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우만과 한병철은 고전적인 파놉티콘이 현재의 감시사회를 설명할 수 없다고 말한다.
우리는 강요가 아니라 자발적 참여로 디지털 파놉티콘 체제의 주민이 된다
제러미 벤담의 파놉티콘(원형감옥)이나 조지 오웰의 <1984>에서는 국가나 권력이 감시의 주체다. 원근법적으로 설계된 파놉티콘의 한가운데나 꼭대기에 빅브라더가 눈을 부라리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지그문트 바우만과 데이비드 라이언의 대담집 <친애하는 빅브라더>와 한병철의<투명사회>(문학과지성사)는 지구화와 디지털 데이터베이스가 맞물려 완성되어가는 오늘날, 고전적인 파놉티콘 모형으로는 더 이상 현재의 감시사회를 설명할 수 없다고 말한다.
“벤담은 행동교정을 목표로 하는 파놉티콘이 실효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유도하고 유혹하는 차원은 핵심적인 게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그의 파놉티콘 도구 상자에는 채찍만 있을 뿐 당근은 없었습니다. 우리 시대의 시장에서 전개되는 감시는 선택의 요소를 교묘하게 처리(강제가 아닌 유혹을 통해)합니다. 현대 사회는 계획된 제안이 강제가 아니라 사람들이 그 제안을 자발적으로 요구하는 과정에서 통과시키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가정하고 있습니다.”(<친애하는 빅브라더>)
“벤담은 행동교정을 목표로 하는 파놉티콘이 실효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유도하고 유혹하는 차원은 핵심적인 게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그의 파놉티콘 도구 상자에는 채찍만 있을 뿐 당근은 없었습니다. 우리 시대의 시장에서 전개되는 감시는 선택의 요소를 교묘하게 처리(강제가 아닌 유혹을 통해)합니다. 현대 사회는 계획된 제안이 강제가 아니라 사람들이 그 제안을 자발적으로 요구하는 과정에서 통과시키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가정하고 있습니다.”(<친애하는 빅브라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