분신 이후 많은 지식인들이 노동현장에 투신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 외에 많은 종교계도
    관심과 운동을 하게되었습니다. 물론 박정희 정권의 폭압적 독재가 그 자양분(?)이 되었겠지요.
    그러다 박정희가 재규에 의해 죽고나자 '서울의 봄'이 찾아들고 많은 사람들이 민주화에 대한
    꿈을 갖게 됩니다. 각지에서 시위가 일어나고 특히 서울에선 학생들을 중심으로 연일 시위가
    일어났죠. 전두환에 대한 정보도 알고 있었던 시위대 내에선 서울역 시위를 두고 내분이 일어납니다.
    '밀어붙이자' 와 '쿠데타 기회를 줄 수 있다'. 결국 회군이 이루어지고 난 그 날 이후 대규모 검거 사태가
    이루어졌고 유일하게 그거를 거부하고 지속적으로 시위를 했던 광주에서 항쟁이 이루어집니다.
    아시다시피 광주에선 무수한 사람들이 전두환 신군부와 맞서다 죽음을 맞습니다.

    이것이 역사적 배경입니다.

    전태일 열사의 분신 이후 많은 지식인들의 고뇌와 현장투신은 주로 노동조건 개선이나 노동조합
    지원에 머물렀던 측면이 많았죠. 그렇지만 박정희 독재정권은 그것마저 허용할 수 없는 노동집약, 노동착취적
    경제성장에 기인했으므로 조그만 시위도 정권자체에 대한 도전이 될 수위까지 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광주는 또 다른 의미를 가져옵니다.
    이들이 공수부대와 탱크까지 동원해서 무고한 국민을 학살한 겁니다.

    단순한 저항수준의 행동만으로는 이 연속적인 독재 정권을 종식시키는 건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널리 퍼질 수 밖에 없었죠.
    게다가 이들에겐 서울역 회군이라는 뼈아픈 아픔이 있었고.

    여기저기서 이렇게 해야 된다, 저렇게 해야된다 논의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광주때 미국은 무엇을 했는가, 분명 광주시민들도 미 항공모함이 왔다는 소식에 기뻐했더랬는데.....
    미국은 우리에게 과연 우방인가, 아니면 우리는 여전히 식민지를 벗어나지 못한 것인가, 일제에서 미제로....
    그러면서 민족주의 자각이 일게 되었고 그것이 하나의 흐름이 되어갔죠.
    그러다보니 이승만부터 박정희로 이어진 독재정권에 대한 혐오.
    반대로 꿋꿋하게 민족적 자긍심(?)을 이어온 북한에 대한 관심이 어느 순간 주체사상을 받아들이게 되는 것까지 발전하게 됩니다. 흔히 말하는 NL입니다.

  • 4. 초보맘
    '14.5.29 10:49 AM (211.36.xxx.213) - 삭제된댓글

    저는 아까 통진당 댓글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군요.
    NL하고 PD는 많이 들어봤는데 내용은 몰랐었어요.

  • 5. ...
    '14.5.29 11:06 AM (14.36.xxx.58)

    더 자세히 풀어주실 분 안계신가요?
    NL에 대해서 막연하게만 알았었어요

  • 6. 에고
    '14.5.29 11:17 AM (173.52.xxx.28)

    제가 알려드리는 건 대략적인 그림이므로 제가 실수하는 부분이 틀림없이 있을 것니다.
    큰 흐름만 살피다보니....
    확실하게 아시는 분들이 교정 내지 보충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
    이런 흐름에 반발해 PD, 민중민주주의 흐름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민족해방을 교조로 삼았던 NL과는 다르게.
    이들은 남한 민중 주체의 혁명을 꿈꾸는 이론으로 무장하기 시작합니다.
    그렇지만 당시 군부독재였기에 일단 민주주의 회복은 공통된 주제이자 목표였습니다.
    그 각론으로 들어가면 많은 차이가 있지만요.

    이들의 주된 구호가 '민중의 독자적 정치세력화' 였죠.
    왜냐하면 엔엘 세력들은 당시의 야당에 대한 비판적 지지를 줄곧 주장했었거든요.
    참 87년 대선도 언급을 안할 수 없군요.
    비판적 지지론은 김대중 후보에 대한 흐름으로 모아졌고, 일부는 민중의 독자후보 백기완을 추대했죠.

    독자적 정치세력화를 꿈꾸던 세력들은 권영길 후보를 국민승리 21로 또 한 번 시도해 보았지만,
    연합체 성격 말고 정당이 없으면 안된다는 판단에 결국 당을 만듭니다.

    여기에서부터 문제가 발생합니다.
    민주노동당이 만들어진 이후 줄곧 비판적 지지라는 전술에 얽매여
    있던 세력들이 대거 들어옵니다. 거짓 당원서까지 만들어서....

