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성종은 어떻게 왕이 된건가요?

질문 조회수 : 3,356
작성일 : 2014-04-02 19:57:56
세조가 쿠테타 일으키고 나서 
왕권을 잡고 나서 첫아들을 세자로 책봉하는데 
일찍 죽잖아요 스므살때....그 첫째 아들이 
아들둘을 남기고 죽는데
첫째 아들의 둘째 아들이 훗날의 성종이 되구요.
세자책봉되었지만, 죽었다면 그 부인을 비롯해 그 자손들은 
사약을 받아 정치적정란의 씨를 말리기에 충분했을텐데
그 아들이 성종이 되요.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가 
여자이면서도 굉장히 모략가이고 정치적 야욕이 넘쳤던것 같아요.
성종이 왕이 될수있었던 계기가 뭔가요?
정치판에서 더구나 
조선시대................. 왕의 친족들은 언제든지 살육당할것을 면치못할 위험에 처해있는 
상황에서 
남편도 죽었는데 그 아들을 왕으로 만든 인수대비의 묘략은 무엇이었나요?

IP : 180.182.xxx.17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병으로 죽은거
    '14.4.2 8:05 PM (1.251.xxx.35)

    아닌가요....? 확실하진 않구요.

  • 2. ..
    '14.4.2 8:09 PM (223.62.xxx.58)

    성종의 장인이 당시 일인자인 한명회였던 것도 한몫 했죠

  • 3.
    '14.4.2 8:13 PM (121.167.xxx.103)

    예종은 아들 제안대군은 어렸고 이후로도 멍청하기로 유멍한 인물입니다. 게다가 성격도 이상한지 나중에 연산군을 부추겨 각종 기행을 저지르게 만들죠. 예종의 일찍 죽은 형 덕종의 아들은 월산대군과 자을산대군이 있었는데 자을산 대군 장인이 한명회이고 그가 인수대비랑 모종의 딜이 있었다고들 보지요. 월산대군은 불만이 좀 있었는데 대신 다른 보상을 좀 주었다고 하는데, 문제는 그 부인이 연산군에게 겁탈당하면서 죽어서 치욕을 당하죠. 연산군이 찔렸는지 월산대군 묘에 기둥을 박기까지 했다니 왕이 되지도 못한 것도 서러운데 참 죽어서도 눈을 못 감았을 것 같아요.

  • 4. ..
    '14.4.2 8:15 PM (121.190.xxx.46)

    그당시 정치실세
    한명회의 딸이 자을산군(성종)에게 시집가있는 상태였거든요

    한명회와 인수대비가 모의해서 억지로 만든왕인것으로 알아요
    인수대비는
    아들중 장남(월산대군),말고 둘째아들 자을산군(성종)을 선택해요

  • 5. 까칠마눌
    '14.4.2 8:17 PM (139.193.xxx.158)

    조선의 8 대 왕 예종은 제안대군이란 아들을 하나 남기고 죽습니다. 예종이 죽을 강시 제안대군른 돌쟁이였고 성종이 된 자산군은 8 세 였디요. 이런저런 상황으로 조합할 때 첫째인 월산(대)군은 세조의 사가시절 태어난 손자이고 차남인 자산군(또는 자을산군)은 세조가 왕이 된 후 인수대비의 남편이 세자의 자리에 있을 때 태어난 아들 이었고요. 그런 출생배경도 작용을 했고, 한명회의 딸이었는지 손녀 였는지를 자산군의 아내로 맞이하여 정치적 뒷배를 마련해 줍니다.
    세종때 강력한 왕권 집중형 정치 형태가 세조의 쿠테타 때 신하들에게 권력이 많이 누수된 것과도 연관이 있어요. 세종 문종 단종은 천부의 왕위 계승권자였다면 세조는 주변 신하들의 도움으로 조카의 왕위를 찬탈하죠. 그 과정에서 왕이 천부의 자격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신하들의 옹립으로 가능해진다는 어떤 분위기가 만들어졌고 여기서 성종의 장인인 한명회와 인수대비의 정치력이 빛을 발한 거죠.

