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 특히 유럽에서 한식과 일식 중 어느게 더 대중성이 있을까요.

고른다면 조회수 : 1,882
작성일 : 2014-02-28 00:20:20
동남아나 중국 같은 아시아 권에서는 한류도 많이 퍼지고 대중화 되서 한국 음식 인기도 올라가고 있는 걸로 알고 있거든요.
뉴욕에도 잘되는 한식당이 있다고 들었고요. 
 
궁금한 건 유럽쪽에서도 한식이 요새는 뜨는 트렌드인가요? 
유럽 여행 갔을때 영국, 프랑스, 독일... 일식집은 종종 보이는 것 같은데 한식당은 일식당에 비해서 그리 많지는 않은것 같거든요. 
최근 원전 사고도 있고,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한 관심 높아지는 걸 볼때, 앞으로 유럽쪽에도 한식이 많이 대중화가 될까요? 아니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식보다는 일식이 더 대중성이 있을까요. 

 
IP : 178.59.xxx.156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2.28 12:22 AM (39.116.xxx.177)

    일식이 훨씬 대중성있죠..그리고 고급음식이라 생각하구요.

  • 2. ...
    '14.2.28 12:22 AM (121.128.xxx.92)

    파인 다이닝 쪽이라면 한식, 일식 중 한 가지 컨셉을 분명히 해야겠지만
    보통의 음식점이면 한식 일식 같이 팔죠 사실
    우리나라에서 태국음식 베트남 음식 같이 파는 것처럼요

  • 3. 99
    '14.2.28 12:26 AM (87.179.xxx.56)

    유럽 살아요.
    한식당 없는 곳은 많지만 일식당 없는 곳은 없어요. 아무리 중소도시라도 타이 베트남 중국 일본 식당은 다 있어요.

  • 4. 원글
    '14.2.28 12:54 AM (178.59.xxx.156)

    답변 감사드려요~
    한식도 일식도 워낙 범위가 넓어서 딱 뭐라고 지정하기 힘들지만 그냥 대중적 의미의 한식으로 질문드렸어요.
    대부분 외국에서 한식 이러면 김치, 불고기, 비빔밥, 잡채, 파전.. 이 정도가 대표음식이 되는것 같고,
    일식인 경우엔 스시 (요상하게도 외국에선 마끼, 스시 둘다 스시라고 하대요? ^^)와 사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정통 한식이야 한국에서도 사실 쉽게 맛볼수는 없으니 그건 고난도 음식은 제외히고요.
    한식 제대로 만들기 힘들다는 말씀엔 정말 공감하는게 일단 재료 구하기도 힘들고, 한국인이 좋아하는 미각과 서양식 미각은 많이 다른 것 같아요. 떡 같은 저는 환장하는 쫄깃한 식감도 그렇고, 참기름 들기름의 풍미도 그렇고요.

  • 5. 하다못해
    '14.2.28 1:30 AM (61.102.xxx.34)

    태국만 가도 쇼핑센터나 길거리에 일식당이 얼마나 많은지 몰라요.

    그런데 제가 태국 자주 가기 때문에 관찰 해보면

    물론 개인적인 샵도 있지만 주로 대형 프렌차이즈가 많아요. 일식당이요.
    대표적인 예가 "후지" 랑 "젠" 이에요.
    정말 온갖 쇼핑몰이나 백화점에 거의 입점 되어 있고 규모도 커요.

    그에 비해서 한식당들은 대부분이 개인이 차린 작고 초라한 규모에요.
    당연히 위치도 좀 후미진곳에 있는 경우가 많아요. 일부러 찾아 가야 하죠.
    아니면 한국 패키지 상대 하는 스타일의 식당들 이기 때문에 아예 시내가 아니라 동떨어진 곳에 위치 하고 있어 경쟁력에서 차이가 나죠.

    요즘 방콕에서 교촌치킨인가? 이런게 나가서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네요.

    결국 자본력 있는 회사가 나가서 좀 경쟁력 있게 그 나라의 특색에 맞게 변화를 주면서 도전해 준다면 한식당도 성공 할수 있다고 생각 해요.
    우리에겐 좀 별루라도 비비고 같은것도 괜찮을거 같고 본죽도 괜찮구요.
    뭔가 한식을 트랜드화 해서 좋은 위치에 넓고 세련된 매장이라면 앞으로는 일식당처럼 해볼만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결국 개인이 하는건 좀 어렵다는 거죠. 재료수급문제 부터 좋은 가게 위치등등이요.

