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유통 100개 품목 조사
납·6가크롬 등 발암물질… 접착·코팅제서 유출된 듯
서울 봉천동에 사는 주부 유미영(40)씨는 가족 건강을 위해 주방에서 쓰는 용기나 기구를 친환경 제품으로 바꾸고 있다. 환경호르몬이 검출될 우려가 있는 플라스틱 대신 나무나 유리, 도자기로 만든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다. 유씨처럼 ‘자연재료’에 가까운 나무로 만든 제품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실제 분석 결과 ‘친환경’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드러났다.
3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대형유통업체와 백화점, 재래시장, 인터넷 상거래 등을 통해 수거한 목재류 50품목과 가공목재류 50품목에 대한 조사 결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다량 검출됐다.
조사 대상 목재류는 원목에 가공처리를 하지 않았거나 옻칠을 한 수저 등의 제품이다. 가공 목재류는 접착제와 코팅제를 사용해 가공한 제품으로 도마, 뒤지개, 볼(Bowl), 국자 등이다.
분석 결과 중국산 조리스푼과 태국산 국자 등의 나무 재질에서 납과 6가크롬 등의 중금속이 검출됐다. 베트남산 볼에서는 납이 다른 제품 검출치의 수십배나 나왔다. 1급 발암물질인 6가크롬은 목재류 48%와 가공목재류의 64%의 제품에서 검출됐다.
보고서는 “오염된 토양에서 자란 목재에 의한 영향이거나, 방부제·접착제·코팅제 등에 있던 유해 중금속이 제품에서 검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현재 식품 용기·기구 중 합성수지제 등에 대해서는 잔류시험의 중금속 기준치가 있지만 목재류는 없다.
특히 음식이 닿았을 때 나무 제품에서 녹아 나오는 유해물질 양이 매우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물과 초산 등 식품유사 용액에 제품을 닿게 한 뒤 용액을 증발시키고 남은 증발잔류물은 그 안에 중금속이나 유해한 화학물질이 있을 가능성이 커 중요한 지표가 된다.
목재류에 대한 기준은 없지만 합성수지제의 30㎎/ℓ를 기준으로 했을 때, 중국산 젓가락과 한국산 볼 등 모두 65품목이 기준치를 넘어섰고, 중국산 소나무 도마는 27배까지 초과했다. 연구팀은 “잔류물의 주요 성분은 코팅제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또 다른 안전성 지표인 과망간산칼륨 소비량은 나무 제품에서 유기물질이 많이 녹아 나올수록 증가한다. 유기물질이 많을수록 썩거나 변질할 위험성이 크다. 합성수지제의 10㎎/ℓ를 기준으로 했을 때 총 42품목이 기준치를 넘겼다.
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목재를 가공하는 동안 다양한 화학물질들이 사용된다”면서 “이 물질들이 소비자의 안전에 위해가 되지 않도록 기준과 규격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종=윤지희 기자 phhi@segye.com
납·6가크롬 등 발암물질… 접착·코팅제서 유출된 듯
서울 봉천동에 사는 주부 유미영(40)씨는 가족 건강을 위해 주방에서 쓰는 용기나 기구를 친환경 제품으로 바꾸고 있다. 환경호르몬이 검출될 우려가 있는 플라스틱 대신 나무나 유리, 도자기로 만든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다. 유씨처럼 ‘자연재료’에 가까운 나무로 만든 제품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실제 분석 결과 ‘친환경’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드러났다.
3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대형유통업체와 백화점, 재래시장, 인터넷 상거래 등을 통해 수거한 목재류 50품목과 가공목재류 50품목에 대한 조사 결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다량 검출됐다.
조사 대상 목재류는 원목에 가공처리를 하지 않았거나 옻칠을 한 수저 등의 제품이다. 가공 목재류는 접착제와 코팅제를 사용해 가공한 제품으로 도마, 뒤지개, 볼(Bowl), 국자 등이다.
분석 결과 중국산 조리스푼과 태국산 국자 등의 나무 재질에서 납과 6가크롬 등의 중금속이 검출됐다. 베트남산 볼에서는 납이 다른 제품 검출치의 수십배나 나왔다. 1급 발암물질인 6가크롬은 목재류 48%와 가공목재류의 64%의 제품에서 검출됐다.
보고서는 “오염된 토양에서 자란 목재에 의한 영향이거나, 방부제·접착제·코팅제 등에 있던 유해 중금속이 제품에서 검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현재 식품 용기·기구 중 합성수지제 등에 대해서는 잔류시험의 중금속 기준치가 있지만 목재류는 없다.
특히 음식이 닿았을 때 나무 제품에서 녹아 나오는 유해물질 양이 매우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물과 초산 등 식품유사 용액에 제품을 닿게 한 뒤 용액을 증발시키고 남은 증발잔류물은 그 안에 중금속이나 유해한 화학물질이 있을 가능성이 커 중요한 지표가 된다.
목재류에 대한 기준은 없지만 합성수지제의 30㎎/ℓ를 기준으로 했을 때, 중국산 젓가락과 한국산 볼 등 모두 65품목이 기준치를 넘어섰고, 중국산 소나무 도마는 27배까지 초과했다. 연구팀은 “잔류물의 주요 성분은 코팅제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또 다른 안전성 지표인 과망간산칼륨 소비량은 나무 제품에서 유기물질이 많이 녹아 나올수록 증가한다. 유기물질이 많을수록 썩거나 변질할 위험성이 크다. 합성수지제의 10㎎/ℓ를 기준으로 했을 때 총 42품목이 기준치를 넘겼다.
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목재를 가공하는 동안 다양한 화학물질들이 사용된다”면서 “이 물질들이 소비자의 안전에 위해가 되지 않도록 기준과 규격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종=윤지희 기자 phhi@segye.com
-------------------------------------------------------------------------------------------------
주방용품 무서워서 살게 없다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