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코레일 철도요금 인상추진-방만경영책임 국민에게 떠넘기기

집배원 조회수 : 819
작성일 : 2014-01-21 22:20:25
이데일리 김동욱 정다슬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경영 정상화를 위해 철도요금은 올리고 수익성이 낮은 일반여객열차 운행은 축소하기로 했다. 또 본사 인력 170명(15%)가량을 줄이고 2018년까지 신규 채용은 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코레일이 역점을 두고 추진했던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이 최종 무산되면서 심각한 경영위기가 초래된 데 따른 조치다. 그러나 코레일의 이 같은 조치는 결국 방만 경영에 따른 부담을 국민에게 지우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코레일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영개선 및 부채 감소 방안'을 21일 마련했다고 밝혔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은 이날 열린 국회 철도산업발전 소위원회 출석해 이를 보고했다.

코레일이 발표한 경영 정상화 대책의 핵심은 적자선 등 수익이 나지 않는 일반여객열차 운행횟수는 대폭 줄이고 요금은 인상해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레일은 하루 평균 여객수요가 50명 이하인 역은 무인화를 추진해 인력을 최대한 줄이고, 산간 철도처럼 수익성이 나지 않는 일반여객열차는 운행을 대폭 줄일 방침이다. 코레일은 현재 395회 운행 중인 일반열차 운행횟수를 2018년까지 275회로 30%(120회)가량 줄일 예정이다.

요금은 인상하기로 했다. 코레일은 이날 소위원회에 에너지가격 등 원가상승 요인에 대응하기 위해 물가상승률 수준과 연동한 체계적인 요금관리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사실상 경영 정상화를 위해서는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코레일이 경영 정상화를 위해 특별히 자구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요금 인상을 통해 방만 경영에 따른 책임을 국민에게 전가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사실 요금 인상은 예고된 사항이기도 하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용역발주한 '철도운임 산정기준 개정 연구 최종보고서'를 봐도 이 같은 내용이 포함돼 있다. 용역보고서는 "철도는 시설사용료뿐 아니라 운임도 규제의 대상이어서 철도공사의 재무구조에 악영향을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며 "시설사용료는 제외하더라도 운임에 대해서는 시장 기능에 의한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코레일은 총 5조8000억원에 이르는 보유자산을 매각하기로 했다. 또 경상경비 및 동력비 절감 등 운영 효율화를 통해 2177억원을 절감할 계획이다. 코레일은 이를 통해 2015년에는 흑자 달성은 물론 현재 373%에 이르는 부채비율을 2018년까지 262%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 뼈를 깎는 노력을 하겠지만 이것만으로는 성과를 내기에 한계가 있다"며 "공공요즘 중에 철도운임의 원가보존율이 가장 낮기 때문에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원석 정의당 의원은 "정부와 코레일은 철도 경쟁체제 도입으로 철도요금을 내리기로 했는데, 이번 조치로 철도요금이 올라가면 경쟁체제 자체가 무산되는 것 아니냐"며 "수서발 KTX 역시 단계적으로 요금 인상될 개연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김동욱 (kdw1280@edaily.co.kr)

이전
IP : 59.3.xxx.206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경영정상화로
    '14.1.22 8:51 AM (116.39.xxx.87)

    코레일 경영진이 무슨 뼈를 깍는 노력을 했다고 ??????
    돈되는 수서발 넘겨줘서
    국가기관산업 단물만 빠지게 하는 노력이 뼈를 깍는 노력인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6551 국정원의 패턴과 유사한 트윗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1 그러네요 2014/01/28 774
346550 저 어떡할까요..... 8 한숨 2014/01/28 1,486
346549 생크림 케익 냉장보관 유통기한 알려주세요. 1 케이크 2014/01/28 19,550
346548 성남 모란역 도와주세요 3 급해요 2014/01/28 1,085
346547 앤티앤스 플레즐 먹고싶다 2014/01/28 741
346546 교학사 역사 교과서와 관련하여 3 .... 2014/01/28 523
346545 과일 시댁 근처에서 사는게 나을려나요? 5 2014/01/28 888
346544 길에서 위아래로 빤히 훑으면서 지나가는 할아버지 대처법좀요!!!.. 2 나는나 2014/01/28 1,430
346543 인생을 망치고 방해하는 것들 49 2014/01/28 15,071
346542 사주 배울곳 추천 해주세요 4 진달래 2014/01/28 2,041
346541 명절에 다들 멀리 가시나요? 3 골치아픔 2014/01/28 697
346540 구정은 또 어김없이 돌아오네요... 6 17년차 2014/01/28 1,613
346539 위하수증 3 소화불량 2014/01/28 1,553
346538 눈많이나쁜중딩 드림렌즈 8 해주신분계신.. 2014/01/28 2,361
346537 수입콩 두부는 안좋나요 2 문의 2014/01/28 3,282
346536 저 배아파서 떼굴떼굴 굴러요.. 6 ㅠ.ㅠ 2014/01/28 1,898
346535 신종플루라네요 14 설날 2014/01/28 8,170
346534 유머입니다 1 배낭여행자 2014/01/28 734
346533 닭의 지적 허영이 초래한 비극...! 9 개망신 2014/01/28 2,420
346532 등이 결리고 아픈데요 4 아픔 2014/01/28 1,919
346531 이마트나 홈플러스같은데서 옷 사세요?? 13 aha 2014/01/28 13,226
346530 외국에서 2 신고 2014/01/28 612
346529 대한민국 경제혁신 IDEA” 참여하고 경품받자! bubzee.. 2014/01/28 383
346528 요즘 매운걸로 유명한 라면이 삼양꺼예요 팔도꺼예요? 4 라면 2014/01/28 1,169
346527 이쁘진 않는데 인물있는 얼굴이 어떤건가요? 4 .. 2014/01/28 1,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