  • 6. 위의님
    '14.2.28 1:32 AM (209.134.xxx.143)

    외국에서 쓰는 참기름은 우리가 먹는 참기름과 달라요.
    우리가먹는건 압착식이고 쎄사미오일은 압착식이 아니라서 암맛도 안난대요
    해바라기씨오일..뭐 이런식의 냄새안나는 오일이예요.
    이건 냄새 안나고

    외국사람들 우리식의 참기름냄새에 거부감 있는거 맞아요.

  • 7. ~~
    '14.2.28 3:08 AM (121.88.xxx.131)

    유럽에서 우리 간장과 참기름은 대부분 좋아했어요. 그 조합이 한식인 줄 아는 사람들도 꽤 있고요.
    거기 유기농 가게에서 파는 참기름은 볶지 않은 참깨에서 압착식으로 짠거라
    제 입맛에도 비려서 못 먹겠던데 고소하지도 않고요. 완전 밍밍함.
    제품카탈록에 보면 볶은 참깨로 짠 참기름도 있긴 하던데
    훨씬 작은 병에 값은 몇 배로 비싸고 해선지 안 갖다 놓더군요.

  • 8. ...
    '14.2.28 8:39 AM (118.221.xxx.32)

    태국음식이나 일식이 훨씬 더 알려지고 외국인 입맛에도 맞아요
    거기다 일식은 고급이라는 생각도 있고요
    한식은 앞으로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8120 후쿠시마거짓말2가 나왔습니다. 3 .. 2014/03/05 1,208
358119 숙제 좀 도와주세요^^ 6 초보 2014/03/05 637
358118 ㅇㅇ한 통찰력 8 어휘력 2014/03/05 1,366
358117 아까 교정땜에 턱 나온거 같다고 쓴사람인데요... 9 교정 2014/03/05 1,684
358116 주택청약종합저축 좋은가요? 3 해리 2014/03/05 2,057
358115 보톡스 4 Alexan.. 2014/03/05 1,135
358114 선생님처럼 생겼다는 말은 무슨뜻일까요? 11 .. 2014/03/05 3,614
358113 생들기름이 그렇게 좋다면서요 24 ... 2014/03/05 7,577
358112 얼갈이배추도 중국산 파나요??? 3 배추 2014/03/05 947
358111 영어 문법에 대한 질문이에요. 7 == 2014/03/05 842
358110 유치원 적응 어떻게 시키나요? 좋은 방법 있을까요? 7 휴우 2014/03/05 1,282
358109 李前대통령측, ‘MB 기념재단’ 설립 추진 10 세우실 2014/03/05 1,022
358108 아들에게만 상속하려는 부모 48 서러운 딸 2014/03/05 15,285
358107 까사온 옷장 써보신분? 하이고 2014/03/05 1,353
358106 은행 다니시는 분 이자 좀 여쭤볼게요 2 도움 2014/03/05 820
358105 19금)베스트글 음란마귀글읽고 용기내서 질문합니다 39 답답해요 2014/03/05 37,398
358104 다시여쭤요..평촌대림아파트 어떤가요? 4 .. 2014/03/05 2,594
358103 오늘 집을 팔았는데요??? 2 로즈마미 2014/03/05 1,772
358102 초1 방과후 영어와 눈*이 영어 중 선택.고민돼요! , 2014/03/05 1,029
358101 마트서 홍합살을 집어왔는데..이걸로 뭘해먹을수 있을까요 3 홍합살 2014/03/05 914
358100 요즘 바다에서나오는 해산물 안드시나요?? 5 .. 2014/03/05 1,325
358099 뭘모르는 새댁이에요 난감 2014/03/05 935
358098 결혼생활이 저한테 안 맞는거 같아요. 8 k 2014/03/05 3,342
358097 마늘소스 만들었는데 색이 이상해요!!! 1 궁금 2014/03/05 560
358096 아르바이트 면접 ㅠㅠ 2014/03/05 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