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펌]이종인과 다이빙벨.

세월호 조회수 : 2,004
작성일 : 2014-05-07 18:28:10

이종인과 다이빙벨.

 

언론은 이 사안을 "이종인의 다이빙벨 논란"으로 취급하길 원한다.


여기에서 "논란"이라는 말은 한쪽 의견의 불리함을 결론짓지 않음으로써 반대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와지는것을 의미한다.

 

이 사안은 논란의 대상도 아니며, 이종인과 다이빙벨을 묶어서도 안되는 개념이다.

 


다이빙벨은 구조 장치가 아님에도 결국 구조의 만능 치료제로 어느순간 변하고 노출된다.
다이빙벨은 이종인의 전유물도 아니고 특허품도 아니다.

수많은 나라에서 잠수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곳이라면 늘상 쓰여왔던 평범한 도움 요소일뿐이다.

 


 그것은 그저 다이빙슈트나 산소탱크처럼 잠수의 보조 기구이지 인명구조를 실제 행할수 있는 첨단 기계가 아닌것이다.


그저 이종인이라는 전문가가 직접 말했다고 그와 직접적으로 엮어 가는건 누군가의 바램일뿐이다.

 

"조류에 상관없이 20시간 연속 작업 가능하다"
이말을 20시간 동안 사람을 구하며 돌아다닐수 있다고 믿게 만드는 사람은 누구며, 그렇게 믿어지는 대상은 누구일까를 생각하면 모든게 간단해 진다.


 역설과 왜곡은 이렇게 탄생하고, 그 왜곡은 단편적 지식속에서 단단한 진실로 재 탄생 된다.

 

 

다이빙벨을 사용하기 위한 몇가지의 전제가 있다는걸 생각지도 않고 성공 실패를 논하는 사람들에게....
고정장치, 파도, 잠수사의 공급,
이 세가지는 무조건 필요한 필수조건이다.
언딘은 고정장치(앵커) 설치를 방해하고,
날씨는 크레인이 다이빙벨에 적당한 에어포켓 생성을 방해하고,
해경은 민간잠수사를 철수시켜 교대인력 충원을 방해 했다.


그리고 이 모든건 인위적 위험이 없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종인의 다이빙벨은 조류관계없이 잠수사를 물밑까지 안전히 실어 나르고 잠수에 충분히 도움을 주었고,

별다른 장치없이도 감압과정을 거쳐 잠수사가 상쾌하게 수면 위로 올라오는 과정을 생중계로 보여 주었다.


 성공적인 다이빙벨의 운용이었다.

 

 

 

왜 그는 한시간의 수색만에 "실패"라는 단어를 사용하였을까.
첫번째 자발적 출항에서 몇날몇일 대기만하고 반대에 부딪혀 돌아왔지만 실종자가족의 호소에 다시한번 사고지로 출항했다.

 

 


출항당시 위해의 첩보가 있었고 두려움에 떨고 있었다.

하지만 실종자 가족의 아픔을 뒤로 할수도 없는 일이었다.

 

결국 다이빙벨은 교대 잠수사를 지원 받지도 못했고, 해경으로부터 생명의 위협까지 받았으니 철수는 당연한 결과였다.


실패가 아니라 생명보전을 위한 후퇴였다.

 

이상황에서 솔로몬의 지혜만큼이나 성스러운 결정을 했고 그의 결정에 경의를 표한다. 자신의 명예와 의혹보다 실종자를 어루만졌던 그의 마지막 대답 "실패"는 진정한 구조가 무엇인지를 말해준다.
 

 


"못구했으니까 실패한거 아니냐...."
그의 말이 잊혀지지 않는다.

 


이미 열흘 넘게 지난 침몰한 배에서 한시간의 작업만에 할수 있는 말은 아니었지만, 그말을 하지 않으면 끝나지 않는 전쟁이었기에.

 

 

민간잠수사, 119, 해군, 일본, 미국, 이모든 도움을 거절한 해경이 이종인의 성공을 바랬을까?

 

 

 

보수 찌리시 뉴데일리의 윤** 기자가 이종인대표에게 던진 쓰레기같은 질문은 이 사안이 어떻게 국민에게 각인 되기를 바라는지 정부와 해경의 심정이 투영되어 있다.

 

이종인과 다이빙벨이 분리 되어선 안되는 그들의 심정을 알수 있는것이다.

 

 


 다이빙벨 자체의 유용성과 효용성이 입증된다면,
처음부터 사용을 고려하지 않은것에 대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한다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책임을 면하기 위해서는 무용성을 입증해야 하지만, 결과는 성공적이었고, 이 결과는 또 다른 싸움의 시작이 된다.