    정상적으로라면 왕위 계승권자는 제안대군이어야 했고 제안대군이 너무어려 안된다면 장자인 월산대군도 있었는데 당시 8 세였던 성종을 세우게 된 데에는 대왕대비였던 세조의 아내 입김도 컸다고 합니다. 성종이 왕위에 오르고도 거의 12 년간 세조의 아내 대왕대비가 수렴청정을 하죠.

    대욍대비가 수렴청정을 걷은 것은 성종이 당시 숙의였던 폐비 윤씨와의 사이에서 훗날의 연산군이 될 왕자 융을 낳은 다음이었어요.

    대왕대비나 인수대비의 입장에서는 이미 성년이 된 월산군보다 자산군을 세워야 나라를 주무르기 편했던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월산군에 비해 자산군이 월등히 총명하기도 했다고 하고요. 왕궁에서 세자의 아들로 태어난 자산군은 어려서 부터 왕재의 교육을 받았고 월산군은 그러지 못했다는 설도 있지요.

    훗날 연산군의 애첩이 된 장녹수는 월산대군댁의 노비였다고도 합니다. ( 제안대군댁일 수도... 헷갈리네용. )

  • 6. soo
    '14.4.2 8:28 PM (116.39.xxx.36)

    한마디로 정희왕후와 한명회+원상들의 협잡이죠.

  • 7. 까칠마눌
    '14.4.2 8:36 PM (139.193.xxx.158)

    성종의 장인이었던 한명회의 정치력도 막강했지만 인수대비 본인의 친정 정치력도 만만찮게 막강했어요.
    인수대비는 영의정 한확의 딸이었고, 고모 두분이 당시 명나라의 후궁이었거든요.
    조선은 당시 왕위에 오르면 명나라에 고명을 받아야 진짜 왕으로 인정을 받는 상황이었는데
    (누구를 왕위에 올립니다. 승인해 주십시오. 뭐 이런걸 받으러 가는 사람을 고명사라고 했습니다.)
    인수대비 본인은 명나라 왕실에 줄을 잡고 있었던 거죠. 다른 사람을 왕위에 올렸다가 인수대비가 방해라도 해 버리면 파토가 나는 형국이었어요.

    이런 것들을 배경으로 인수대비는 심지어, 왕비가 아니었던 사람은 대비의 칭호를 받지 못하는 조선의 원칙을 깨뜨리고, 죽은 남편을 덕종으로 추대한 다음 소혜왕후가 됨과 동시에 인수대비라는 칭호를 받았어요.
    이 또한 조선 역사상 전무후무한 일이었죠.

    선조의 어머니도 살아 있었으나 대원군의 군부인마님으로 끝났고, 유명한 고종의 어머니이자 흥선대원군의 아내 민씨 역씨 군부인 마님으로 끝났으니까요.
    심지어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 조차 대비의 칭호는 받지 못했어요. 그랬기에 우리가 다들 혜경궁 홍씨로 알고 있는 것이지요. 실제로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를 왕으로 추대하기 까지 했음에도 그랬어요.

    결론은.

    1. 당시의 정권 실세 한명회가 장인이었다.
    2. 인수대비와 명나라 조정과의 관계.
    3. 인수대비 아버지(성종에게는 외할아버지)의 영향력
    4. 쿠테타로 인한 권력 누수 현상 등등

    이 결집된 결과라고 볼 수 있겠네요.



    성종은 왕이 된 후 12년 동안 실제로 통치행위를 거의 하지 않았어요. 사실 16-7세에 성년식을 하는 당시의 풍토로 봐도 아주 늦은 거였죠. 그러다 20살에 왕자 융(연산군)이 태어나고 이런 저런 일들이 벌어지면서 대왕대비였던 정희왕후가 수렴청정의 발을 걷어요.

    혹자는 거기서부터 폐비윤씨의 불행의 씨앗이 시작되었다고 보기도 합니다. 미운털이 박힌거죠. 폐비윤씨가 아들을 낳지만 않았어도 몇년 더 해먹었을 거였는데 말이죠.

  • 8. 윗님
    '14.4.2 8:50 PM (61.76.xxx.161)

    수렴청정은 정희왕후가 아니라 인수대비(소혜왕후)가 아니었나요??