    어느 순간 쪽수에서 이긴 세력들이 창당주도 세력들을 밀어내기 시작하기 시작하고
    그 '일심회' 사건이 발생합니다. 민주노동당 내부 당원이 북한에 정보를 주었다는 의혹.
    당풍 쇄신 운동이 일어나고 심상정 의원이 위원장이 되어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는데.
    이 때 그 유명한 '종북'이라는 말이 생깁니다.
    새누리 애들이 항상 하는 말이 여기서 생기는 겁니다. 우리가 아니라 너네들이 만들었다는.....

    결국 민주노동당은 분당하게 되는데...

    최근 일이다보니 아시겠지만,
    다시 유시민으로 대표되는 참여당계를 포함하면서 분당세력까지 모두 함께 모여서 만든 게
    통합진보당입니다.
    겁니다.

    이 과정에서 님도 보셨을 선거과정 및 중앙위 문제가 발생하면서 결국 당 해체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통합진보당, 정의당으로 남은 겁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통합진보당에 대해 의문을 갖기 시작한 시점이, 그것도 아주 크게
    이 때부터겠지요.

    ---
    제가 능력이 짧아서이고 하고, 기나긴 역사를 정리하려다 보니 어렵기도 하네요.
    다른 분들의 도움이 있겠지요?

  • 7. . .
    '14.5.29 11:43 AM (115.143.xxx.179)

    진보신당 .민주 노동당. 참여당이 만든것이 통진당. .
    비례국회의원 부정선거로 진보신당계열과 참여당계열이 탈당했죠. . 진보신당은 지금 노동당으로 . 참여계열쪽은 정의당으로 갈라져나왔습니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4308 몽즙 전철은 타봤는가? 5 으이그 2014/06/01 1,499
384307 이 시국에 수십억 원격의료시범사업 강행? 왜? 2 시계는간다... 2014/06/01 1,220
384306 전국각시도교육감 여론조사결과 정리해놨습니다 꼭 읽어보세요 1 집배원 2014/06/01 1,494
384305 급~ 한국 방문 2 kys 2014/06/01 1,009
384304 프랜차이즈 맛있는 빙수집 어딘가요? 7 빙수 2014/06/01 2,035
384303 고승덕 딸이 한겨레랑 인터뷰했네요 20 뉴욕아줌마 2014/06/01 11,651
384302 경기일보라는 신문 받으신 분 없으세요? 3 ㅇㅇ 2014/06/01 644
384301 2014년 5월 31일 세월호 진상조사 특별법 촉구 집회 샷 1 우리는 2014/06/01 1,039
384300 일일 청소원 했던 정몽준 후보 정작 미화원 권리찾기 현장은 외면.. 2 샬랄라 2014/06/01 2,255
384299 지혜의 말씀 부탁드립니다. 도난사건 입니다. 11 지혜 2014/06/01 2,492
384298 지나치게 객관적이고 냉정한건 자존감 때문일까요? 2 있잖아요 2014/06/01 2,323
384297 라꾸라꾸 침대 써 보신 분 계세요? 5 꼭 침대 필.. 2014/06/01 2,939
384296 이상해요 농약급식 감사원 조사결과 기사가 별로 없어요 4 slsksh.. 2014/06/01 1,133
384295 오늘도 실종자분들 이름 하나하나 불러봅니다 6 기다림 2014/06/01 766
384294 박태준. . . 3 허럴럴 2014/06/01 4,992
384293 아직 도망못가고 오늘밤 도망나왔어요. 53 너무 죄송합.. 2014/06/01 12,960
384292 "외신들이 묻습니다. 어떻게 대통령을 유지할 수 있냐고.. 7 샬랄라 2014/06/01 3,268
384291 발톱모양이 이상해서 검색을 해봤는데.... 2 철분제 2014/06/01 2,542
384290 정몽준은 아들이 발목을 잡고, 고승덕은 딸이 발목을 잡고.. 14 집안단속 2014/06/01 4,296
384289 캔디 라는 이름이요... 11 .. 2014/06/01 9,265
384288 조희연교육감 후보의 아들의 글이 올라와 있네요 5 서울시교육감.. 2014/06/01 3,764
384287 에어컨 선택에 있어 도움부탁 드립니다~ 3 두둥맘 2014/05/31 1,056
384286 박원순 "서울을 완전히 바꾸겠다"..배낭 행보.. 2 샬랄라 2014/05/31 1,799
384285 세월호 관련 49제 언제? 2 추모 2014/05/31 1,414
384284 가정폭력 어찌할가요 24 답이없어요 2014/05/31 5,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