 


결과를 뒤 엎기위한 유일한 방법은 인명구조와 다이빙벨 자체의 효용성을 묶어 전체의 실패로 바꾸는것이고, 그것이 가장 쉬운 왜곡이기 때문이다.

 

 

 

이종인의 쓸쓸한 퇴장은 예견되어 있었다.

 

다이빙벨은 유용했고, 이종인은 용감했다.

 

 

 

 

IP : 175.195.xxx.23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흠....
    '14.5.7 6:30 PM (58.228.xxx.56)

    그러니 송옥숙씨 씨에프좀 찍으세요!
    팍팍 사드릴께요!

  • 2. 82
    '14.5.7 6:33 PM (121.188.xxx.121)

    또 하나의 아픈 진실이 이렇게 역사속으로 묻혀가네요...

  • 3. ᆞᆞᆞ
    '14.5.7 6:34 PM (180.66.xxx.197)

    존경합니다. 대표님.

  • 4. 존경합니다
    '14.5.7 6:47 PM (203.230.xxx.2)

    저도 존경합니다...그래도 앞으로는 좋은 일들만 있으시길 바래요..대표님이 계셔서..든든했습니다...

  • 5. ...
    '14.5.7 6:52 PM (218.147.xxx.206)

    고귀한 생명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신 그 진심을 우린 믿습니다.

  • 6. ...
    '14.5.7 7:16 PM (110.15.xxx.54)

    고귀한 생명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신 그 진심을 우린 믿습니다. 2222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1627 펌) 실리콘 밸리 세월호 시위, 까스통 할배, 신문뉴스 2 ... 2014/05/20 1,610
381626 우리도 이렇게 훌륭한 대통령을 가진 적이 있습니다 6 조작국가 2014/05/20 1,784
381625 팩트티비 생방송 중입니다. 5 2014/05/20 1,662
381624 유족 변호사가 의심스러워요. 36 어우 열받아.. 2014/05/20 13,235
381623 연기하느라 힘들었을텐데 불법사찰로 말아먹네요.. 5 ... 2014/05/20 1,704
381622 안산단원서 형사들 유족 '사찰' 물의 바람의이야기.. 2014/05/20 1,519
381621 박근혜 정부 수첩인사는 그야말로 대명사군요. 5 참맛 2014/05/20 1,382
381620 97년 생들은 굉장히 얌전하단 말듣지 않던가요? 7 .... 2014/05/20 2,664
381619 단원경찰서 다음 실시간이슈 1위 2 과잉충성 2014/05/20 1,765
381618 지금 팩트 티비 유가족 분들 너무 답답해요.. 29 viru95.. 2014/05/20 8,767
381617 경기지방경찰청장이 나쁜 의도로 따라간 게 아니라서 불법미행 사찰.. 6 이해가나? 2014/05/20 1,704
381616 미개한 영국인들의 시위현장 6 미개 2014/05/20 2,490
381615 돌아오면 2 ... 2014/05/20 1,114
381614 유가족 미행 사찰 핵폭탄 뇌관이 되고있어요 65 조작국가 2014/05/20 9,562
381613 체르노빌 원전사고 피폭 치료 열매 아로니아베리..KFC후원사 9 이쯤에서 K.. 2014/05/20 3,740
381612 팩트티비 보세요..사찰하던 사복경찰 잡았어요 6 팩트 2014/05/20 2,224
381611 남자친구랑 싸웠는데 제가 억지를 부리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9 withpe.. 2014/05/20 2,988
381610 '긴급 기자 회견문'세월호 실종자 가족일동 5 저녁숲 2014/05/20 1,923
381609 밑에 국회의원 청원 메일 ... 2014/05/20 791
381608 삶의 불확실성으로 힘들군요 3 2014/05/20 1,755
381607 82횐님들 어제 시위 현장 사진이에요. 4 8282 2014/05/20 2,134
381606 선거포스터에 관해서 원순씨 선거캠프에 전화해주세요. 7 선거 2014/05/20 1,505
381605 긴급 생중계 - 유가족 불법미행 사복경찰에게 다그치는 중.. 8 lowsim.. 2014/05/20 1,977
381604 서울의 원순씨가 안 부러운 이유.. 16 투표합시다 2014/05/19 3,372
381603 부산시장 선거외 부산지역 선거중 또하나의 야권 집중 포인트 4 따뜻하기 2014/05/19 1,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