  • 9. 까칠마눌
    '14.4.2 9:10 PM (139.193.xxx.158)

    수렴청정은 왕실의 제일 윗 어른이 하는 게 관례 였기에 정희왕후가 했습니다.
    정희왕후는 무식한 여자였다고 해요. 상대적으로 인수대비는 상당히 총명한 여자였고요.
    정희왕후의 수렴청정을 위해 각종 문서가 정희왕후가 읽을 수 있는 한글로 기록되기도 했고요,
    한자를 모르는 정희왕후는 실제로는 통치의 능력이 그다지 없었다고 봐야하겠죠. 당연히 권력은 정희왕후쪽 외척세력쪽으로 많이 넘어갔고요.
    성종당시 왕실에는 세명의 대비가 있었어요.

    세조비 정희왕후가 대왕대비로 있었고, 예종비 안순왕후가 있었고, 성종의 어머니 인수대비가 있었지요.

    지금 기록을 찾아보니, 성종이 왕위에 오른 때는 13살이었고, 정희왕후의 수렴청정기간은 8년이라고 하네요.
    정정합니다. 성종이 왕위에 오른 당시 제안대군은 4살이었대요. ^^;;

  • 10. 네~~
    '14.4.2 9:29 PM (61.76.xxx.161)

    점두개님, 까칠마눌님 ~~
    잘 읽고 갑니다 개인적으로 조선시대 역사 좋아하는데요 몰랐던 역사를 또 알게되니 매일매일이 배움의 장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9106 시댁에서 며느리가 자주 전화하길 바라는거.. 57 전화 2014/04/09 13,998
369105 DKNY 싱글 노처자들 컴온 30 싱글이 2014/04/09 1,880
369104 마이홈의 나의 글도 단체 삭제 좀 되면 좋겠어요. 1 편하게 2014/04/09 550
369103 일본은 음의 기운이 많은 나라라고 하죠? 4 무셔 2014/04/09 5,305
369102 향수 추천해주세요! 3 ㅂㅂ 2014/04/09 1,108
369101 고1수학 선행 방법 좀 가르쳐주세요. 중2 2014/04/09 782
369100 일하는데 양다리 중인데 어쩌죠 2 도움 2014/04/09 1,448
369099 은행유출 개인정보 2차피해 첫 확인..유사피해 '비상' 샬랄라 2014/04/09 1,045
369098 턱근육 보톡스 2달만에 맞으면 더 좋을까요? 2 효과좋은기간.. 2014/04/09 3,209
369097 외국인과 같이 먹을 음식점 소개해주세요. 3 딤섬 2014/04/09 824
369096 질문)호텔 침대 처럼 부드럽고 편안한 매트는 소프트인가요? 3 침대는 어려.. 2014/04/09 2,128
369095 인터넷 쇼핑 많이 들 하시나요??? 3 rrr 2014/04/09 1,329
369094 수학학원이랑 과외를 병행하시는 분 3 수학 2014/04/09 2,001
369093 11억 할인 아파트 참맛 2014/04/09 1,652
369092 초등과학문제집은 어떤게좋은가요? 1 살빼자^^ 2014/04/09 1,054
369091 아기키우시는 분들 매일 산책하시나요? 3 baby 2014/04/09 1,066
369090 분가한지 2년 4개월째 16 고마워요 8.. 2014/04/09 5,215
369089 얼굴 가리는 마스크 자외선 시러.. 2014/04/09 911
369088 고등학교 학원 보내시는 분들이요 1 에휴~~ 2014/04/09 1,067
369087 펀드 장기로 가져가면 증권사에 이익인건가요? 저한테 이익은 아닌.. 5 .... 2014/04/09 1,387
369086 1구 전기레인지 쓰시는 분 계신가요? 3 고민 2014/04/09 11,757
369085 마흔 중반 비발치 교정도 치아나 잇몸에 부담이 클까요? 5 비발치로효과.. 2014/04/09 2,107
369084 코로 식염수 넣어서, 입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 좀 자세히 알려주.. 5 코세척 2014/04/09 3,038
369083 나와 타인의 차이를 알아가는 재미. 3 깍뚜기 2014/04/09 2,134
369082 여성용 골프채 문의합니다 7 죄송.. 2014/04/09 2,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