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어머니 유품을 받으신 분들 있으신가요?

싱글이 조회수 : 3,851
작성일 : 2013-12-30 13:01:09

올케 언니가 얼마전에 올해 결혼 12주년이었더랬는데 약 4년전에 돌아가신 시어머니(저의 어머니)로 부터

받은 유품이 없습니다.

(여기서 유품이라고 하면 가구, 그릇, 보석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어머니가 좀 유복하게 사신 편으로

가구, 그릇 등은 누구나 탐나할 정도로 수집을 하셨을것 같습니다.)

 

요는 제가 미혼이라 어머니 돌아가신 후에 아버지를 모시고 함께 사는 관계로 어머니 물건이 그대로 집에 있는데

언젠가는 어머니 유품이 조카에게 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버지, 사촌언니 모두 엄마 유품은 당연히 딸이 모두 갖는 거라고 하시는데 저도 별로 물욕도 없고 외국으로

다시 나갈 기회도 생길것 같아 미리 정리를 좀 하고 싶은 마음이 요즘 들어 커졌는데 혹시 경험 있으신 분들

공유부탁드립니다.

 

시어머니가 쓰시던 물건 중 값나가는 것들은 전부 딸 차지가 되었는지 아니면 어떠한 절차를 거쳐서 집에서

형제간에 분배했는지..

IP : 211.195.xxx.140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모시고 사는 사람이
    '13.12.30 1:07 PM (180.65.xxx.29)

    알아서 처분 하는거죠

  • 2. ..
    '13.12.30 1:12 PM (121.162.xxx.218)

    올케는 별로 받고 싶지 않을 수도 있어요.

    오빠와 올케한테 혹시 간직하거나 갖고 싶은 거 있는지 물어보고 가져가라 하고요.
    나머지는 딸들이나 다른 형제들이 알아서 처분하면 됩니다.

  • 3. 언제고 그 유품은
    '13.12.30 1:15 PM (58.143.xxx.49)

    매매되지 않을까요? 어머니를 기억할 한 두가지 진짜 중요한것은 빼고 님이 정리하셔서 그냥 쓰심이
    좋을것 같습니다. 전 올케겸 시누입니다. 딱 중간에서 의견이구요.
    조카에게 까지 물려질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그냥 할머니와 어려서 나눈 기억으로 충분하던데요.

  • 4. ..
    '13.12.30 1:25 PM (121.162.xxx.218)

    사실 그릇 같은 것은 비싸게 주고 샀더라도 좋은 가격 받고 팔기 힘들어요.
    가구도 마찬가지이구요.
    특별한 골동품이지 않는 이상 재산처럼 보관하기는 어려워요.

    딸인 원글님에게는 특별한 물품이겠지만 남들에게까지 의미있는 것은 아니니까요.
    조카도 별 감흥은 없을겁니다.

    좀 귀하거나 형제들이 선호하는 물품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아까워도 처분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5. 오픈
    '13.12.30 1:38 PM (1.229.xxx.168)

    새언니에게 엄마의 유품중 가지고 싶은 물품은 가지라고 말씀하세요.
    윗님들 말대로 가구와 그릇은 취향과 유행이 있으니 어쩔지 모르겠지만
    보석은....
    님과 새언니와 같이 나누셔도 좋을듯하네요.

  • 6. 흰둥이
    '13.12.30 2:27 PM (203.234.xxx.81)

    며느리로서 시어머니 돌아가신 뒤 유품은 모두 시누이 처분,, 전혀 서운하지 않아요
    다만 제가 딸이라면 원하는 거 가지라고 말한 뒤 어머니 보석류 중 괜찮은 반지나 목걸이 뭐 이런 거 하나쯤은 상징적으로 며느리에게 전해줄 것 같아요.
    그런데 며느리가 시어머니 모시고 살았을 경우는 잘 모르겠네요

  • 7. 저희
    '13.12.30 3:58 PM (121.134.xxx.30) - 삭제된댓글

    시누이는 오빠는 아무것도 손도 못대게 하더군요.
    어머니,아버지 유품 다 자기꺼라고.
    며느리인 저..시엄머니한테 뭐하나 물려받은것 없네요.
    코렐 냄비하나 가져가 쓸거냐고 묻긴하더군요
    큰 인심쓰듯. 어머니 유품에는 돌아가신 아버지 유품도 다 포함된건데,다 자기가 갖겠다고하네요.
    아들은 돈만 해준 은행이었고,

  • 8. 그냥
    '13.12.30 6:55 PM (121.134.xxx.201)

    시부모와 십여년을 같이 살았었는데도 돌아가시고 나니 싹 챙겨갔어요. 심지어 결혼 할때 제가 해왔던 이불,

    은수저, 패물까지 챙겨가더라구요. 정떨어져서 안봅니다. 남편한테도 통보했어요. 니네 누나들 그거 먹고

    떨어지라고. 난 이제 안 볼거라구요.

  • 9. ,,,
    '13.12.30 8:26 PM (203.229.xxx.62)

    정리 하기전에 올케나 오빠에게 물려 받고 싶은것 없냐고 물어 보고
    정리 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9169 손 많이 안가면서도 애들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 5 방학 2014/01/06 2,399
339168 중2교과서 서점이나 인터넷에서 언제쯤 살수 있나요? 1 중2교과서 2014/01/06 823
339167 상산고 교장 "면밀한 검토 부족했었다&q.. 12 손전등 2014/01/06 2,412
339166 부산에여성전용찜질방좀 알려주세요~~~~ 제제42 2014/01/06 1,346
339165 다이어트중. 몸무게에 넘 민감할 필요 없을까요? 15 ... 2014/01/06 2,626
339164 SC은행 이미지가 어때요? 11 궁그메 2014/01/06 2,074
339163 아직 윈도우xp인데요 은행업무 봐도? 무리가 없을까요? 3 2014/01/06 1,158
339162 영화 ‘변호인’ 흥행과 박근혜 ‘SNS 통제’의 명과 암 light7.. 2014/01/06 1,551
339161 한일꺼 스텐레스 냄비 사려는데 고민되네요 7 2014/01/06 7,976
339160 성인여성분들 래쉬가드안에는 뭐 입어요?? 4 우하하 난간.. 2014/01/06 19,119
339159 다이소, 실리쿡 어느게 튼튼한가요? 1 ... 2014/01/06 1,758
339158 시간되시는 분들 같이 시청해요. 취임 후 첫 생중계 회견.. 소.. 6 .... 2014/01/06 1,082
339157 외국에서 출산했어요... 6 ... 2014/01/06 2,232
339156 4인가족. 강원도 여행. 돈나가는거 우습네요 ㅠ 8 돈돈 2014/01/06 4,899
339155 가스 레인지 청소 14 살림살이 2014/01/06 2,951
339154 극세사차렵이불에 면커버 씌워 사용 어떨까요? 3 커버 2014/01/06 1,423
339153 남편에게서 돈 받아달라" 청탁에 납치살해 40세 여성.. 2014/01/06 1,233
339152 임신초기(4주정도) 인데 산부인과 언제 가면 좋을까요? 6 언제. 2014/01/06 13,122
339151 내 인생최고의 행운은 우리 엄마.. 5 슬픔 2014/01/06 3,598
339150 후시딘, 테라마이신, 박트로반.. 4 ㄱㄱㄱ 2014/01/06 2,848
339149 유럽여행가는데 꼭 가져가야할것 알려주세요 ^^ 19 처음 2014/01/06 4,142
339148 집안 풍수 인테리어 30 애니원 2014/01/06 12,344
339147 타일 은색 줄눈시공하면 좋나요? 4 .. 2014/01/06 4,457
339146 셜록 좀 허무하네요.. 2 ... 2014/01/06 2,500
339145 르몽드, 한국 2013년 주요 정치사안 총정리 1 light7.. 2014/01/06 991